도서 소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일본의 ‘나가사키·아마쿠사 지방 잠복 기리시탄 관련 유산’ 답사기. 이 책의 저자는 수년 전부터 일본 가쿠레 기리시탄연구회 회원으로 활동했다. 이 연구회 최초의 외국인 회원이기도 한 저자는 지난해 ‘나가사키와 아마쿠사 지방의 잠복 기리시탄 관련 유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자 해당 지역 답사를 계획하고 실행에 옮겼다. 이 책은 그 결과물이다.
이들 유산에 대해 저자는 “그리스도교가 일본에 뿌리를 내리기까지 겪어야 했던 혹독한 탄압과 박해를 딛고 형성된 것”이라며 “문명충돌의 양상이기도 하고 끝내 신앙을 지켜낸 일본 그리스도인들의 위대한 기록”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일본 그리스도교 초기 순교자들 가운데는 임진왜란 때 끌려간 조선인들도 포함돼 있고 일본교회사가 우리 역사에도 영향을 미쳤다”며 “우리 역사와 연관이 있는 곳들에 대한 내용도 책에 담겨있다”고 밝혔다.
저자는 시마바라·아마쿠사 농민봉기 사건이 청나라에서 돌아온 소현세자가 석 달 만에 생을 마감했던 비극적인 역사와도 관련이 있음을 이 책에서 밝혀 두고 있다.
책에는 일본에 그리스도교가 전래돼 정착하는 과정과 혹독한 박해기를 거치면서도 신앙을 유지했던 신자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또 금교정책이 해제된 이후 다시 교회를 세운 신자들의 신앙심이 감명 깊게 그려졌다. 저자가 관련 지역을 답사하며 직접 찍은 사진들도 풍부하게 실려 있어 현장감을 더한다.
출판사 리뷰
『숨은 그리스도인의 침묵 ― 나가사키·아마쿠사 잠복(潛伏) 기리시탄 문화유산 답사기』를 내면서…
도서출판 동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일본의 ‘나가사키·아마쿠사 지방 잠복 기리시탄 관련 유산’ 답사기 『숨은 그리스도인의 침묵』을 출판했다.
‘잠복 기리시탄’이란 일본 에도시대 막부가 내렸던 그리스도교 금교령에도 불구하고 표면적으로 불교도 행세를 하면서도 신앙을 유지했던 그리스도교 신자들을 말한다. 일본에서 17세기 초반에 내려진 금교령은 19세기 후반에 들어서서야 해제됐다. 나가사키(長崎)현 전역과 구마모토(熊本)현 아마쿠사(天草) 지역에는 약 250년에 걸친 금교기에도 잠복 기리시탄들이 명맥을 이으며 존재했다.
잠복 기리시탄들은 금교령이 해제되자 교회로 복귀했다. 그러나 모두가 복귀하지는 않았다. 일부는 조상들로부터 전승된 신앙 형태를 그대로 유지했다. 이들은 ‘가쿠레 기리시탄’이라고 불린다.
이 책의 저자는 수년 전부터 일본 가쿠레 기리시탄연구회 회원으로 활동했다. 이 연구회 최초의 외국인 회원이기도 한 저자는 지난해 ‘나가사키와 아마쿠사 지방의 잠복 기리시탄 관련 유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자 해당 지역 답사를 계획하고 실행에 옮겼다. 이 책은 그 결과물이다.
이들 유산에 대해 저자는 “그리스도교가 일본에 뿌리를 내리기까지 겪어야 했던 혹독한 탄압과 박해를 딛고 형성된 것”이라며 “문명충돌의 양상이기도 하고 끝내 신앙을 지켜낸 일본 그리스도인들의 위대한 기록”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일본 그리스도교 초기 순교자들 가운데는 임진왜란 때 끌려간 조선인들도 포함돼 있고 일본교회사가 우리 역사에도 영향을 미쳤다”며 “우리 역사와 연관이 있는 곳들에 대한 내용도 책에 담겨있다”고 밝혔다.
저자는 시마바라·아마쿠사 농민봉기 사건이 청나라에서 돌아온 소현세자가 석 달 만에 생을 마감했던 비극적인 역사와도 관련이 있음을 이 책에서 밝혀 두고 있다.
