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나는 왜 이렇게 바보 같을까’, ‘진짜 내가 봐도 한심하다’와 같은 생각에 빠지거나 자멸적인 행동·태도를 통해 그런 생각을 드러내는 일이 자주 있다면? 정체가 무엇인지 정확히는 몰라도 스스로에게 무언가 문제가 있다는 확신이 든다면? 다른 사람에게 거부당하거나 남을 실망시킬까봐 두렵고, 항상 ‘괜찮은 사람’으로 보이고 싶다면? 당신은 HFA(고기능성 불안 장애, High-Functioning Anxiety)를 앓고 있다. HFA 증상이 있는 사람은 뛰어난 성과를 내고, 무슨 일이든 척척 잘해내며, 누구와도 잘 어울리고, 남을 세심하게 배려하는 사람인 듯 ‘보인다’. 그렇다, 겉보기에만 그렇게 보이는 사람이다. 마음속으로는 끝없는 자기 비판과 의심, 실패에 대한 두려움, 완벽주의, 민감성 때문에 불안에 시달리고, 다른 사람들의 인정을 받기 위해 지칠 때까지 애쓰며, 스스로를 ‘부족한 사람’으로 여긴다. 영화 <인사이드 아웃 2>에서 주인공의 머릿속에 불안이 가득 차자, “I’m not good enough”라며 주인공이 스스로를 몰아세우던 모습을 떠올리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누구나 불안을 느낀다. 하지만 문제는 자신이 HFA로 인한 불안 증상을 지니고 있는지조차 모르는 사람이 많다는 데 있다. HFA 증상을 지닌 사람은 외부에 비치는 면은 ‘좋아 보이기’ 때문에 주변에서 알아차리기도, 스스로 자각하기도 어렵다.이 책의 저자 랄리타 수글라니 박사는 직접 HFA를 앓은 경험, 수많은 내담자들과 함께하며 얻은 통찰을 담아 세계 최초로 HFA 극복 가이드를 정리했다. 그동안 감춰져 있던 HFA의 주요 증상을 제시하고, 오랫동안 반복해온 소모적이고 자기 파괴적인 사고·행동 패턴을 인지하게 한다. 그리고 이런 패턴의 기저에 깔린 불안과 두려움의 원인을 살펴본 다음, ‘다른 사람에게 좋은 면만 보여서 인정받는 나’가 아닌 ‘있는 그대로의 나’로 살아가는 방법을 소개한다.

HFA를 앓는 사람들은 외부의 인정을 통해 본인의 가치를 입증하려고 강한 성취욕을 발휘해서 뛰어난 성과를 올리려고 한다. 비판을 두려워하고 다른 사람의 부탁을 거절하거나 실망시키는 걸 싫어한다. 그게 다른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고 사랑받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무리 높은 성과를 올려도 여전히 부족하다고 느끼며, 자신은 기준에 부합하지 않다는 생각을 품고 있다. 아니면 내심 본인에게 무언가 문제가 있다고 믿기도 한다.
언젠가는 이렇게 불안을 숨긴 상태로 살아가는 것이 지겨워질 것이다. 내 경험에 따르면 외롭고 지치기 쉽다. 결국 불안의 원인을 살펴보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는 걸 깨닫고, 언젠가는 그 원인이 바로 우리가 도망쳤던 이유임을 알게 되는 순간이 찾아온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랄리타 수글라니
고기능성 불안 장애(HFA)를 처음 세상에 알린 화제의 심리학자. 틱톡에서 100만여 명의 팔로워에게 HFA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으며, #highfunctioninganxiety라는 해시태그를 처음으로 사용해 1억 6천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영국 데일리 메일과 BBC 라디오, BBC의 ‘더 원 쇼’ 등에 출연하기도 했다.랄리타 수글라니 박사는 자신의 HFA 경험, 수년간 내담자들과 함께하며 얻은 지혜와 통찰을 바탕으로, 세계 최초로 HFA 5단계 가이드를 정리했다.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 노력하고, 성취를 이뤄냈음에도 ‘나는 부족한 사람이야’라고 느끼는 불안과 두려움, 과도한 생각, 완벽주의라는 사고·행동 패턴을 인지하게 한다. 나아가 자기 성찰을 위한 질문들을 제시하고, 자기 자비를 발휘해 ‘다른 사람들이 보는 나’가 아닌 ‘있는 그대로의 나’로 존재하게 하는 힘을 알려준다. 그는 우리가 개인적인 성장과 자기 인식을 통해 사고 패턴을 활용하고, 머릿속의 목소리를 통제하며,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키우고, 꿈꾸던 삶과 경력을 만드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삶의 모든 영역에서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성공과 행복을 달성하는 열쇠가 사실은 우리 마음 속에 있는 것이다. X(트위터) @drlalitaas 인스타그램 @dr.lalitaa 유튜브 @DrLalitaa 틱톡 @dr.lalitaa.psycholog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