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종교
죽었으나 말하는 언약도들  이미지

죽었으나 말하는 언약도들
스코틀랜드 장로교의 위대한 순교자들의 이야기
진리의깃발 | 부모님 | 2021.05.12
  • 정가
  • 18,000원
  • 판매가
  • 16,200원 (10% 할인)
  • S포인트
  • 900P (5% 적립)
  • 상세정보
  • 21.5x14.8 | 0.425Kg | 327p
  • ISBN
  • 9788987124407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16세기 종교개혁 당시 로마 가톨릭의 핍박 속에서 스코틀랜드 언약도들 은 하나님과 민족공동체와의 혼인서약과 같은 국가 언약을 체결하였다. 국가 가 가정예배를 금지하고, 목사들을 추방하는 종교적 탄압을 계속할 때 언약도 들은 예수님을 향한 사랑을 끊을 수 없어 제2의 종교개혁운동이라 하며 스코 틀랜드 온 국민이 일어났다. 그들이 심한 핍박을 견디고 이겨낸 것은 하나님 의 주권이었다고 고백한다.

언약도들이 자신들의 삶을 정확무오한 하나님의 진리 말씀을 굳게 신뢰하는 데서 정립했던 것과 같이 오늘날 그리스도의 모든 교회는 선포와 가르침과 심방이라는 목회사역에서 그들의 모범을 따라야 할 필요가 있다. 현대 그리스도인들도 언약도들과 같이 같은 성경을 소유하고 있고 같은 하나님을 믿는다. 그런데 왜 우리에게서는 그러한 효력이 충분히 나타나지 않는가에 관한 의문점을 언약도들이 확실하게 해결해 줄 것이다.

  출판사 리뷰

16세기 종교개혁 당시 로마 가톨릭의 핍박 속에서 스코틀랜드 언약도들 은 하나님과 민족공동체와의 혼인서약과 같은 국가 언약을 체결하였다. 국가 가 가정예배를 금지하고, 목사들을 추방하는 종교적 탄압을 계속할 때 언약도 들은 예수님을 향한 사랑을 끊을 수 없어 제2의 종교개혁운동이라 하며 스코 틀랜드 온 국민이 일어났다. 그들이 심한 핍박을 견디고 이겨낸 것은 하나님 의 주권이었다고 고백한다.

언약도(The Covenanter)들은 17세기 스코틀랜드의 죽어가는 세 상 속에서 살아있는 진리의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뼛속 깊이까지 철저하게 장로회주의자들이었고 장로교인으로 살았던 사람들이 다. 오늘날 교파 간의 경계선이 희박해진 상황에서 장로회주의자 라는 말이 그리 대단하지 않을지는 몰라도 그들에게 장로교는 그 들의 마음으로부터 결코 빼앗길 수 없는 진리였다. 장로회주의 원 리가 성경적이고 개혁신학적인 것이 아니었다고 한다면 거기에 목 숨을 걸 이유가 없었을 것이다. 물론 그들은 완전한 자들은 아니었 다. 그러나 그들은 잉글랜드의 청교도들 못지않게 하나님의 말씀 에 완전히 일치하는 삶을 살기를 열망했던 자들이다.

언약도들이 자신들의 삶을 정확무오한 하나님의 진리 말씀을 굳게 신뢰하는 데서 정립했던 것과 같이 오늘날 그리스도의 모든 교회는 선포와 가르침과 심방이라는 목회사역에서 그들의 모범을 따라야 할 필요가 있다. 현대 그리스도인들도 언약도들과 같이 같은 성경을 소유하고 있고 같은 하나님을 믿는다. 그런데 왜 우리에게서는 그러한 효력이 충분히 나타나지 않는가에 관한 의문점을 언약도들이 확실하게 해결해 줄 것이다.

언약도들의 삶과 그들이 고난 겪었던 방식은 다원주의 사회 속에서 공존해가는 관용을 미덕으로 높이고 있는 현대 기독교 지도자들과 신앙인들에게 커다란 자극과 도전을 제공해주기에 충분할것이다. 그들의 삶은 거친 가시밭길 한가운데에서 꽃을 활짝 피웠다. 어떻게 그들은 그러한 고난을 견뎌낼 수 있었는가? 그들의 육체적이고 영적인 힘은 박해받은 사역자들의 지도력 아래서 소위 ‘경건한 삶’(Godly Life)으로부터 피어났다. 언약도들에 있어서 경건함(Godliness)이란 그들의 실제 종교적인 삶의 가장 큰 특징이었다. 오늘날 언약도들의 신앙을 재발견한다는 것은 쇠퇴해져 가고 있는 현대교회들을 회복시키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다고 믿는다. 현대인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경건함이란 시대착오적인 생각이 아니라 모든 시대 모든 나이의 기독교인들이 실천해야 할 성경적 의무이다. 그것은 사회에서나 교회에서 또 가정에서도 기독교인들이라면 구현해야 할 삶의 형태이다. 왜냐하면, 기독교의 하나님은 거룩하신 분이시기 때문이다.

