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수전 손택의 말』에는 1978년 <롤링스톤>과 한 인터뷰가 오롯이 담겼는데 문학, 영화, 음악, 성 등 다양한 영역을 넘나드는 작가의 말에는 여지없이 그만의 지성이 배어난다. 특유의 통찰력 가득한 글을 통해 그는 “새로운 감수성의 사제” “뉴욕 지성계의 여왕”으로 칭송받았지만 실상 그 청춘은 극적 사건으로 가득했다.『다시, 태어나다』에 내밀하게 드러나듯 젊은 시절의 출산, 유럽 유학 시절 성 정체성의 자각과 두 연인들과의 애증의 관계, 이성애나 결혼 제도를 향한 감정의 격랑 등이 그것이다.
『수전 손택의 말』에서 작가는 그 사건들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지만, 성적 자유의 주체인 여성을 단죄하는 사회적 편견에 대한 비판과, 젠더 질서를 포함한 모든 전형적인 범주에 도전하는 시각을 드러낸다. 즉 그 누구도 여성이라는 이유로, 늙었다는 이유로 주눅 들거나 차별받아서는 안 된다는 것인데, 이는 손택이 남성/여성이나 젊음/늙음처럼 인간을 스테레오 타입화 하는 것이 우리네 삶의 가능성을 제한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출판사 리뷰
세계 여성의 날 특별판
‘경쾌한 에디션’으로 만나는 수전 손택과 박완서의 말
지난해 가을 손보미 소설가의 짧은소설 『맨해튼의 반딧불이』 ‘경쾌한 에디션’ 발간을 시작으로 2020년 봄, 마음산책은 또 다른 경쾌한 에디션 두 권을 들고 찾아왔다. 하드커버와 흑백무선, 두 가지 에디션을 동시 출간한 지난번 실험이 한 권의 책을 두 가지 물성으로 동시에 느껴보는 계기를 마련했다면, 이번 실험은 3.8 세계 여성의 날을 기념하여 여성주의라는 렌즈로 독자들에게 새로운 말 걸기를 시도하고자 한다.
올해 경쾌한 에디션으로 선별한 책은 마음산책 ‘말 시리즈’ 가운데 특별히 많은 사랑을 받아온 『수전 손택의 말』과 『박완서의 말』이다. 마음산책 ‘말 시리즈’는 ‘말에 지성이 실린 책’을 표방하며 인물들이 남긴 기록, 대담, 인터뷰 등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된 말을 매개로 거장들의 생각과 철학을 소개해왔다. 흥미롭게도 이 시리즈의 첫 번째 자리를 차지한 인물이 수전 손택이었고, 처음으로 소개한 국내 작가가 박완서였다는 점은 다양한 지성들 가운데 여성 인물에 남달리 주목해온 마음산책의 뜻이 자리한다.
하지만 마음산책이 손택과 박완서의 말을 환기하고자 한 것은 단순히 이들이 성차별적 현실에도 불구하고 학계와 예술계, 문단에서 큰 족적을 남겼기 때문만은 아니다. 두 지성이 특별한 것은 이들이 글쓰기에 대한 무한한 사랑을 바탕으로 새로운 언어에 대한 탐구를 멈추지 않았다는 데 있다. 여성이 자신의 언어를 갖는 것이 허락되지 않던 시절, 손택과 박완서는 현실을 글로 묘사하고 해석함으로써, 새로운 인식을 개척해온 것이다. 경쾌한 에디션『수전 손택의 말』과『박완서의 말』은 성평등을 향한 목소리가 여느 때보다 높은 지금, 여성들이 동등한 시민으로서 자신의 자리와 언어를 고민하게 하는 자극제가 될 것이다.
