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우리는 시민입니다  이미지

우리는 시민입니다
현장에서 말하는 한국민주시민교육론
피어나 | 부모님 | 2020.12.15
  • 정가
  • 28,000원
  • 판매가
  • 25,2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400P (5% 적립)
  • 상세정보
  • 22.3x15.2 | 0.717Kg | 512p
  • ISBN
  • 9788998408343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이론적 탐색과 현장의 목소리가 잘 합쳐진 민주시민교육 안내서이다. 올바르게 설명된 자유민주주의, 또는 우리 헌법이 규정한 민주공화국의 이상에 근거하여 한국에서 민주시민교육을 추구하는 한국 나름의 역사적, 정치적 맥락을 밝혀낸다.

그리고 민주시민교육을 추진하는 정책과 교육방법론, 여기에 ‘인권교육’을 비롯하여 의제에 따라 형성된 9곳 민주시민교육 현장의 생생한 면모를 담았다. 그래서 붙은 부제가 ‘현장에서 말하는 한국민주시민교육론’. 일반 시민이 읽기에도 무리가 없지만, 누구보다도 민주시민교육에 종사하는 교육자와 활동가, 정책 담당자, 연구자 들이 꼭 읽어야 할 책이다.

  출판사 리뷰

《우리는 시민입니다-현장에서 말하는 한국민주시민교육론》은 이론적 탐색과 현장의 목소리가 잘 합쳐진 민주시민교육 안내서이다. 올바르게 설명된 자유민주주의, 또는 우리 헌법이 규정한 민주공화국의 이상에 근거하여 한국에서 민주시민교육을 추구하는 한국 나름의 역사적, 정치적 맥락을 밝혀낸다. 그리고 민주시민교육을 추진하는 정책과 교육방법론, 여기에 ‘인권교육’을 비롯하여 의제에 따라 형성된 9곳 민주시민교육 현장의 생생한 면모를 담았다. 그래서 붙은 부제가 ‘현장에서 말하는 한국민주시민교육론’. 일반 시민이 읽기에도 무리가 없지만, 누구보다도 민주시민교육에 종사하는 교육자와 활동가, 정책 담당자, 연구자 들이 꼭 읽어야 할 책이다.

시민 가운데 ‘민주시민’이 있고 그렇지 않은 시민이 있을까? 그렇다. “민주주의는 피를 먹고 자란다”는 4.19혁명 선언의 글귀처럼 민주시민도 한국의 일상적 공교육 체제에서 자동으로 길러지는 인간형이 아니다. 독일, 스웨덴, 영국, 미국 등의 민주주의 역사, 민주시민교육의 역사를 살펴봐도 다 그러하다. 학교교육과 사회교육, 평생교육에서 얼마나 민주시민교육에 투자하느냐에 따라 그 나라의 민주적 시민성의 수준, 그리고 민주주의의 수준이 좌우된다.

총론인 1장의 ‘한국의 민주주의와 민주시민교육’에서 민주시민교육을 진보의 전유물로 여기는 등의 다양한 오해와 논란에 대해 정면으로 정치철학적 비판과 정리를 시도하여 논쟁 구도 등을 명쾌하게 정비한 점은 이 책의 흥밋거리이자 뛰어난 업적이다. 그런 정비 작업을 가능하게 한 힘은 현장의 생생한 활동과 논점들을 소개한 9편의 현장교육론에서 나온다.

진보와 보수의 정치적 대립이 때로는 건전한 경쟁을 넘어서 음모와 거짓과 증오로 휩쓸려가는 한국 사회에서 민주주의를 발전시켜 더 나은 삶을 펼쳐줄 힘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역사에 발을 딛고 현실에 눈뜨고 있는 시민의 민주적 역량이야말로 이제는 의심할 바 없는 답이다. 그런데 민주적 역량은 폭압 속에서 일어나는 저항의 물결로 순식간에 솟구치기도 하지만, 그 거친 기억을 섬세하게 다듬어 높이 북돋울 공부 없이는 유지되고 발전할 수 없다. 거대한 정치 참여에서 민주주의에 비로소 눈을 뜨고 역사의 굵직한 장면을 보았다면 민주시민교육은 그러한 민주적 역사가 일상의 삶에서 어떤 문제들과 씨름하며 하나씩 현실의 수면 위로 떠오르는지 이해하는 과정이다. 또한 그 현실의 변화에 참여하고 힘을 보태면서 민주시민으로 커나가는 과정이다.

