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장은주
서울대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독일 프랑크푸르트 요한 볼프강 괴테 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2년부터 영산대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고 있고, 경기도와 부산 교육청 민주시민교육 자문위원,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시민 교육센터 운영위원을 맡고 있다. 민주시민교육 제도화와 학교에서 민주시민교육 필수교과를 도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국의 민주시민교육에 관해 쓴 책으로 《시민교육이 희망이다: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철학과 실천모델》이 있다.
지은이 : 배경내
인권교육센터 들 상임활동가 hregang@hanmail.net억눌린 목소리를 듣고 통역하여 사회에 전하는 일에 관심이 많습니다. 특히 청소년의 목소리로 부터 많이 배우려 합니다. ‘인권교육센터 들’에 둥지를 틀고 있고, 청소년 참정권 확대와 학생인 권법 제정을 위해 활동하는 ‘촛불청소년인권법제정연대’에도 함께하고 있습니다. 《인권, 교문을 넘다》, 《다시 봄이 올 거예요》, 《십 대 밑바닥 노동》 등을 함께 썼습니다.
지은이 : 조철민
시민단체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 민주시민교육을 알게 되고 지금까지 관련된 연구와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최근에는 사회학을 공부해 학위를 받고 민주시민교육을 비롯해 시민운동, 마을만들기, 자원봉사 등 시민사회에서 전개되는 시민들의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강의와 글쓰기를 하면서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지내고 있다
지은이 : 이다현
변화를 위한 교육, 함께하는 삶, 자유로운 개인에 관한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실천하고 있다. 정말 우연한 기회에 민주시민교육 방법론을 만나게 되었고, 현재의 활동과 공부도 그 연장선에 있다. 공주대학교에서 평생교육을 공부했고, 공주대학교 혁신교육지원센터 연구교수이다.
지은이 : 김민철
한국근현대사 연구자로 친일문제를 비롯하여 강제동원피해자,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 등 과거청산 문제와 씨름하면서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로 일하고 있다. 30여 년간 민족문제연구소와 함께 청춘을 보냈으며 역사학자로, 시민운동가로, 선생으로 여러 정체성을 갖고 있다. 가끔은 빅뱅 이후 138억 년의 내력을 가진 우주먼지로 의미 없음에 의미를 부여해 보려 노력하고 있다.
지은이 : 이필구
지난 25년간 YMCA 운동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생활협동운동, 소비자운동, 환 경운동, 사회교육운동, 지방자치, 주민자치, 마을만들기, 시민정치운동에 관심 갖게 되었고, 시간이 쌓이면서 ‘만남과 변화, 자치와 협동의 원리로 운영되는 지역사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하는 물음을 하며 살아왔다. 지금도 여전히 사람의 변화, 사회의 변화, 그 시작점인 ‘사람과 사람이 이어져 서로 지탱하는 것’에 대해 고민이 많다.
지은이 : 곽형모
1980년대 초반부터 중반까지 노동자 의식화 야학을 했고 1980년대 후반부터 지역운동에 몸담았다. 2000년대 들어 자기성찰프로그램과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민주시민교육을 해왔다. 자기변화와 사회변화의 역동적 균형에 관심이 있다. 현재 자원봉사이음, 한국교육개혁전략포럼 회원이다.
지은이 : 권복희
민주시민교육프로젝트 곁에서 활동하고 있다. 미안함과 부끄러움이 시민운동을 시작한 계기였고, 청소년 활동을 지원하는 촉진자로 시민운동을 시작했다. “교육이 세상을 바꾼다는 희망은 오래되고도 새로운 것”이라는 파울로 프레이리의 말처럼 시민교육을 통해 여럿이 함께하는 세상의 변화를 꿈꾸며, 작은 움직임들을 만들어가고 싶어 한다.
지은이 : 로리주희
대학에서 여학생운동을 시작으로 여성운동 31년 차. 사회에 진출하여 한국성 폭력상담소, 한국여성단체연합에서 일하다 ‘줌마네’를 만들어 여자들의 성장과 자립을 도왔다. 대학에서 여성학을 가르치다 2017년부터 서울시성평등활동지원센터를 운영하며 성평등 활동가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세상에 좋은 영향력을 미치는 좋은 어른이 되는 게 꿈이다.
지은이 : 조정현
스스로 변화와 혁신을 꿈꾸며 실천하는 진보적인 평화활동가라 생각한다. 25년간 지역사회, 청소년, 청년, 생활협동운동, 자치와 공동체를 중심으로 현장에서 활동하며, ‘평화’를 기본적 지향가치로 삼아 삶과 일이 일치하는 삶을 지향한다. 지금은 전주YMCA에서 사무총장으로 일하고 있다. 평화교육, 한반도평화, 남과 북의 평화교류, 지구시민연대 평화운동을 하고 있다.
지은이 : 장미정
자연과 사람이 함께 행복한 세상을 꿈꾸는 환경교육운동가. 대학에서 환경학 을, 대학원에서 환경교육을 공부했다. 모두를위한환경교육연구소 대표, 서울대 환경교육과정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환경교육센터와 NPO스쿨 이사, 한국환경교육학회와 한국환경사회학회 이사,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비상임이 사, 환경부 환경교육진흥실무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사회적 형평성을 강조하는 ‘모두를 위한 환경교육’의 이론과 현장을 잇는 연구, 교육, 집필 활동을 하고 있다.
