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교과서에 흩어져 있는 지식의 체계를 잡아 주는 <손에 잡히는 사회 교과서> 시리즈. 20권 '우리 문화재' 편에서는 조상들의 삶과 역사가 고스란히 담긴 우리나라 문화재 가운데 유형 문화재를 다룬다. 각각의 문화재는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했는지도 함께 알아보면서, 조상들의 생활과 역사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1학년부터 6학년까지 교과서에 조각조각 흩어져 있는 지식을 하나로 연결시켰다. 각 장마다 연계되는 교과서 단원을 표시해 학교 진도에 맞춰 쉽게 찾아 읽을 수 있도록 했다. 교과서에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 사회 현상의 원리와 배경, 생활 속 예를 들어 학습의 기초를 쌓는 데 도움을 준다.
출판사 리뷰
신라에서는 개도 금목걸이를 걸었다고?
아기를 넣어 만든 종이 진짜 있다고?
문화재에 담긴 역사와 비밀을 문화재 달인에게 배워요!
조상들의 삶과 역사가 고스란히 담긴 우리나라 문화재
문화재라고 하면 무엇이 떠오르나요? 국보나 보물, 박물관에 가면 볼 수 있는 유물, 궁궐이나 절, 석탑 등이 생각난다고요? 맞습니다. 이런 것들이 모두 문화재입니다. 그런데 그것뿐만이 아니랍니다. 문화재는 우리 역사 속에서 조상들이 남기고 지금까지 이어온 모든 것들을 말합니다. 박물관에 전시된 유물도 문화재고, 전통 음악, 전통 놀이, 제례 의식, 연극, 기술 등도 문화재입니다. 문화재에는 오랜 역사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어서 그 속에는 우리 조상들의 생각과 사상, 희로애락, 생활 양식, 문화 교류, 전쟁 등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여러 종류의 문화재 가운데 유형 문화재를 다루었습니다. 유형 문화재 중에서도 자연의 흐름에 맞춰 지은 건축 문화재, 삶의 모습을 그림으로 표현한 회화 문화재, 조상들의 땀방울이 맺힌 생활 문화재, 과학과 예술이 만나 정교한 기술을 자랑하는 금속 공예 문화재, 과학 기술의 발달을 보여 주는 과학 문화재를 소개합니다. 각각의 문화재는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했는지도 함께 알아보면서, 조상들의 생활과 역사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문화재 달인의 인터뷰를 읽으니 문화재에 담긴 역사와 비밀이 쏙쏙 들어와요!
펄펄 끓는 쇳물에 아기를 넣어 튼튼하고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종을 만들었다는 이야기를 들어 봤나요? 그 종은 바로 에밀레종이라고 불리는 성덕 대왕 신종입니다. 성덕 대왕 신종을 만들 때 정말 아기를 재물로 바쳤을까요? 그 비밀은 금속 공예 문화재의 달인께 물어 보세요.
문화재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달려가는 소중애 기자가 만난 여러 문화재 달인들이 문화재의 역사와 비밀을 들려줍니다. 건축 문화재의 달인 강튼튼 선생님, 회화 문화재의 달인 김쓱쓱 선생님, 생활 문화재의 달인 박알찬 선생님, 금속 공예 문화재의 달인 길반짝 선생님, 과학 문화재의 달인 엄척척 선생님을 만나 보세요. 문화재 달인을 만날 때 마다 문화재에 담긴 우리 조상들의 삶과 역사를 배울 수 있습니다. 게다가 우리의 문화 의식과 문화재를 아끼고자 하는 마음도 고취됩니다.
[시리즈 소개]
교과서에 흩어져 있는 지식의 체계를 잡아 주는 책!
사회는 우리가 사는 데 필요한 지식을 알려주는 과목입니다. 그러니 우리가 생활 속에서 경험하는 일들이 모두 사회 공부입니다.
그래서 사회를 공부할 때는 꼭 생활과 연결해서 이해하는 게 중요합니다. 사회 공부를 요약된 참고서나 문제집으로 시작한다면 사회는 지겨운 암기 과목이 되어 버릴 수도 있습니다. 《손에 잡히는 사회 교과서》는 사회 교과서에 나오는 기초 개념을 생활 속 이야기를 통해 쉽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술술 읽다 보면 어느새 사회 교과 내용이 손에 잡힙니다.
20권으로 교과서의 모든 개념이 빠짐없이 정리돼요!
