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소설
닭의장풀은 남보라 물봉선은 붉은보라 이미지

닭의장풀은 남보라 물봉선은 붉은보라
움(도서출판) | 부모님 | 2021.11.30
  • 정가
  • 10,000원
  • 판매가
  • 9,000원 (10% 할인)
  • S포인트
  • 500P (5% 적립)
  • 상세정보
  • 13x21 | 0.190Kg | 146p
  • ISBN
  • 9791197605215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우리시 시인선 71권. 정형무 시인은 그리움으로 똘똘 뭉친 기억을 붙들고 산다. 무엇을 보아도 무엇을 먹어도 벗어나지 못한 부인에 대한 그리움은 애절하다. 눈물을 손끝에 묻혀 한 자 한 자 봉인하듯 써 내려간 이 시편은 생각하면 견디지 못할 과거와 아파도 견뎌야 할 미래가 비밀스럽게 놓여있다.

  출판사 리뷰

정형무 시인의 『닭의장풀은 남보라
물봉선은 붉은보라』는 사부곡이다.

총 3부 69편의 시가 서재의 책장처럼 가지런히 놓였다. 그런 그의 시의 면면을 보면 사람에 대한 그리움으로 점철돼 있다. 사소하게 넘겼던 일상이 아픈 기억이 되고 추억이 될 줄 누군들 알았으랴. 있었던 자리가 넓어 보이는 것은 이별의 아픔보다 지금 손을 뻗어 잡을 수 없는 슬픔이 더 크기 때문이다. 시 이미지 역시 듣기만 해도 저릿한 봉숭아(물봉선), 귀에 익은 노랫말 “울밑에 선 봉선화야”가 떠오르고 달개비꽃말에서 느끼듯이 시인은 외롭고 쓸쓸하다. 이 시집에서 말하고 싶은 것은 넋두리가 아니다. 그래서 시편마다 시인은 품어온 은장도처럼 오랫동안 가슴에 저며둔 恨을 풀어헤치고 고독을 노래하고 있다.

정형무 시인은 그리움으로 똘똘 뭉친 기억을 붙들고 산다. 무엇을 보아도 무엇을 먹어도 벗어나지 못한 부인에 대한 그리움은 애절하다. 눈물을 손끝에 묻혀 한 자 한 자 봉인하듯 써 내려간 이 시편은 생각하면 견디지 못할 과거와 아파도 견뎌야 할 미래가 비밀스럽게 놓여있다. 사람에게는 잊어버리지 못할 과거가 피와 살이 되기도 하지만, 다른 누구에게는 그저 아득한 삶이 가슴의 파편으로 남아 깊은 상처가 되기도 한다. 겪어보지 않고 함부로 말할 수 없는 공감의 영역이 식물의 이름으로 그리고 색감으로 잘 나타나 있다. 현대판 “사랑과 영혼”이 오롯이 녹아있는 작품에서 조선시대 이씨 부인이 자신의 머리카락을 잘라 미투리 삼았던 편지만큼 애절하다.


“마주 쥐고 부딪쳐 호두를 깨다 보면
거꿀달걀형 핵과끼리도 더 센 놈이 있다

마른 놈과 반질한 놈이 만나면 볼록이가
쭈글한 놈의 주둥이로 옹골찬 놈을 지르면 뾰족이가 이기는데
먼저 깨진 놈의 속살을 우물거리면 패배자의 쇠맛이 난다

호두를 와드득 깨무는 사람은 ‘호두 까는 사람’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의 직계 후손이다
호두를 까먹으려면 아무렴 호두 껍데기를 깨야 한다

나는 불알만 두 쪽이지만 꽝꽝하게 주름진 핵과 따위를 쉬이 다룰 수 있다
초록색 육과 주렁주렁 열린 호두나무 숲을 꿈꾸며 겨우내 호두알을 굴려 본다”