일반 시민이 읽기에도 무리가 없지만, 누구보다도 민주시민교육에 종사하는 교육자와 활동가, 정책 담당자, 연구자 들이 꼭 읽어야 할 책이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에서 기획한 이 책은 정치철학자 장은주가 총론격의 서론을 썼고, 이 서론과 함께 민주시민교육 정책(조철민), 민주시민교육 방법론(이다현), 역사교육(김민철) 등을 1부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전반’으로 묶었다. 2부 ‘한국민주시민교육의 다양한 영역’에서는 마을자치교육(이필구), 자원봉사교육(곽형모), 청소년교육(권복희), 성평등교육(로리주희) 등의 현황과 과제를 소개한다. 3부 ‘세계시민으로 나아가는 민주시민교육’에서는 인권교육(배경내), 평화교육(조정현), 환경교육(장미정), 공존교육(이란주) 등 네 가지 주제를 둘러싼 한국 시민사회의 노력과 성취를 다루었다. 시민의 삶의 면모와 관심사가 다양하듯이 민주시민교육의 주제도 다양하다.

《우리는 시민입니다-현장에서 말하는 한국민주시민교육론》은 민주시민교육의 생생한 표정을 살펴볼 수 있는 책이다. 민주시민교육에 종사하는 사람, 관심을 가진 사람이라 하더라도 넓디 넓은 이 분야의 공부거리를 단숨에 훑어볼 수는 없다. 하지만 교육을 기획하고 진행하려는 사람은 전체 그림을 그려야 하고 지도의 좌표와 현재의 역사 시계를 볼 줄 알아야 한다. 이 책은 우선 그런 사람들에게 훌륭하고도 친절한 길잡이 노릇을 한다. 그다음으로 한국의 민주시민교육이 어디로 가야 하고 어떻게 가야 하는지 주제별 교육에 종사하는 사람들과 총체적으로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토론과 상상의 기회를 제공한다.

▶ 서문에서

이 책은 한편으로는 우리 사회에서 진행되어온 다양한 영역의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관심과 노력을 성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더 나은 민주시민교육의 실천에 필요한 개념적이고 규범적이며 방법론적인 전제들을 다듬거나 새로이 마련하려는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즉, 한국에서 이루어지는 민주주의 발전의 특성을 염두에 두면서, 민주시민교육의 기본 개념은 물론 다양한 실천 및 활동의 양상을 정리해보자는 것이다. 이 바탕 위에서 특히 정책 담당자와 교육자 및 활동가 들에게 우리 사회에서 이루어지는 민주시민교육 전반을 조망하고 스스로의 위상을 가늠하게 하여, 민주시민교육의 심화와 발전을 위한 조그만 디딤돌이 되고자 한다.

민주시민교육은 민주주의, 특히 우리나라 민주주의에서 어떤 의미가 있을까? 민주시민교육은 우리가 추구하는 민주주의 이상과 현실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민주주의를 좀 더 이상에 가까이 가게 만들기 위한 사회적 기획이다. 더 많은 사람이 민주주의 사회의 시민으로서 권리와 의무를 자각하고 다양한 수준의 민주적 과정에 참여하고 권력을 감시하며 민주적 공론장에서 사회의 공동선을 구성하고 실현하는 일에 나설 수 있을 때, 우리 민주주의와 사회의 삶의 질도 더 성숙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가 출발점이다.

민주시민교육은 내용도 민주적이어야 하지만 민주시민교육을 다루는 사회적 방식 역시 민주적이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충분하고 바람직한 민주시민교육은 어느 한 부분의 노력만으로 이루기 힘든 과제로, 민관(民官)을 아우르는 다양한 영역과 주체 간 민주적 협력체계, 즉 민관협치 구축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 민주적 민관협치는 민주시민교육의 정치적 편향성, 관변화(官邊化), 그리고 정책적 불안정성 등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근본적인 방안이기도 하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장은주
서울대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독일 프랑크푸르트 요한 볼프강 괴테 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2년부터 영산대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고 있고, 경기도와 부산 교육청 민주시민교육 자문위원,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시민 교육센터 운영위원을 맡고 있다. 민주시민교육 제도화와 학교에서 민주시민교육 필수교과를 도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국의 민주시민교육에 관해 쓴 책으로 《시민교육이 희망이다: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철학과 실천모델》이 있다.

지은이 : 배경내
인권교육센터 들 상임활동가 hregang@hanmail.net억눌린 목소리를 듣고 통역하여 사회에 전하는 일에 관심이 많습니다. 특히 청소년의 목소리로 부터 많이 배우려 합니다. ‘인권교육센터 들’에 둥지를 틀고 있고, 청소년 참정권 확대와 학생인 권법 제정을 위해 활동하는 ‘촛불청소년인권법제정연대’에도 함께하고 있습니다. 《인권, 교문을 넘다》, 《다시 봄이 올 거예요》, 《십 대 밑바닥 노동》 등을 함께 썼습니다.