글 쓰는 여자는 질문한다
수전 손택의 젠더 스테레오 타입에 대한 도전
『수전 손택의 말』에는 1978년 <롤링스톤>과 한 인터뷰가 오롯이 담겼는데 문학, 영화, 음악, 성 등 다양한 영역을 넘나드는 작가의 말에는 여지없이 그만의 지성이 배어난다. 특유의 통찰력 가득한 글을 통해 그는 “새로운 감수성의 사제” “뉴욕 지성계의 여왕”으로 칭송받았지만 실상 그 청춘은 극적 사건으로 가득했다.『다시, 태어나다』에 내밀하게 드러나듯 젊은 시절의 출산, 유럽 유학 시절 성 정체성의 자각과 두 연인들과의 애증의 관계, 이성애나 결혼 제도를 향한 감정의 격랑 등이 그것이다. 『수전 손택의 말』에서 작가는 그 사건들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지만, 성적 자유의 주체인 여성을 단죄하는 사회적 편견에 대한 비판과, 젠더 질서를 포함한 모든 전형적인 범주에 도전하는 시각을 드러낸다. 즉 그 누구도 여성이라는 이유로, 늙었다는 이유로 주눅 들거나 차별받아서는 안 된다는 것인데, 이는 손택이 남성/여성이나 젊음/늙음처럼 인간을 스테레오 타입화 하는 것이 우리네 삶의 가능성을 제한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 특히 여자들이 나한테 그런 질문을 했죠. “어떻게 기가 꺾이지 않으신 거예요? 그런 야망들을 품어서는 안 된다는 얘기를 많이 들으셨을 텐데요.” 아마 내 기가 꺾이지 않았던 건 그런 메시지에 아예 귀를 기울이지 않았기 때문일 거예요. 그런 소리를 듣지 않기 위해서는, 확실히 어떤 면에서 청각 기능을 꺼버려야 했던 것 같아요. 그래서 거리를 두었다면, 본능적으로 내 기를 꺾을 만한 것들에 맞서 나 자신을 보호한다는 의미에서 그랬을 뿐이에요. ‘그러면 안 돼, 그러면 시집을 못 가’ 같은 소리를 하는 사람들이라든가.(웃음)
-178쪽
한편 대단한 탐독가이기도 했던 수전 손택이 당대 페미니스트들의 저작을 평하는 대목도 빛난다. 작가는 보부아르의 『제2의 성』에 대해 일부 동의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고 전제하면서도 이를 “늙음을 문화적 현상으로서 진지하게 다룬” 최초의 저서로 평한다. 또한 엘렌 식수 등 프랑스 정신분석학 페미니스트들이 주창한 ‘여성적 글쓰기’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생물학적 본질주의로 환원될 수 있음을 경계한다.『수전 손택의 말』은 고고하게만 비춰진 손택의 다채로운 내면을 소개하면서도 자유를 꿈꾸는 오늘날의 여성주의자들에게 영원한 화두를 던지고 있다. “나는 어떤 존재인가, 어떤 사유를 하는가,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가?”
당신은 지금의 우리가 존재하는 양상의 전부와 과거의 우리 모습 모두가 문학 덕분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책들이 사라진다면 역사도 사라질 것이고, 인간 역시 사라질 것이라고요. 나는 당신의 말이 옳다고 확신합니다. 책들은 우리 꿈 그리고 우리 기억의 자의적인 총합에 불과한 게 아닙니다. 책들은 또한 우리에게 자기 초월의 모델을 제공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독서를 일종의 도피로 생각할 뿐입니다. ‘현실’의 일상적 세계에서 탈피해 상상의 세계, 책들의 세계로 도망가는 출구라고요. 책들은 단연 그 이상입니다. 온전히 인간이 되는 길이기 때문입니다.
콧 : 시몬 드 보부아르가 『성년The Coming of Age』과 『제2의 성性』에서 바로 그런 테마와 주제 들을 탐구한다는 점은 매혹적인 우연인데요.
