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일지사상 一止思想 이미지

일지사상 一止思想
북랩 | 부모님 | 2025.07.18
  • 정가
  • 16,800원
  • 판매가
  • 15,120원 (10% 할인)
  • S포인트
  • 84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5 | 0.283Kg | 218p
  • ISBN
  • 9791172247416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카카오톡 문의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카카오톡 또는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출판사 리뷰

지혜는 생각이 멈춘 자리에서 깨어나고
세상은 바른 인간에 의해 바로 선다!

혼돈의 시대를 넘어 바름의 세계로 나아가기 위한
서병곤의 철학 여정

이 시대, 당신에게 필요한 철학은
지식이 아니라 ‘멈춤’이다!

사유와 실천을 잇고,
인간과 세계를 통합하는 일지一止사상
그 깊은 철학이 던지는 삶의 본질적 질문과 대답

『일지사상』은 혼탁한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바름(正)’의 철학이 무엇이며, 왜 그것을 지켜야 하는지를 묻는다. 바른 인간이 바른 세상을 만들고 거짓된 인간이 세상을 혼란스럽게 만든다는 명제를 통해 저자는 인간 존재의 본질과 세계의 구조를 깊이 있게 성찰한다. 우리는 유형(有形)의 세계와 무형(無形)의 세계 속에서 함께 살아가는 존재로서 이 두 세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통합할 것인지에 따라 삶의 방식이 달라진다. 전통적으로 우리는 유형과 무형,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을 분리하여 이원론적 세계관으로 이해해왔지만, 이 책은 그러한 분열이야말로 오늘날 혼란의 원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저자는 줄탁동시(啐啄同時)의 깨달음을 통해 도달하는 ‘일지(一止)’의 상태를 설명한다. 이때 일지 상태란 단순한 사유가 아닌 직관과 실천의 통합적 인식 체계라고 주장한다. ‘생각이 멈춘 곳’에서 드러나는 일지의 경지는 모든 존재가 각자의 자리에 정위(定位)되어 조화를 이루는 상태이며, 바로 그곳에서 바름의 질서가 구현된다. 일지사상은 바름을 지키는 자만이 진정한 인간으로서 세계와 조화를 이루며 살아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책은 단순한 철학 이론서가 아닌 우리가 잃어버린 ‘본래의 세계’를 되찾기 위한 실천적 철학서이다. 일원론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혼란한 시대에 바름의 길을 찾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일지사상』은 깊이 있는 통찰과 더불어 실천의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이 되어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공동체 일원들이 믿음과 신뢰가 바탕을 이루는 유기적 관계가 실현되어야 한다. 따라서 믿음과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유기적 관계는 바름(正)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바름(正)을 지니기 위해서는 일지(一止) 상태에 머물 줄 알아야 한다. 일지(一止) 상태에 머무른다는 것은 곧 맑은 영혼을 보존하는 것이 된다. 우리는 맑은 영혼을 보존하기 위해서 선(善)함을 유지해야 하는데 이때의 선(善)함이란 마음이 불편해지지 않는 상태인 평정심(平靜心)이 유지되는 것이다. 평정심(平靜心)이 유지되는 선(善)함이란 바람직한 관계 설정을 맺는 토대가 된다. 이러한 토대는 자기와의 관계를 맺을 때는 내적으로 선(善)함이 보존되어 맑은 영혼을 유지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외적으로는 타자와의 관계를 맺을 때는 자리이타(自利利他)적 관계를 맺게 된다. 이때의 자리이타(自利利他)적 관계는 반드시 의(義)로움에 근거한 행위여야 한다. 우리는 이러한 의(義)로움에 근거한 자리이타(自利利他)적 관계를 정의(正義)라 부르게 되는 것이다. 보이는 세계에서 정의(正義)로운 자리이타(自利利他)적 관계를 만들어가는 생활은 바름(正)에 의거한 관계이자 일지(一止)적 상태를 세상에 드러내는 것이 된다.

각각 신앙과 수행의 방식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내면의 안정과 깨달음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 이슬람교 사상은 유일신 알라(Allah)에 대한 절대적 믿음을 기반으로 하며, 신의 뜻에 완전히 복종하는 것을 강조한다. 이슬람교의 핵심 교리는 샤하다(신앙 고백), 살라트(예배), 자카트(자선), 사움(금식), 핫즈(순례)로 이루어진 오주(五柱)를 실천하는 것이다. 또한, 이슬람교에서는 신과 인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인간 사이의 관계를 정립하는 윤리적 삶을 강조한다.

- 일지사상(一止思想)
일지사상은 바름을 바탕으로 마음의 고요함과 집중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수행자가 깨달음을 얻기 위해 마음을 안정시키는 과정과 관련이 있다.