지은이 : 조철민
시민단체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 민주시민교육을 알게 되고 지금까지 관련된 연구와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최근에는 사회학을 공부해 학위를 받고 민주시민교육을 비롯해 시민운동, 마을만들기, 자원봉사 등 시민사회에서 전개되는 시민들의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강의와 글쓰기를 하면서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지내고 있다

지은이 : 이다현
변화를 위한 교육, 함께하는 삶, 자유로운 개인에 관한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실천하고 있다. 정말 우연한 기회에 민주시민교육 방법론을 만나게 되었고, 현재의 활동과 공부도 그 연장선에 있다. 공주대학교에서 평생교육을 공부했고, 공주대학교 혁신교육지원센터 연구교수이다.

지은이 : 김민철
한국근현대사 연구자로 친일문제를 비롯하여 강제동원피해자,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 등 과거청산 문제와 씨름하면서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로 일하고 있다. 30여 년간 민족문제연구소와 함께 청춘을 보냈으며 역사학자로, 시민운동가로, 선생으로 여러 정체성을 갖고 있다. 가끔은 빅뱅 이후 138억 년의 내력을 가진 우주먼지로 의미 없음에 의미를 부여해 보려 노력하고 있다.

지은이 : 이필구
지난 25년간 YMCA 운동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생활협동운동, 소비자운동, 환 경운동, 사회교육운동, 지방자치, 주민자치, 마을만들기, 시민정치운동에 관심 갖게 되었고, 시간이 쌓이면서 ‘만남과 변화, 자치와 협동의 원리로 운영되는 지역사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하는 물음을 하며 살아왔다. 지금도 여전히 사람의 변화, 사회의 변화, 그 시작점인 ‘사람과 사람이 이어져 서로 지탱하는 것’에 대해 고민이 많다.

지은이 : 곽형모
1980년대 초반부터 중반까지 노동자 의식화 야학을 했고 1980년대 후반부터 지역운동에 몸담았다. 2000년대 들어 자기성찰프로그램과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민주시민교육을 해왔다. 자기변화와 사회변화의 역동적 균형에 관심이 있다. 현재 자원봉사이음, 한국교육개혁전략포럼 회원이다.

지은이 : 권복희
민주시민교육프로젝트 곁에서 활동하고 있다. 미안함과 부끄러움이 시민운동을 시작한 계기였고, 청소년 활동을 지원하는 촉진자로 시민운동을 시작했다. “교육이 세상을 바꾼다는 희망은 오래되고도 새로운 것”이라는 파울로 프레이리의 말처럼 시민교육을 통해 여럿이 함께하는 세상의 변화를 꿈꾸며, 작은 움직임들을 만들어가고 싶어 한다.

지은이 : 로리주희
대학에서 여학생운동을 시작으로 여성운동 31년 차. 사회에 진출하여 한국성 폭력상담소, 한국여성단체연합에서 일하다 ‘줌마네’를 만들어 여자들의 성장과 자립을 도왔다. 대학에서 여성학을 가르치다 2017년부터 서울시성평등활동지원센터를 운영하며 성평등 활동가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세상에 좋은 영향력을 미치는 좋은 어른이 되는 게 꿈이다.

지은이 : 조정현
스스로 변화와 혁신을 꿈꾸며 실천하는 진보적인 평화활동가라 생각한다. 25년간 지역사회, 청소년, 청년, 생활협동운동, 자치와 공동체를 중심으로 현장에서 활동하며, ‘평화’를 기본적 지향가치로 삼아 삶과 일이 일치하는 삶을 지향한다. 지금은 전주YMCA에서 사무총장으로 일하고 있다. 평화교육, 한반도평화, 남과 북의 평화교류, 지구시민연대 평화운동을 하고 있다.

지은이 : 장미정
자연과 사람이 함께 행복한 세상을 꿈꾸는 환경교육운동가. 대학에서 환경학 을, 대학원에서 환경교육을 공부했다. 모두를위한환경교육연구소 대표, 서울대 환경교육과정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환경교육센터와 NPO스쿨 이사, 한국환경교육학회와 한국환경사회학회 이사,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비상임이 사, 환경부 환경교육진흥실무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사회적 형평성을 강조하는 ‘모두를 위한 환경교육’의 이론과 현장을 잇는 연구, 교육, 집필 활동을 하고 있다.

지은이 : 이란주
이주인권을 주제로 활동하는 아시아인권문화연대에서 일하고 있다. 이주민을 포함한 지역사회통합이 가능한지, 구체적인 방법이 무엇인지 찾기 위해 부천 도당동에서 다양한 실험적 활동을 하고 있다.