이 시는 한 사내가 긴긴 겨울밤 혼자서 일없이 호두를 까먹는 일을 시화해 놓았다. 자칭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의 직계 후손인 사내는 호두끼리 부딪쳐 깨진 속살을 우물거리며 “패배자의 쇠 맛”이 난다고 말한다. 그것이 구체적으로 어떤 맛인지는 알 수 없으나 열패감이라고나 할까, 어쩌면 화자의 처지를 빗댄 말이겠다. 아무튼 불알 두 쪽뿐인 사내가 겨우내 집안에서 패배자의 쇠 맛을 느끼며 “초록색 육과 주렁주렁 열린 호두나무 숲을 꿈꾸며 겨우내 호두알을 굴린”다는 행위는, 뭔가 그 이면에 묵직한 사연이 있을 것만 같다. 이 꽝꽝하게 주름진 핵과의 웅크림, 반응 없음, 도무지 속내를 짐작할 수 없는 사내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시니피앙이 아니라 실타래 같은 시니피에의 실체는 무엇일까? 읽을수록 궁금증을 증폭시키는 시편이 아닐 수 없었다. 아마 이 시집을 펼쳐본 독자들은 적잖이 혼란스러움을 느꼈으리라. 책장마다 예사롭지 않은 슬픔과 외로움이 뚝뚝 묻어나는 언어를 대하며 시인의 감춰진 모습에 놀랐으리라. 대처 시인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여기 저간의 사정을 담고 있는 시 한 편이 있다.

눈보라 속을 헤매다 문을 두드리니 소복 입은 처자가 초롱을 앞세우고 맞이하였지. 내리던 눈이 그칠 무렵 나는 장작을 패고 처자는 새 옷을 지어 주었어.

겨우내 말뼈를 우려먹으며 내 자상刺傷은 아물고 처자의 배는 불러갔지. 해토머리 낙숫물 소리 명징한 밤, 가만히 일어나 날 빼문 장검을 마루 밑에 묻어 버렸지.

새봄에는 나비와 부닐었지, 요요한 날갯짓 따라 내 여자는 여윈 손가락을 사뿐 뒤집어 뻗으며 팔랑팔랑 나비를 좃니었어. 나도 쥘부채 말아 쥐고 덩달아 공중제비를 넘곤 했었지.

가을비 그쳐 까막까치 울던 서리 새벽, 날개 부러진 나비들 가을바람에 쓸려갔지. 바람벽에 보타시리를 새겨두고 삼년을 울었지.

나는 지금 풍교楓橋 난간에 기대 검미劍眉를 찌푸리며 칠흑 같은 밤의 물소리를 듣고 있어. 나비의 아랫배를 쓰다듬던 손으로 장차 가로지르는 모든 형체를 벨것인데, 무덤 속 녹슨 거울 속 높은 코 가지런한 이빨 앞에 온전한 희생으로 바치고자.

― 「별 · 나비 · 검 · 시」 일부

이 시는 그가 주에서 밝힌 바와 같이, 1976년 중국 무협 영화 《유성호접검》을 바탕으로 엮은 패러디물이다.그의 시에는 전고를 즐겨 차용하는 한시처럼 인용과 패
러디 수법을 동원한 작품이 여럿 있다. 인용 시 부분은 시인이 《유성호접검》을 패러디해서 무협 풍으로 꾸며본 자전적 서사이다. 남녀 두 주인공이 생전의 시인 부부이다. 여자 주인공 소접은 맹성혼의 상처를 치료해 주고, 둘 사이에 애틋한 사랑이 싹터 백년가약을 맺는다. 맹성혼은 자신의 장검을 마루 밑에 묻어버리고 행복에 겨운 나날을 보낸다. 그러다 소접이 먼저 죽는다. 맹성혼은 3년을 울부짖음으로 보내다 마루 밑에 파묻었던 장검을 꺼내 복수의 칼날을 번뜩인다. 죽은 아내를 위해서, 가슴에 묻은 아내의 사랑을 지키기 위해서 그는 복수의 화신이 된다.
너무 빤한 스토리인가. 이 서사는 원본 텍스트에는 없는, 시인이 지어낸 이야기이다. ‘시=시인의 삶’이라는 도식을 우리가 인정할 수 있다면, 이보다 적절하게
시인의 저간의 인생 편력을 요약할 수 없다. 이 시집은 정확히 아내의 죽음으로 시작된다. 사별한 아내를 못 잊어 방황하며, 꿈에서라도 한 번 간절히 만나기를 희
구하며, 외로운 발걸음으로 아내의 흔적을 더듬다가, 죽음의 나락으로 떨어지기를 고대한다. 급기야 자신만의 죽음이 생명 있는 것들의 죽음 일반으로 확대된다. 시인은 아내의 사랑을 내면화하여 보다 차분해진 어조로 그리움을 노래한다. 이 시집은 사별한 아내에게 바치는 사랑의 노래이다. 소월과 만해의 시가 이별한 임, 언젠가는 돌아오리라 믿는 임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했다면, 시인은 돌아올수 없는 임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을 절절한 목소리로 오하고 있다.