《손에 잡히는 사회 교과서》는 각 장마다 연계되는 교과서 단원을 표시해 학교 진도에 맞춰 쉽게 찾아 읽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교과서에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 사회 현상의 원리와 배경, 생활 속 예를 들어 학습의 기초를 쌓는 데 좋습니다. 중고등학교 사회는 깊이만 다를 뿐 초등학교 사회에서 다루는 주제들과 거의 일치합니다. 그래서 한번 잡은 기초는 고학년까지 든든한 토대가 됩니다.
1학년에서 6학년까지 교과서에 흩어져 있는 지식의 체계를 잡았다!
교과서는 비슷한 내용이 각 학년에 나누어져 있습니다. 그래서 다양하게 골고루 공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 학년에 여러 분야를 배우다 보니 전에 배운 내용과 다음에 배울 내용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알기 어렵기도 합니다.
《손에 잡히는 사회 교과서》는 1학년부터 6학년까지 교과서에 조각조각 흩어져 있는 지식을 하나로 연결시켰습니다. 교과서에 흩어져 있는 내용을 법, 종교, 경제, 정치 등 주제별로 묶어 큰 흐름 안에서 이해하면 비로소 지식의 체계가 잡힙니다.
생활 속에 살아 숨 쉬는 사회, 독서력을 기르는 교과 학습 정보서
엄마가 해 주신 저녁 반찬에서 시장의 경제를, 내 홈페이지 속 아바타로 세계 종교를 배웁니다. 학교 앞 횡단보도 위에는 어린이의 인권이 숨어 있습니다. 책 속에만 있던 사회를 이렇게 학교와 집, 동네에서 직접 만나고 경험할 수 있도록 꾸몄습니다. 어린이가 실제 경험과 생활을 바탕으로 터득한 지식은 머릿속으로 기억하는 지식보다 훨씬 쉽게 이해됩니다.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는 이해하기 쉬운 글과 동화, 신문 기사 등 다양한 글쓰기 방법을 시도했습니다. 여러 가지 정보 그림, 도표, 확인 학습이 곁들어져 있어 입체적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교과 학습은 물론, 고학년이 될수록 부족해지기 쉬운 독서까지 한 번에 해결해 주는 책입니다.
네! 저는 이곳 숭례문 방화 사건 현장에 나와 있는데요, 지금 보시는 바와 같이 2층짜리 누각이 불에 타서 무너졌습니다. 경찰은 오늘 오후에 불을 지른 용의자를 붙잡았습니다.
훼손된 국보 제1호 숭례문을 복원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합니다. 숭례문 방화 사건으로 많은 국민들이 허탈감과 슬픔에 잠겼는데요, 이번 사건을 계기로 국가와 국민은 문화재 보존과 사랑에 더욱 관심을 쏟을 것으로 보입니다.
고구려 성은 돌을 일정한 크기로 다듬어서 쌓았어요. 바깥에서 성벽을 보면 마치 벽돌을 쌓은 것처럼 가지런해요. 뒤쪽을 보면 길쭉하면서 뾰족한 돌들이 사이사이에 박혀 있어요. 그 모양이 개 이빨을 닮았다고 해서 견치석이라고 부르기도 해요. 뾰족한 돌들 사이로 생기는 공간에 다른 돌을 끼워 넣어요. 이것이 바로 몇 천 년이 지나도 고구려 성이 무너지지 않고 남아 있는 비결이랍니다.
청동으로 만든 거울과 방울은 지배자의 장신구이면서 제사용 도구였어요. 잔무늬 거울은 청동기 후기에서 초기 철기 시대에 유행한 아름다운 거울이에요. 이 거울을 한번 보세요. 지름이 21.2센티미터로 동그라미 무늬가 크게 3등분되어 있는데, 각 원마다 작은 삼각형 무늬가 새겨져 있어요.
거울에 새겨진 가는 선과 동그라미는 모두 몇 개일까요? 놀라지 마세요. 이 작은 거울에 0.3밀리미터 간격으로 새겨진 선은 1만 3,000개가 넘고, 거울 사방에 새겨진 크고 작은 동그라미는 100개가 넘어요.
작가 소개
저자 : 이종하
충청남도 서천에서 출생하여 충남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다. 대학 재학 중 대전 지역 야학 교사로 활동하며 5년간 역사 과목을 강의했다. 그 후 역사와 문화 교육의 중요성을 깨닫고 뿌리역사문화연구회를 창립하여 대표를 맡았다. 10년여에 걸쳐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교실 밖 역사 여행’ ‘어린이 역사 탐험대’를 이끌며 현장에서 역사 교육을 실천했다. 불이학교 등의 대안학교와 부흥고등학교 등에서 한국사 강의를 맡기도 했다. 또한 한국체험학습강사협회 회장을 지냈다.저서로는 『신나는 체험학습 - 전라남도』 『신나는 체험학습 - 충청도』 등이 있으며, 공저로 『손에 잡히는 사회교과서 - 세계문화유산』 『손에 잡히는 사회교과서 - 우리 문화재』 등 시리즈 5권과 『지식N탐사 - 답사를 떠나요』가 있다.