책에는 일본에 그리스도교가 전래돼 정착하는 과정과 혹독한 박해기를 거치면서도 신앙을 유지했던 신자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또 금교정책이 해제된 이후 다시 교회를 세운 신자들의 신앙심이 감명 깊게 그려졌다. 저자가 관련 지역을 답사하며 직접 찍은 사진들도 풍부하게 실려 있어 현장감을 더한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2018년 6월 30일 일본이 추천한 ‘나가사키(長崎)와 아마쿠사(天草) 지방의 잠복(潛伏) 기리시탄 관련 유산(Hidden Christian Sites in the Nagasaki Region)’을 세계문화유산에 등록하기로 결정했다. 위원회는 이 유산에 대해 ‘막부의 금교정책 아래에서 남모르게 육성된 독특한 종교적 전통을 말해준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유네스코의 세계유산 선정 기준인 ‘현저하며 보편적인 가치’에 부합한다는 것이다.
잠복 기리시탄(Hidden Christian), 세계그리스도교회사에서도 유례(類例)가 없는 명칭이다. 에도 시대와 메이지 시대 초기(17세기 초 ~ 19세기 말), 막부와 정부의 혹독한 금교정책 아래에서도 신앙을 유지한 크리스찬들을 가리킨다. 이들은 사제의 지도를 받을 수도 없었다. 사제들은 이미 추방됐거나 순교했다. 이들은 스스로 조직을 구성하고 지도자를 세웠다. 그리고 철저하게 불교도 행세를 했다. 이들은 언제 닥칠지 모르는 관원들의 단속을 피해야 했다. 간혹 관원들에게 적발되는 기리시탄들도 있었다. 적발된 기리시탄들은 순교를 당하기도 했고 모진 고문을 받아야 했다.
‘나가사키와 아마쿠사 지방의 잠복 기리시탄 관련 유산’은 그리스도교가 일본에 전해져 뿌리를 내리기까지 겪어야 했던 혹독한 탄압과 박해를 딛고 형성된 유산이다. 유럽에서 발전한 크리스트교가 문화적 토양이 전혀 다른 일본에 전해지면서 빚어진 문명충돌의 양상과 그 고난을 이겨내고 끝내 신앙을 지켜낸 일본 크리스찬들의 찬란한 승리를 잘 보여준다.
-<머리말> 중에서
일본에 남겨진 피로인들 가운데 일부는 포르투갈 상인들에 의해 노예로 팔려가기도 했다. 도자기 등을 만드는 기술자들은 특별한 대우를 받으며 정착해 일본 도자기 문화의 장을 열기도 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피로인들은 잡역에 종사하며 열악한 삶을 이어가야 했다. 그런 조선인 피로인들에게도 복음이 전해졌다. 조선인 기리시탄들이 여기저기서 생겨났다. 그들은 모여 사는 마을에 교회를 세우기도 했고 순교의 대열에 합류하기도 했다.
한국 천주교회의 첫 역사서는 1874년 파리외방전교회 소속 달레(Dallet, CH.) 신부가 프랑스어로 간행한 ‘조선천주교사(Histoire de l’Eglise de Coree)’이다.
이 책은 조선에 대한 정보가 빈약했던 당시의 유럽 세계에 조선에 대한 기초 정보를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 한국천주교회사의 귀중한 사료로 활용되고 있다. 책은 조선천주교회의 성립에서부터 1866년 병인박해까지의 일을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이 책은 서두에서 조선천주교회의 전사(前史)로 임진왜란 피로인들의 신앙과 순교 사실을 소개하고 있다. 조선인 기리시탄들에 관한 내용은 당시 일본에서 활약하던 선교사들에 의해 바티칸에 보고돼 있었다. 달레 신부는 이 자료들을 조선천주교회사를 기술할 때 빠뜨리지 않았다.
-<조선인 기리시탄의 탄생> 중에서
1867년 7월 7일 교황 비오 9세는 일본에서 순교한 205위를 복자로 시복했다. 이때 시복된 순교자들은 1617년부터 1632년까지 희생된 사람들이었다. 박양자 수녀는 도쿄대교구청에서 나온 자료와 각 수도회에서 나온 자료를 토대로 이 가운데 조선인이 10명 포함됐다고 저서에서 밝혔다. 이 가운데 안토니오 고라이(高麗)라는 인물이 있다. 일본에서 성(姓)을 고라이(高麗)라고 했던 이 조선인 기리시탄은 부인, 아들 두 명과 함께 복자위에 올랐다. 안토니오 고라이 일가족은 1622년 9월 10일 니시자카(西阪) 언덕에서 55명이 순교할 때 화형에 처해졌다. 이때 안토니오의 아들은 12세와 3세였다.
고려교 옆에는 큼직한 석등 하나가 자리를 잡고 있다. 나카시마가와가 지류와 합류하는 분기점에 서 있다. 에도 시대에 위험할 수 있는 밤길을 밝혀주는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투박하지만 어딘지 정겹게 보이는 이 석등을 보면서 이 마을에 살았던 조선인의 솜씨가 아니었을까 짐작을 해보았다. 돌아오면서도 몇 번을 되돌아봤다. 고려교는 노면전차 스와진자(諏訪神社) 정류장에서 가깝다.
