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이덕주
감리교신학대학교 역사신학 교수로 한국교회사와 아시아교회사를 강의하다가 2018년 정년 은퇴한 후 조용히 자신을 돌아보며 성경 읽기와 묵상에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홍성사에서 낸 책으로는 《한국 교회 처음 이야기》, 《한국 교회 처음 여성들》, 《기독교 사회주의 산책》, 《선교 강국, 한국 선교 긴급 점검》(공저) 등이 있다.
간행사책을 내면서 /최이우5
축하의 글다시 희망을, 다시 부흥을! /이철6
축하의 글로버트 하디와 감리교신학대학교 /이후정10
머리글영의 사람 하디의 흔적을 찾아서 /이덕주12
Ⅰ 선교사가 되기까지(1865-1890년)
1. 가정과 출신 배경 …………………………………………………………… 26
1.1 스코틀랜드 이주민 가정26
1.2 캐나다감리교회 역사35
1.3 하디의 고향, 세네카교회40
1.4 부모의 별세와 결혼51
2. 한국 선교사 지원 ……………………………………………………………58
2.1 해외 선교자원운동58
2.2 토론토 3총사63
2.3 한국 선교 지원70
Ⅱ 독립 선교사의 외로운 개척사역(1890-1898년)
1. 서울에서 부산 거쳐 원산까지 ……………………………………………89
1.1 서울 제중원 사역과 부산 선교89
1.2 부산에서 얻은 ‘믿음의 첫 열매’101
1.3 원산으로 이주108
1.4 원산 시약소와 사택 건축117
2. 원산 의료선교와 복음전도사역 …………………………………………124
2.1 에비슨의 내한과 펜윅의 귀국124
2.2 청일전쟁과 위기의식132
2.3 어학공부와 신학공부150
2.4 지방 순회 전도여행163
3. 안식년과 순회강연 ………………………………………………………… 180
3.1 제1차 안식년 휴가180
3.2 온타리오 지역 순회강연190
3.3 종말론적 선교신학201
Ⅲ 한국 부흥운동의 아버지(1898-1907년)
1. 남감리회 선교부의 초청 ………………………………………………… 223
1.1 미국 남감리회의 한국 선교223
1.2 전보로 통보받은 선교 이동242
1.3 개성 의료선252
2. 서울과 원산 선교 ………………………………………………………… 261
2.1 서울구역 담임261
2.2 원산 선교부 인수284
2.3 수고와 노력, 그러나 한계299
3. 원산 부흥운동 주역 ……………………………………………………… 320
3.1 준비와 시작: 기도와 말씀공부320
3.2 전개와 확산: 회개의 원심운동337
3.3 연합과 일치: 교파 연합사경회356
3.4 양심회복과 윤리갱신: 윤성근의 양심전366
3.5 견고해진 믿음: 러일전쟁과 부흥운동388
4. 평양 부흥운동 촉발 ……………………………………………………… 406
4.1 제2차 안식년 휴가406
4.2 평양 선교사 연합사경회 인도423
4.3 남감리회 제1회 한국지방회438
Ⅳ 협성신학교 교수사역(1907-1923년)
1. 원산과 북간도 선교 ……………………………………………………… 454
1.1 원산사경회와 성경공부반454
1.2 협성성경학원 설립468
1.3 원산지방회 설립과 북간도 선교483
1.4 서울 사직동 선교부로 이주502
2. 협성신학교와 피어선성경학원 교수 …………………………………… 515
2.1 백만명 구령운동515
2.2 협성신학교 ‘규장각교사’ 건축526
2.3 피어선성경학원 설립541
2.4 제3차 안식년 휴가555
3. 협성신학교 교장 사역……………………………………………………… 571
3.1 협성신학교 교장 취임571
3.2 장감 연합 영신학교 설립584
3.3 협성신학교 갬블기념관 건축600
3.4 〈신학세계〉 창간618
4. 3^1운동과 협성신학교 …………………………………………………… 631
4.1 피어선성경학원 건축과 서울지방 장로사 사역631
4.2 협성신학교 본관 화재653
4.3 협성신학교 재학생과 졸업생의 독립운동 참여677
4.4 논문으로 독립운동 후원694
5. 교회와 민족 지도자를 양성하는 신학교육…………………………… 707
5.1 총독부 간담회와 제4차 안식년 휴가707
5.2 한국의 실상 보고와 지원 호소724
5.3 구약 예언서와 그리스도 연구739
5.4 협성신학교 영문과 개설759
Ⅴ 문서선교와 문화사역(1923-1935년)
1. 조선예수교서회 문서선교사역 ………………………………………… 781
1.1 1923년 협성신학교 부흥회783
1.2 협성신학교 교장 사임과 교수 재직 15주년 기념식794
1.3 조선예수교서회 편집부장 및 〈기독신보〉 사장811
1.4 피어선성경학원 원장 사임827
2. 기독교 농촌운동과 남북감리교 합동…………………………………… 846
2.1 제5차 안식년 휴가와 성지순례846
2.2 협성신학교 남녀공학 시도860
2.3 하디 부부의 내한선교 40주년 기념식884
2.4 기독교 농촌운동904
3. 남북감리교 합동과 초교파 연합운동…………………………………… 927
3.1 남북감리교 합동운동927
3.2 기독교조선감리회 총회 조직과 교회일치운동951
3 .3 총리원 사회국장과 신학교 사역962
3.4 조선예수교서회와 〈기독신보〉 사역973
4. 은퇴와 별세, 그 이후 …………………………………………………… 991
4.1 마지막 안식년 휴가991
4.2 마지막 일, 독서와 글쓰기1002
4.3 선교 50주년 기념행사1012
4.4 은퇴와 귀국1031
4.5 별세와 추모1042
Ⅵ 하디의 저술과 신학사상
1. 저술활동 ……………………………………………………………………1059
1.1 단행본 저술1059
1.2 논문 저술1066
2. 신학 사상 ……………………………………………………………………1074
2.1 성서신학적 이해: 영감과 비평1074
2.2 조직신학적 이해: 계시와 이성1097
2.3 실천신학적 이해: 부흥과 연합1106
2.4 역사신학적 이해: 민족주의와 사해동포주의1112
3. 맺음 글 ………………………………………………………………………1123
하디연표1130
하디 가족들의 무덤1150
참고문헌1152
찾아보기1166
후기^하디기념사업회1178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