  목차

서문.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현황과 전망 … 5

1부한국의 민주시민교육 전반

1장 총론 한국의 민주주의와 민주시민교육 / 장은주 … 21
1. 들어가며 … 23
2. 어떤 민주주의인가? … 26
3. 시민은 누구인가? … 48
4. 민주시민교육이란 무엇인가? … 61
5. 맺으며 … 77
2장 정책 민주시민교육 정책의 역사와 논점 / 조철민 … 79
1. 공공기반으로서 민주시민교육 정책 … 81
2. 한국 민주시민교육 정책의 흐름 … 83
3. 외국의 민주시민교육 정책 동향 … 92
4. 민주시민교육 정책의 논점들 … 101
3장 교육방법 민주시민교육의 다양한 방법과 사례 / 이다현 … 109
1. 들어가며 … 111
2. 학습으로서 민주시민교육과 방법 논의 … 115
3. 다양한 학습 유형과 특징을 가진 시민성 학습 사례 … 128
4. 마무리하며 … 141
4장 역사교육 역사에서 민주주의와 시민을 배우는 비판적 체험 / 김민철 … 143
1. 들어가며 … 145
2. 민주시민교육과 역사교육론 … 148
3. 역사인식·교육의 이념과 민주화운동 교육방법론 … 155
4. 한국 민주주의 역사: 새로운 접근 … 163
5. 현안과 과제 … 173

2부한국민주시민교육의 다양한 영역

5장 마을자치 주민자치로 일상의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마을만들기 / 이필구 … 185
1. 일상의 민주주의 공간, 마을 … 187
2. 마을만들기 운동의 발전적 변화: ‘시즌 3’ 흐름과 변화 … 190
3. 마을만들기운동과 민주시민교육 … 198
4. 마을교육의 지향과 목표 … 203
5. 마을 민주주의와 행정 혁신으로 참여와 협치의 확대를 … 212
6장 자원봉사 자발성에서 출발하는 거대한 참여와 시민성의 심화 과정 / 곽형모 … 217
1. 민주주의 실현에 필요한 자원봉사 … 219
2. 자원봉사가 지닌 동력과 시민성 … 227
3. 자원봉사의 확장성을 둘러싼 쟁점 … 234
4. 민주시민교육으로서의 자원봉사교육 … 242
5. 자원봉사교육의 과제 및 발전방향 … 250
7장 청소년교육 지역사회와 학교의 운영 주체로 참여하는 청소년시민 / 권복희 … 255
1. 들어가며 … 257
2. 청소년을 바라보는 관점 … 260
3. 청소년 참여 활동의 개념 … 261
4. 청소년 참여 정책 및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흐름 … 265
5. 청소년 활동 현황 … 268
6. 당면한 과제 … 283
7. 제언 … 288
8장 성평등교육 성평등이 민주주의의 완성이다 / 로리주희 … 291
1. 들어가며 … 293
2. ‘성평등교육’의 정의 … 295
3. 한국의 성평등교육의 역사 … 304
4. 성평등교육의 과제들 … 319
5. 나가며 … 330

3부세계시민으로 나아가는 민주시민교육

9장 인권교육 문제를 재정의하는 사회적 역량 / 배경내 … 333
1. 인권교육이란 무엇인가 … 336
2. 한국 인권교육의 전개와 현황 … 343
3. 인권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은 어떻게 교차하는가 … 353
4. 인권교육이 직면한 도전과제들 … 364
5. 다시 ‘선언’에서 ‘현실’로 … 371
10장 평화교육 갈등을 평화적으로 풀어나가는 역량의 강화 / 조정현 … 373
1. 평화의 개념과 평화교육의 배경 … 375
2. 평화교육의 학습 영역과 지향성 … 392
3. 평화교육의 유형별 다양한 접근방식 … 404
4. 평화교육의 실천과 평화교육자의 역할 및 과제 … 412
11장 환경교육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환경교육 / 장미정 … 419
1. 환경교육의 개념 … 421
2. 민주시민교육과 환경교육의 관계 … 426
3. 환경교육의 유형 … 432
4. 환경교육의 흐름: 시민교육으로부터의 태동 … 436
5. 민주시민교육으로서 환경교육의 과제와 전망 … 439
6. 마무리하며: 그래도 중요한 것은 본질 … 446
12장 공존교육 이주민과 공존하기 위한 시민교육 / 이란주 … 449
1. 느닷없이 다가온 ‘공존교육’의 필요성 … 451
2. 공존교육의 내용과 흐름 … 456
3. 민주시민교육을 통해 더욱 확산해야 할 공존교육 … 475
4. 인구구조 변화와 인력확보를 위한 국제 사회 환경 변화 … 480
5. 공존교육의 발전 방향 … 483
참고자료 … 491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