한 영국인 상인이 언약도 목회자들의 설교를 듣고 비교한 일화를 소개하는 유명한 이야기가 있다. 블레어 목사와 루터포드 목사 및 딕슨 목사에 대한 것인데 블레어 목사는 그에게 하나님의 위엄에 대해서 보여주었다면 루터포드 목사는 그리스도의 아름다움에 대하여 그리고 딕슨 목사는 자기 자신의 마음을 보여주었다는 비교였다. 스털링의 설명에서 우리는 루터포드 목사가 어떤 존재로 비쳤는지를 배운다. ‘그는 항상 기도하고 있고 항상 설교하고 있고…. 항상 환자들을 심방하고, 항상 요리문답교육을 하고 항상 연구하고 있었다….

언약도들은 삶의 지침과 믿음과 열심과 거룩과 견고함과 온유와 인내와 겸손이라는 그리스도인의 전신 갑주로 무장할 수 있도록 귀중한 교훈을 남겨주었다. 그들은 원수를 위해 기도하고 사형집행인들까지도 용서했다. 그런 성품들은 고난과 위험 가운데서도 더욱 성장하였다. 그들은 교조적 지성인들도 아니었으며 세상의 고난과 혼란으로부터 도피한 신비적 경건주의자들도 아니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대적 앞에서도 담대히 윤리적 이상을 형성하고 도덕적 기준을 확정한 사람들이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서창원
처음 신앙을 가지게 되었을 때 하나님의 귀한 섭리 가운데 정통보수주의 신학으로 무장된 교회에 출석하게 되었다. 저자는 왕십리교회에서 배운 칼빈주의 신학을 바탕으로 총신대학에서 그리고 신학대학원에서, 또 오직 복음 선포에 충실한 설교자들을 길러내고자 로이드 존스 목사가 설립한 런던신학교에서, 그 이후 장로교회의 창시자인 존 녹스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는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신학교와 뉴 칼리지에서 정통장로교회의 보수 신학을 더 깊이 숙독하며 온몸으로 익힌 설교자이다. 성경에 충실한 교회가 많아져야 진리의 말씀에 목숨 걸 일군들을 배출할 수 있다는 확신 때문에 교수사역보다 목회사역에 치중한 그는 하남시에서, 그리고 삼양동에서, 심지어 고창에서까지 복음이 필요로 하는 곳에서 목양에 전념하였다. 모교인 총신에서는 91년부터 개혁주의 정통 신학에 충실했던 청교도들, 언약도들을 소개하고자 강사로 시작하여 겸임교수로 그리고 2014년부터 전임교수로 지금까지 섬기며 올해 은퇴를 앞두고 있다. 학교를 섬긴 30주년을 기념하여 오직 성경, 그리스도의 왕권 및 가장 성경적인 장로회주의 원리를 목숨 걸고 지킨 언약도들의 영적 리더십을 한국의 장로교회 앞에 내놓게 되었다. 저자는 한국의 교회 강단이 성경에 충실한 강단이 되게 하려고 한국개혁주의 설교연구원을 1992년에 설립하여 지금까지 원장으로 섬기고 있다!

  목차

추천사 4
발간사 34
제1장 서론 42
제2장 17세기 스코틀랜드 언약도 운동의 역사적 배경 50
1. 정치적-교회사적인 배경 54
2. 역사적-신학적인 배경 87
1) 성경의 교리적 입장 89
2) 언약신학의 교리적 입장 92
3) 신적 권리와 교회 정치의 교리적 입장 95
4) 고난과 연관된 섭리에 대한 교리적 입장 99
3. 교회와 국가의 관계 111
제3장 언약도들의 영적 지도력의 주 도구들 120
1. 설교 사역 120
1) 복음적인 교리 설교 124
2) 실천적인 적용이 강한 설교 132
2. 저술과 서신들을 통한 가르침 145
3. 요리문답과 신앙고백서 활용 155
제4장 언약도들의 영적 지도력의 보조적 수단들 168
1. 모범적인 경건 생활 169
1) 성경의 활용 170
2) 기도와 금식 174
3) 시편 찬송의 사용 184
2. 권징의 사역 189
1) 가정에서의 권징 190
2) 가정예배와 자녀 양육 204
3) 성찬과 관련된 권징 211
3. 언약도 여성들의 역할 219
제5장 언약도 운동의 영적 리더십의 모델 7인 230
1. 사무엘 루터포드 230
2. 제임스 거쓰리 237
3. 휴 멕카일 243
4. 도널드 카길 248
5. 리처드 카메론 254
6. 알렉산더 페든 259
7. 제임스 렌윅 264
제6장 언약도 운동의 결과 274
1. 사회경제적 영향 277
2. 참된 장로회주의의 재정립 299
제7장 죽어가는 세상을 위한 살아있는 진리 306

참고문헌 318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