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해서는 우리들이 일상 접하고 있고 근대통용의 서체이며 쓰는 것도, 읽는 것도 거의 해서이다. 해서는 팔법을 모두 갖추고 있는 데다 절구가 다양하고 용필도 복잡하여 처음 배우는 자가 그 바탕을 닦기 위해서는 배우지 않으면 안 된다. 왕회지의 난정서에 영지 구년의 영자가 팔법의 용필법 에서 이루어지고 모든 필법을 그 안에 내포시키고 있어 이 필법만 알면 모든 글자를 응용하여 쓸수 있다고 하였다. 영자로부터 시작하여 기본한자 300자의 운필.자형.점획.응용과 행서 초서의 연습을 기술하였다.
출판사 리뷰
序
서書)는 도道)요 선이며 예술이다. 심신을 통일하여 봇을 잡고 단좌하면 세상만사의 잡념은 사라지고, 무상무념에 이르러 무아의 경지에 도달한다. 서예는 마음의 표현이다. “서예는 인류최고의 예술. “서예는 인격도야의 한 방편. 이 말들은 인생의 내면세계와 얼마나 밀착되어 있는가를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글씨에는 그 사람의 인품과 교양, 취미, 기질 등이 잘 나타나 있기 때문에 옛 선비들은 글씨쓰기를 인격도야를 위한 한 방편으로 생각해 왔던 것이다. 글씨가 바로 그 사람의 성격과 그 심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쓰는 사람의 맑은 몸가짐에서 훌륭한 글씨가 태어나며 마음의 상태 즉 정신력에 따라 글의 험도 달라지게 된다. 자기의 마음을 정리해서 먹을 가는 것 한 점 한 획에 심혼을 쏟아서 쓴다는 것은 마음을 통일하고 봇과 함께 되는 것 이므로 정신수양의 최대 목표로 삼았다. 우리나라에 한자가 들어 온 것은 대략BC2-3세기 고조선시대로 추정한다. 그러나 확인된 문자유적은 삼국시대에 들어와 상당히 발견되기 시작 하였다. 고구려 광계토왕비, 백제 무령왕릉의 매지권 신라의 태종무열왕릉비 등을 들 수 있다. 상형문자를 거북이나 짐승의 뼈에 새긴 갑골문자가 중국에서 사용된 것은 BC 1384-1112년이다. 은.주.초.진때 전서를 거쳐 한 대(2세기)에 와서 서체로써 정착되고 많은 작품을 한예가 완성된다. 서예가 예술로 확고한 지위를 확보한 시기는 위진시대다. 이때 채옹(八分書體), 장지(草書), 종요(稽書), 왕희지(行書)등 동양서예의 서성 명가들이 쏟아져 나왔고 예술적인 서체를 탄생시켰다. 우리나라의 이름을 남긴 서가는 신라의(김생,최치원) 고려(장서설,원연,이암) 조선시대(안평대군,강희안,양사언,한호,윤순,신위,이광사,김정회) 근세(해사김성근, 우당유창환, 석촌윤용구, 성제김태석, 석제서병오, 이시영, 김구, 신익희, 유희강, 이완용)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불세출의 명필로 추사김정희 석봉:한호는 더욱 유명하다 본서는 처음으로서 법을 연구하는 사람이 용이하게 입문의 기초를 파악 하도록 엮었다.
l. 기초편
해서는 우리들이 일상 접하고 있고 근대통용의 서체이며 쓰는 것도, 읽는 것도 거의 해서이다. 해서는 팔법을 모두 갖추고 있는 데다 절구가 다양하고 용필도 복잡하여 처음 배우는 자가 그 바탕을 닦기 위해서는 배우지 않으면 안 된다. 왕회지의 난정서에 영지 구년의 영자가 팔법의 용필법 에서 이루어지고 모든 필법을 그 안에 내포시키고 있어 이 필법만 알면 모든 글자를 응용하여 쓸수 있다고 하였다. 영자로부터 시작하여 기본한자 300자의 운필.자형.점획.응용과 행서 초서의 연습을 기술하였다.
2. 실용편
상용 필수 기본한자 3000여 자를 해서. 행서. 초서의 삼체로 구분하여 필순음훈. 일어 어휘 등을 넣고 총획, 자음색인을 넣어 완벽한 한-한사전이 되도록 하였다.
3. 오체묵장보감
서예가의 소재의 보고인 묵장보감을 중국의 경서, 제자벽가, 한위육조에서 당송원 명청에 이르는 제가의 시구를 모으고, 춘하추동, 감계, 좌우명, 잠언, 시부, 등을 정리하여2자,3자…… .14자로 분류하고 춘하추동으로 다시 분류해 놓았다.
본서는 서예인구의 저변확대는 물론 올바른 서예기품을 확립 하기 위하여 거의 완벽에 가까운 입체적인 서예교본이 되도록 하였다. 끝으로 본서가 서예애호가의 필비의 서가되고, 서예입문과 발전의 밑거름이 되도록 빌어 마지 않는다.
목차
序
文子의 歷史와 書藝……………………·…………………… 6
書의 效用…………………………………………………………7
실용서예와 藝術書藝………………………………………… 8
姿勢와 用具……………………………………………………… 9
(1) 자세와 붓 잡는 법
l.바른 자세 2.팔의 모양 3.붓을 잡는 법
(2) 용구와 용재……………………………………………… .. 11
l.모필의 여러가지 2.먹 3.벼루 4.종이 5.종이받침 6.서진
基本篇.
l 楷書의연습…………………………………………………… 14
(1)해서의 대하여
(2)기본점획
永字八法
2 기본문자의 쓰기…………………………………………… 17
해서의 기본적인 점획
3 行書의 연습….……………………………………………… .. 48
(1) 행서에 대하여 (2) 행서의 특질
해서와 행서의 비교
행서의 쓰기
4 草書의 연습……·'…………………………………………… .. 54
편(扁).방(芳).관(冠). 답(畓).의 흘려서 쓰는 법
틀리기 쉬운 문자
實用篇
총획색인…………………………………………… 65~72
三體書藝大典 ……………………………………… 1-849
자음색인 ……………………………………… 850-863
부록 - 五體墨場寶鑑…………………………………… 3~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