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역사
차선공간 이미지

차선공간
명문당 | 부모님 | 2021.05.14
  • 정가
  • 20,000원
  • 판매가
  • 18,0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000P (5% 적립)
  • 상세정보
  • 21.5x14.8 | 0.510Kg | 392p
  • ISBN
  • 9791190155991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차(茶)와 건축공간이라는 두 극단(極端)의 예술 출발점에서 시작하여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 결국 만나게 되는 과정을 최대한 수월하게 이야기 한 책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문철수
1961년 진주 生경희대학교 및 동 대학원 건축공학과 졸업공학박사, 건축사강우차회 회원경상국립대학교 건축공학과 겸임교수 역임경상남도 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 역임대한민국 건축대전 초대작가경상남도 건축문화 최우수상진주시 건축문화 대상 등 수상현 두양斗陽 건축사사무소 자영. 건축작품으로는〈목산정형외과〉,〈진주시 어린이 교통공원 및 청소년 모험공원〉,〈이병주 문학관〉,〈섬진강 생태과학관〉, 〈함양 장례식장〉,〈가야자모병원〉,〈갑을가든〉등이 있다. 저서로는《傳統佛寺 進入空間의 리듬 體系에 關한 考察》,《山地佛寺空間의 力動的 展開에 미친 地勢的 影響―白羊寺와 雲門寺를中心으로》,《高麗 以前 傳統佛寺 配置秩序의 形成에 미친 影響 ―印度와 周邊 3國의 佛寺配置 比較考察을 通해―》등 논문과《서산대사 유적지 복원. 정비사업 기본계획 수립》등 연구용역 보고서 등이 있다.

  목차

책머리에―작가의 말
서론
이 글의 배경
탐구의 목적
탐구의 방법―목표 1
탐구의 방법―목표 2
탐구의 방법―목표 3
기대되는 효과

제1부. 차론(茶論)
제1장. 茶 마시기―茶는 음료만의 것이 아니다
1) 茶 맛에 대한 차인들의 형이상학적 표현
(1) 지극히 차다―육우《차경(茶經)》
(2) 맑고 온화한 경지에 이르게 한다―북송 휘종 조길《대관차론(大觀茶論)》
(3) 茶는 맛의 으뜸이다―에이사이 선사《끽다양생기(喫茶養生記)》
(4) 茶의 맛은 道의 맛―고려 茶人 이규보의 차시(茶詩)
(5) 명덕을 밝힐 수 있다―한재 이목《차부(茶賦)》
(6) 茶道는 선종으로부터 나온 것―야마노우에노쇼지《산상종이기(山上宗二記)》
(7) 불법을 구함―난보소케이《남방록》/ 54
(8) 茶는 선과 같은 맛이다―자쿠안소다쿠《선차록》
(9) 간이 맞아 신령스럽다―초의 의순《동차송》
(10) 애틋한 기도―오카쿠라가쿠죠《茶에 대한 책(The Book of Tea)》
(11) 간 맞다에 대한 해석―효당 최범술《한국의 茶道》
2) 茶 맛과 또 다른 지향(指向)

제2장. 茶의 맛, 그리고 맛의 사라짐
1) 茶의 맛
(1) 진명차(眞茗茶) · 작설차(雀舌茶) · 녹차(綠茶)
(2) 茶 맛과 존재의 경계
2) 사라짐
(1) 목 넘김
(2) 사라짐

제3장. 사라짐의 의미
1) 사라짐에 대한 차인들의 함의
(1) 망형(忘形) · 망기(忘機)
(2) 자득(自得)의 정신
(3) 명선(茗禪)과 차선일미
(4) 고통 속의 깊은 맛―시부사(澁さ)
(5) 쓸쓸함―적(寂, 사비さび)
(6) 외로움―기수미(奇數美)
2) 동양철학에서의 사라짐의 의미
(1) 선불교와 사라짐(消滅)
(2) 불경 속의 空
(3) 수학에서의 空―숫자영(zero)’과 空, 그리고 유마의 일묵(一默)
(4) 일본 무사도와 禪 혹은 선불교(禪佛敎)
(5) 空과 無, 그리고 茶
3) 사라짐은 곧 부활―서양 철학사에서의 해석
(1) 하느님을 위해 하느님을 놓아 버림―마이스터 에크하르트
(2) 실존의 불안 상태의 인간―키에르케고르
(3) 無, 그리고 실존(實存)―하이데거
(4) 근원일자로의 합일―니체
(5) 분리의 극복―에리히 프롬
(6) 지금 이 순간을 받아들임―에크하르트 톨레

제4장. 소결―茶의 진(眞)으로서의 사라짐과 부활

제2부. 건축공간론(建築空間論)
제1장. 공간의 철학―건축은 건물만의 것이 아니다
1) 철학을 담는 그릇―《도덕경》의 건축 공간
2) 세상의 중심 공간―지구라트와 피라미드
3) 안쪽의 깊은 공간―고대 그리스 파르테논과 로마 판테온
4) 위쪽의 높은 공간―중세유럽 고딕성당
5) 실망으로 귀착된 합리적 절대공간―근대건축 공간의 이상

제2장. 無(0)로 사라져 가는 일본 차실 공간
1) 일본 전통건축과 차실 공간의 형성
(1) 전통건축과 차실
(2) 고대의 건축
(3) 중세의 건축
(4) 근세의 건축
2) 초암차실의 탄생과 전개
(1) 센리큐와 초암차실의 탄생
(2) 일본 전통민가와 초암차실
(3) 초암차실 공간과 노지(露地)
(4) 오모테센케 초암차실의 시공적 특성
(5) 초암차실의 공간적 지향
3) 차실 공간미학의 계보
(1) 일본 전통건축과 차실 공간미학
(2) 현대건축과 차실 공간미학

제3장. 무한(∞)자연으로 합일해 가는 한국 전통 건축공간
1) 한국 사찰건축 고유형식 형성과정과 원인
(1) 시대별 변화과정과 추세
(2) 공간변화의 근본 원인―자연이라는 요소
2) 전통사찰 공간 지향점으로서의 대자연
(1) 통도사
(2) 백양사
(3) 운문사
3) 무한 자연으로 향하는 茶 공간
(1) 한국의 전통 茶 공간―누정(樓亭)
(2) 민가(民家) 茶 공간의 시공간적 해석
(3) 현대 건축에서의 茶 공간미학―청희당

제4장. 한일 전통민가 차실 공간의 공통 지향
1) 한국 민가 건축공간의 특성과 지향
2) 일본 민가 건축공간의 특성과 전개

제5장. 소결―전통 茶 공간의 眞으로서의 사라짐과 부활

결론
참고문헌
추천사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