거짓은 기존의 조화와 질서를 파괴하는 행위로서 거짓의 대상의 범주가 클수록 공동체를 혼란(混亂)과 분란(紛亂) 그리고 개인적인 판단의 기준을 오류(誤謬)에 빠지게 하여 현재의 질서를 파괴하는 행위를 발생하게 된다. 거짓의 시발점은 각 개인이지만 그것의 파급효과는 첫째 자신을 부도덕하게 만들게 되고, 둘째는 각 개인의 주변은 판단의 기준을 잘못 선택하게 하여 오류를 발생하도록 하게 하며, 셋째는 각 개인의 혼란으로 인해 시작된 불신이 공동체를 불신하게 만드는 단초가 된다. 불신으로 맺어진 공동체는 공동체 간의 신뢰가 사라지고 거짓이 팽배한 사회를 만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불신은 국가 간에 있어서 자국만의 이익과 편익을 위해 거짓을 당연하게 여기는 외교가 이루어지는 세상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범세계적 불신 외교의 확장은 마침내 국가 간의 전쟁으로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서병곤
1959년, 서울에서 태어나 용산에서 성장했다. 숭실대학교 철학과와 숭실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박사 과정을 중퇴하였다. 원효사상연구소 1년, 주식회사 대교에서 21년 동안 근무했다. 역학춘추 2005년 5월호부터 12월호까지 집필에 참여하였으며 지금은 창문여자고등학교에서 윤리 교사로 일하고 있다. 1993년 『밤나무 밑에 떨어진 사과』를 출간했으며 유튜브 채널 ‘윤리학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

| 1부 | 일지(一止)사상

Ⅰ. 유기적 인식론과 일지(一止)사상
1. 유기적 인식론
2. 일지(一止) 상태와 유기적 인식론
3. 인간이 매개체가 된 유기적 인식론의 세계관
4. 일지(一止)란 무엇인가?
5. 일지(一止) 상태에 대한 고찰
6. 일지(一止) 사고를 위한 방법
7. 일지적(一止的) 상태가 드러난 세계
8. 일지(一止) 상태로 바라본 세계
9. 일지(一止) 상태의 다양한 관점과 표현
10. 무형계와 유형계가 연결되는 상태를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가?

Ⅱ. 바름(正)과 일지(一止)사상의 관계
1. 바름(正)의 의미
2. 바름(正)의 철학이란
3. 바름(正)의 철학적 접근
4. 바름(正)의 실천 방법
5. 바름(正)의 철학과 일지사상(一止思想)
6. 무형계와 유형계의 경계면 사상
7. 일지(一止)사상과 바름(正)의 경계면 사상

Ⅲ. 일지(一止)사상과 다양한 사상들과의 관계
1. 일지(一止)사상과 동·서양 철학
2. 일지(一止)사상과 공자, 맹자, 순자 사상 비교
3. 일지(一止)사상으로 성찰하는 서양 철학 및 세계관
4. 일지(一止)사상과 고대 동·서양 철학
5. 일지(一止)사상과 단군 사상
6. 일지(一止)사상과 경천애인 및 홍익인간
7. 일지(一止)사상과 원효의 일심사상(一心思想)
8. 일지(一止)사상과 퇴계·율곡 사상
9. 일지(一止)사상과 한국 전통 사상
10. 일지(一止)사상과 정도·중용·중도·권도
11. 일지(一止)사상과 주역 사상
12. 일지(一止)사상과 종교적 관계
13. 일지(一止)사상과 유교의 천명 사상과 기독교 발출론
14. 일지(一止)사상과 토마스 아퀴나스와 칸트 그리고 플로티누스
15. 일지(一止)사상과 마음의 관계
16. 일지(一止)사상과 『인간과 짐승』

Ⅳ. 일지(一止)사상과 윤리 교과의 관계들
1. 일지(一止)사상과 도덕과 윤리의 관계
2. 일지(一止)사상과 고교 윤리 교과의 생윤, 윤사, 고윤과의 관계
3. 일지(一止)사상과 다양한 한국사상들과의 관계

| 2부 | 참과 거짓 - 인간의 언어와 짐승의 언어

Ⅰ. 바름(正)
1. 바름(正)의 철학이란?
2. 바름(正)의 적용 상태와 실천 방안
3. 바름(正)의 철학과 일지(一止)사상의 관계 정립
4. 바름(正)의 철학과 일지(一止)사상 그리고 무형계와 유형계 경계의 소통처로서의 사상

Ⅱ. 언어
1. 언어(言語)란 무엇인가?
2. 언어(言語)의 구분
3. 참(眞)의 문자로서의 해석
4. 참(眞)으로서의 구체적 의미
5. 거짓(不眞)으로서의 의미
6. 매개어로서의 의미
7. 거짓말
8. 몸으로 판단하라
9. 인간이 만들어가야 할 세계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