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정정훈
《서교인문사회연구실》연구원이자 계간 《문화/과학》 편집위원. 한국예술종합학교 등에 출강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인권과 인권들』(2014), 『군주론―운명을 넘어서는 역량의 정치학』(2011), 『세월호 이후의 사회과학』(공저, 2016) 등 다수가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장애여성운동, 교차하는 억압에 저항하는 횡단의 정치 : 장애여성공감 20주년 선언문《시대와 불화하는 불구의 정치》에 대한 교차성 페미니즘적 독해」(『인권연구』), 「인간과 시민의 권리에 관한 선언」과 인권규범으로서 정치적 주체화」(『민주법학』), 「감금의 질서, 수용시설의 권력기술―형제복지원과 인권의 재맥락화」(『도시인문학연구』) 등이 있다.
책을 펴내며
제1장 2세대 인권운동, 무엇을 어떻게 탐구할까
1. 2세대 인권운동 17
2. 2세대 인권운동 연구, 무엇을 어떻게? 26
3. 2세대 인권운동, 사회구조와 인지적 차원의 분석 47
제2장 2세대 인권운동은 어떻게 형성되었나:
1세대 인권운동에서 2세대 인권운동으로
1. 1세대 인권운동의 형성과개 63
2. 2세대 인권운동 형성의 구조적 조건 86
3. 2세대 인권운동 형성과 그 계기 97
4. 2세대 인권운동 형성과정의 특징 124
제3장 2세대 인권운동의 사건들:
1993~2012년 2세대 인권운동의 역사적 전개
1. 2세대 인권운동의 시작 131
2. 2세대 인권운동의 형성기 144
3. 2세대 인권운동의 성장기 151
4. 2세대 인권운동의 수세기 179
제4장 국가폭력에 맞서는 인권담론: 자유권담론
1. 2세대 인권운동과 자유권 201
2. 자유권에 대한 구조기반 접근담론 205
3. 자유권에 대한 규범기반 접근담론 224
4. 2세대 인권운동에서 자유권담론의 특징 246
제5장 신자유주의에 맞서는 인권담론: 2세대 인권운동의 사회권담론
1. 2세대 인권운동과 사회권 259
2. 사회권운동 초창기: 규범기반 접근담론의 우위 262
3. 사회권운동의 구체화: 구조기반 접근담론의 우위 283
4. 2세대 인권운동에서 사회권담론의 특징 302
제6장 인권을 국가제도에 기입하라: 인권의 제도화 담론
1. 2세대 인권운동과 인권의 제도화 317
2. 과거청산운동과 인권의 제도화 담론 324
3. 국가인권위원회운동에서 인권의 제도화 담론 346
4. 2세대 인권운동에서 ‘인권의 제도화’ 담론의 특징 364
제7장 맺음말을 대신하여:
인권의 구조적 차원과 규범적 차원의 관계를 질문하기 377
참고문헌 392
찾아보기 402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