목차
우리 민족의 역사가 담긴 문화재 12쪽
자랑스러운 우리 문화재
(관련 단원) 3학년 1학기 _ 2. 고장의 자랑 _ 고장을 대표하는 것
(관련 단원) 6학년 2학기 _ 3. 정보화, 세계화 그리고 우리 _ 전통과 세계의 만남
·소중한 문화재 16쪽
·문화재의 분류 22쪽
삶과 생각이 표현된 건축 문화재
(관련 단원) 3학년 1학기 _ 3. 고장의 생활과 변화 _ 의식주 생활의 변화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1. 하나 된 겨레 _ 삼국 통일과 발해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2. 다양한 문화를 꽃피운 고려 _ 불교의 영향과 고려 사람들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3. 유교 전통이 자리 잡은 조선 _ 유교 전통과 신분 질서
·우리나라 건축물의 특징 32쪽
·선사 시대의 건축물 35쪽
·삼국 시대의 건축물 39쪽
·조화와 균형을 강조한 통일 신라의 건축 46쪽
·어울림 속에 아름다움이 있는 고려의 절집 54쪽
·질서가 강조된 조선의 건축 58쪽
생활을 예술로 바꾼 회화 문화재
(관련 단원) 3학년 1학기 _ 3. 고장의 생활과 변화 _ 고장의 문화유산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1. 하나 된 겨레 _ 선사 시대 사람들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2. 다양한 문화를 꽃피운 고려 _ 불교의 영향과 고려 사람들
(관련 단원) 5학년 2학기 _ 1. 조선 사회의 새로운 움직임 _ 서민 문화의 발달
·회화 문화재란? 66쪽
·바위에 그림을 새긴 선사 시대 68쪽
·영원한 삶을 꿈꾼 고분 벽화 74쪽
·부처님의 나라를 꿈꾸던 고려 시대 80쪽
·소재가 다양해진 조선 시대 86쪽
조상의 삶 속에 들어온 생활 문화재
(관련 단원) 3학년 1학기 _ 3. 고장의 생활과 변화 _ 지혜를 담아 온 생활 도구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1. 하나 된 겨레 _ 선사 시대 사람들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2. 다양한 문화를 꽃피운 고려 _ 고려의 과학과 기술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3. 유교 전통이 자리 잡은 조선 _ 조선 시대 사람들의 생활
·생활 문화재란? 100쪽
·생활에 변화를 몰고 온 도구들 102쪽
·돌에서 철제 농기구로의 변화 111쪽
·토기에서 도자기로의 변화 116쪽
·한옥에 어울리는 가구 126쪽
과학과 만난 금속 공예 문화재
(관련 단원) 3학년 1학기 _ 3. 고장의 생활과 변화 _ 의식주 생활의 변화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1. 하나 된 겨레 _ 최초의 국가 고조선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1. 하나 된 겨레 _ 삼국의 성립과 발전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2. 다양한 문화를 꽃피운 고려 _ 불교의 영향과 고려 사람들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3. 유교 전통이 자리 잡은 조선 _ 조선 시대 사람들의 생활
·금속 공예 문화재란? 134쪽
·인류가 사용한 최초의 금속, 청동기 136쪽
·황금의 나라, 신라 142쪽
·백제의 마지막 수도, 부여의 자존심 145쪽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소리 148쪽
·은입사 정병에 새긴 고려 사람들의 이상향 153쪽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그릇, 유기 156쪽
·시대를 닮아 가는 불상 159쪽
삶의 질을 높여 준 과학 문화재
(관련 단원) 3학년 1학기 _ 2. 고장의 자랑 _ 고장의 자랑스러운 인물과 일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1. 하나 된 겨레 _ 삼국의 성립과 발전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2. 다양한 문화를 꽃피운 고려 _ 고려의 과학과 기술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3. 유교 전통이 자리 잡은 조선 _ 조선 시대 사람들의 생활
·과학 문화재란? 166쪽
·하늘을 알고 싶어 했던 삼국 시대 사람들 168쪽
·다양한 방법으로 책을 만든 고려 시대 사람들 171쪽
·과학 강국으로 발전시킨 조선 시대 사람들 176쪽
한눈에 펼쳐 보는 부록 192쪽
찾아보기 및 사진 제공 19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