손택: 글쎄요, 제 생각에 보부아르는 기가 막히게 근사해요. 프랑스에서는 다반사로 비난을 듣고 있긴 하지만요. 『제2의 성』에는 부분적으로 동의할 수 없는 대목들이 있지만 전 여전히 지금까지 나온 중 가장 훌륭한 페미니즘 저서라고 생각합니다. 소위 운동보다 훨씬 앞서 있어요. 또한 늙음을 문화적 현상으로서 진지하게 다룬 건 그녀가 최초라고 생각합니다.
성적인 전형들에 대해서 말하자면 말이죠, 얼마 전 밤에 빈센스대학 세미나에 초청을 받아 갔다가 데이비드(손택의 아들 데이비드 리프)와 겪은 상황이 있어요. 세미나가 끝나고 데이비드와 나 말고도 네 사람이 같이 커피를 마시러 갔습니다. 그런데 어쩌다 보니 세미나에서 같이 온 사람들이 모두 여자였어요. 테이블에 다 같이 앉았는데 그중 한 여자가 프랑스어로 데이비드에게 말하더군요. “아, 딱한 남자 같으니. 여자 다섯하고 한 테이블에 앉게 돼서 어떡해요!” 그러자 모두 웃음을 터뜨렸어요. 그래서 내가 그 여자들에게 말했습니다. 모두 빈센스대학의 교수였지요. “지금 무슨 말들을 하고 계시는지 알아요? 얼마나 자존감이 낮은 건지 아시냐고요?”
작가 소개
지은이 : 수전 손택
소설가, 에세이스트, 예술.문화 평론가, 연극 연출가, 영화감독. 1933년 1월 미국 뉴욕의 유대계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손택’은 계부에게서 물려받은 성이다.열다섯 살에 버클리대학교에 입학했지만 이내 시카고대학교로 옮겨 철학과 고대사, 문학을 공부했다. 스물다섯 살에 하버드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파리대학교, 옥스퍼드대학교 등에서 수학했으며 그 뒤 컬럼비아대학교, 뉴욕시립대학교 등에서 강의했다. 1963년 첫 소설 『은인(The Benefactor)』을 출간했고, 이듬해 <파르티잔리뷰(Partisan Review)>에 「‘캠프’에 관한 단상」을 발표, 본격적으로 문단과 학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구분, 예술 작품에 대한 과도한 해석 등에 반기를 든 이때의 글들은 뒤에 수전 손택이 “새로운 감수성의 사제” “뉴욕 지성계의 여왕” “대중문화의 퍼스트레이디”로 자리매김하는 토대가 되었다. 다양한 문화 영역에 재능을 보였지만 스스로는 원칙적으로 소설가였다.베트남전쟁이 한창일 땐 전쟁과 미국의 허위를 고발했고 1987년부터 1989년 미국펜클럽(PEN American Center) 회장 역임 중에는 한국을 방문해 구속 문인 석방을 촉구하기도 했다. 1993년에는 내전 중이던 사라예보에서 <고도를 기다리며>를 상연하는 등 실천하는 지식인의 면모를 유감없이 보였다.주요 저서로 소설 『나, 그리고 그 밖의 것들』(1977), 『인 아메리카』(1999), 에세이 『해석에 반대한다』(1966), 『사진에 관하여』(1977), 『은유로서의 질병』(1978), 『타인의 고통』(2003) 등이 있다.2004년 12월 골수성백혈병으로 사망했다.
지은이 : 조너선 콧
에디터이자 작가. <롤링스톤>의 창립 공신이다. <롤링스톤>을 통해 존 레넌, 밥 딜런, 글렌 굴드, 레너드 번스타인 등과 명대담을 남겼고 책으로 출간했으며, <뉴욕타임스> <뉴요커> 등에 오랫동안 기고했다. 『옴 세티를 찾아서(The Search for Omm Sety)』 『기억의 바다에서(On the Sea of Memory: A Journey from Forgetting to Remembering)』 등 20여 권의 책을 냈다. 뉴욕에 살고 있다.
목차
서문┃조너선 콧
수전 손택의 말
옮긴이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