저놈의 타래난초 개울 건너 피었는데 물 불어 여울을 못 건너네 한 줄기 똑 따서 그 이름 가르쳐준 목덜미에 꽂아주고 싶은데 울울한 저 모양 가깝고도 멀리 있네

나 그 길을 따라가지 못했네 목청껏 부르짖어야 했는데 허벅지라도 저며야 했는데 손가락 깨물어 따뜻한 피조차 먹여 보지 못했네

닭의장풀은 남보라 물봉선은 붉은보라 어이 가르 쳐주셨나 붉푸르게 멍든 이름들

여름이 여름하여 독기를 품었네 나도 울지 않고 우는 법을 배웠네 가슴속 만질 수 없는 임은 눈감아야 글썽 보이네

― 「여름이 여름하면」 전문

꽃 무더기 들여다보면 어른거리는 것이 있다
처녀귀신이 산다

붉은 꽃술에 입 맞추면
상사로 꽃이 된 처자
그 꽃 입술 여닫으며 더,더,더, 떤다

청천에 날벼락 치고
붉으락푸르락 꽃이 진다

꽃밭에는 비수를 문 처녀귀신이 산다

나는 오래된 꽃나무 구멍 속 부러진 날개로
꽃이파리 더불어 웅크려 있다

― 「복사꽃」 전문

  작가 소개

지은이 : 정형무
2017년 월간 《우리詩》 신인상 수상.건축사, MAP한터인건축사사무소.zenzen99@mapgroup.co.kr

  목차

시인의 말

시의 싹은 사랑과 슬픔의 곁가지에서 움트며 자라납니다.
묶어놓고 보니 웃을 때 울고 슬플 때 울 줄 알던 한 사람에 대한 것이 많습니다. 한 살이 깨우친 삶을 펼쳐보이고자 했지만 여전히 부족합니다.
‘此身合是詩人未’, 늘 되새겨보는 구절입니다. 장차人間山水를 넘어보고 싶습니다.

1부

11 해름
12 나들이
14 꿈
16 너
18 바람난 여자
19 벵갈루루에서
20 복사꽃
21 여름이 여름하면
22 좋은 것
23 물음
24 미륵사지에서
26 여름
28 그해 여름
30 당신의 등뼈를 어루만지며
32 토끼탕
33 처녀림
34 물
36, 37 나는 너에게 물어 본다
38 솔티숲길
40 별· 나비 · 검 · 시

2부

47 늦가을 · 1
48 마이산
50 호두까기
51 까마귀
52 홀아비살이
53 남원에서
54 하루
56 앞
58 거울의 말
60 옛사랑
61 정부
62 아버지 늦바람
64 늦여름
66 겨울산
68 만추
69 여복
70 버큼
72 탕아의 노래
74 야간비행
76 車
78 임을 잃었네 임을 찾았네
80 장끼를 쏘다
82 독널
84 다정무정
85 꽃 지네

3부

89 오동꽃
90 빈집
91 늦가을 · 2
92 칠월
93 어느 갠 날
94 용담사에서
95 휴일
96 소리개
97 피아골
98 새벽꿈
100 산새 소리
102 산책론
104 양동마을
106 순창 팔덕 남근석
108 상녀르
110 시마
112 날자
114 목탁새
115 종
116 노안
118 생명일여
120 싸락눈
121 좋아하는 것들
122 부안 여자

123 |해설|
임채우(시인 · 문학평론가)
수직선상의 시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