-<고려교와 조선인 기리시탄 마을> 중에서
작가 소개
지은이 : 강귀일
1963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나 유년기부터 울산에서 성장했다. 울산 학성고등학교와 광운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울산제일일보 기자로 활동했다. 2004년 울산대학교에 재직하고 있던 가쿠레 기리시탄 연구자, 안도 구니아키(安東 邦昭) 교수와 만나면서 일본 그리스도교사에 관심을 갖게 됐다. 2015년부터 일본 전국가쿠레 기리시탄연구회가 매년 개최하는 전국대회에 참가하며 외국인으로서는 최초로 이 연구회 회원이 됐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일본열도에 전해진 복음
복음의 일본열도 상륙과 선교 / 금교령 / 조선인 기리시탄의 탄생 / 금교기 잠복 기리시탄의 신앙생활 / 그리스도교의 부활 / 금교해제와 재선교 / 잠복 기리시탄 관련 유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다
제2부 작은 로마, 나가사키(長崎)
나가사키항 / 남만(南蠻)무역과 그리스도교의 전래 / 작은 로마, 나가사키 / 26성인 순교지 니시자카(西坂) / 고려교(高麗橋)와 조선인 기리시탄 마을 / 나가사키 카스텔라와 설탕 / 오우라(大浦)천주당 / 군국주의 시대의 교회와 원폭피재 / ‘나가사키에는 오늘도 비가 내렸다(長崎は今日も雨だった)’
제3부 소토메(外海)의 기리시탄들
소토메(外海)와 나가사키 선셋로드 / 최초의 기리시탄 다이묘(大名) 오무라 스미타다(大村 純忠) / 소토메 잠복 기리시탄의 버팀목, 바스창 전도사 / 소토메 잠복 기리시탄의 고토(五島) 이주 / 소토메 기리시탄의 부활 / ‘소토메의 태양’, 도 로사마(樣) / ‘사람이 이다지 슬픈데도 주여, 바다는 너무나 푸릅니다’ / 지금도 건재한 구로사키(黑崎) 가쿠레 기리시탄
제4부 기리시탄 농민봉기의 현장 시마바라(島原)와 아마쿠사(天草)
시마바라(島原)와 아마쿠사(天草)의 복음 전래 / 크리스트교 박해와 운젠온천(雲仙溫泉) / 시마바라·아마쿠사의 농민봉기(島原·天草の一揆)와 하라성터(原城跡) / 사키쓰(崎津) 마을의 잠복(潛伏)기리시탄 / 아마쿠사구즈레(天草崩れ) 발생 / 다시 세워진 사키쓰천주당 /오에 마을에서 만난 잠복 기리시탄의 후예 야마시타(山下)씨
제5부 기도의 섬, 구로시마(黑島)
군항(軍港) 사세보(佐世保) / 구로시마(黑島)로 이주한 잠복 기리시탄 / 구로시마 기리시탄들의 부활 / 섬의 중심, 구로시마교회
제6부 가쿠레 기리시탄의 섬, 히라도지마(平島)
히라도항에 입항한 포르투갈 상선 / 히라도의 남만무역과 크리스트교의 전래 / 히라도의 네델란드상관(商館)과 영국상관(商館) / 가스가(春日) 마을의 다랭이논과 기리시탄들 / 성산(聖山) 야스만다케(安岳)와 성도(聖島) 나카에노시마(中江ノ島) / 이키쓰키시마(生月島)의 기리시탄들 / 히라도의 교회들
제7부 잠복 기리시탄 디아스포라, 고토(五島)열도
어디에서나 가톨릭교회가 보이는 고토열도(五島列島) / 소토메(外海) 지역 잠복 기리시탄들, 고토열도(五島列島)로 이주하다 / 가톨릭교회로 복귀한 고토 잠복 기리시탄들 / 고토열도의 중심 후쿠에시마(福江島) / 혹독한 시련을 이겨낸 기리시탄의 섬, 히사카지마(久賀島) / 나루시마(奈留島) 가쿠레 기리시탄의 후예 가키모리(森)씨 / 일본 목조교회의 백미, 에가미(江上)천주당 / 돌로 지은 가시라가시마(頭ヶ島)교회 / 와카마쓰시마(若松島)의 기리시탄동굴과 마지막 가쿠레 기리시탄 지도자 사카이(坂井)씨 / 노자키시마(野崎島)와 노쿠비(野首)교회
제8부 맺음말 - 다시 읽는 엔도 슈사쿠(遠藤 周作)의 소설 ‘침묵(沈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