지은이 : 이란주
이주인권을 주제로 활동하는 아시아인권문화연대에서 일하고 있다. 이주민을 포함한 지역사회통합이 가능한지, 구체적인 방법이 무엇인지 찾기 위해 부천 도당동에서 다양한 실험적 활동을 하고 있다.
서문.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현황과 전망 … 5
1부한국의 민주시민교육 전반
1장 총론 한국의 민주주의와 민주시민교육 / 장은주 … 21
1. 들어가며 … 23
2. 어떤 민주주의인가? … 26
3. 시민은 누구인가? … 48
4. 민주시민교육이란 무엇인가? … 61
5. 맺으며 … 77
2장 정책 민주시민교육 정책의 역사와 논점 / 조철민 … 79
1. 공공기반으로서 민주시민교육 정책 … 81
2. 한국 민주시민교육 정책의 흐름 … 83
3. 외국의 민주시민교육 정책 동향 … 92
4. 민주시민교육 정책의 논점들 … 101
3장 교육방법 민주시민교육의 다양한 방법과 사례 / 이다현 … 109
1. 들어가며 … 111
2. 학습으로서 민주시민교육과 방법 논의 … 115
3. 다양한 학습 유형과 특징을 가진 시민성 학습 사례 … 128
4. 마무리하며 … 141
4장 역사교육 역사에서 민주주의와 시민을 배우는 비판적 체험 / 김민철 … 143
1. 들어가며 … 145
2. 민주시민교육과 역사교육론 … 148
3. 역사인식·교육의 이념과 민주화운동 교육방법론 … 155
4. 한국 민주주의 역사: 새로운 접근 … 163
5. 현안과 과제 … 173
2부한국민주시민교육의 다양한 영역
5장 마을자치 주민자치로 일상의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마을만들기 / 이필구 … 185
1. 일상의 민주주의 공간, 마을 … 187
2. 마을만들기 운동의 발전적 변화: ‘시즌 3’ 흐름과 변화 … 190
3. 마을만들기운동과 민주시민교육 … 198
4. 마을교육의 지향과 목표 … 203
5. 마을 민주주의와 행정 혁신으로 참여와 협치의 확대를 … 212
6장 자원봉사 자발성에서 출발하는 거대한 참여와 시민성의 심화 과정 / 곽형모 … 217
1. 민주주의 실현에 필요한 자원봉사 … 219
2. 자원봉사가 지닌 동력과 시민성 … 227
3. 자원봉사의 확장성을 둘러싼 쟁점 … 234
4. 민주시민교육으로서의 자원봉사교육 … 242
5. 자원봉사교육의 과제 및 발전방향 … 250
7장 청소년교육 지역사회와 학교의 운영 주체로 참여하는 청소년시민 / 권복희 … 255
1. 들어가며 … 257
2. 청소년을 바라보는 관점 … 260
3. 청소년 참여 활동의 개념 … 261
4. 청소년 참여 정책 및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흐름 … 265
5. 청소년 활동 현황 … 268
6. 당면한 과제 … 283
7. 제언 … 288
8장 성평등교육 성평등이 민주주의의 완성이다 / 로리주희 … 291
1. 들어가며 … 293
2. ‘성평등교육’의 정의 … 295
3. 한국의 성평등교육의 역사 … 304
4. 성평등교육의 과제들 … 319
5. 나가며 … 330
3부세계시민으로 나아가는 민주시민교육
9장 인권교육 문제를 재정의하는 사회적 역량 / 배경내 … 333
1. 인권교육이란 무엇인가 … 336
2. 한국 인권교육의 전개와 현황 … 343
3. 인권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은 어떻게 교차하는가 … 353
4. 인권교육이 직면한 도전과제들 … 364
5. 다시 ‘선언’에서 ‘현실’로 … 371
10장 평화교육 갈등을 평화적으로 풀어나가는 역량의 강화 / 조정현 … 373
1. 평화의 개념과 평화교육의 배경 … 375
2. 평화교육의 학습 영역과 지향성 … 392
3. 평화교육의 유형별 다양한 접근방식 … 404
4. 평화교육의 실천과 평화교육자의 역할 및 과제 … 412
11장 환경교육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환경교육 / 장미정 … 419
1. 환경교육의 개념 … 421
2. 민주시민교육과 환경교육의 관계 … 426
3. 환경교육의 유형 … 432
4. 환경교육의 흐름: 시민교육으로부터의 태동 … 436
5. 민주시민교육으로서 환경교육의 과제와 전망 … 439
6. 마무리하며: 그래도 중요한 것은 본질 … 446
12장 공존교육 이주민과 공존하기 위한 시민교육 / 이란주 … 449
1. 느닷없이 다가온 ‘공존교육’의 필요성 … 451
2. 공존교육의 내용과 흐름 … 456
3. 민주시민교육을 통해 더욱 확산해야 할 공존교육 … 475
4. 인구구조 변화와 인력확보를 위한 국제 사회 환경 변화 … 480
5. 공존교육의 발전 방향 … 483
참고자료 … 491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