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팔레스타인에 대한 이스라엘의 비인도적 집단학살이 멈추지 않고 계속되는 가운데, 봉쇄된 가자 지구 사람들에 대한 연대와 함께 이스라엘에 대한 전 세계적인 항의와 저항이 일어나고 있다. 기후 위기 및 그에 대한 저항과 관련한 급진적 논의로 세계적으로 알려진 스웨덴의 정치생태학자이자 활동가인 안드레아스 말름은 이에 발맞추어 팔레스타인에 대한 폭력과 지금 우리 앞에 놓여 있는 기후 위기를 함께 살펴볼 수 있는 소책자 《팔레스타인의 파괴는 지구의 파괴다》를 긴급하게 출간했다. 이 책은 레바논 베이루트 아메리칸 대학에서의 강연문을 바탕으로 영국 Verso 출판사 홈페이지에 게재되었던 원고 내용을 기초로 영국의 1840년 팔레스타인 아크레(아랍어 아카) 침공과 그 여파에 대해서, 이것이 화석 자본을 기반으로 한 현재 세계의 모습을 어떻게 만들어 왔는지 보여주며 팔레스타인에서 벌어지는 지독하고 끝이 없는 폭력과 점령의 역사가 어떻게 펼쳐져 왔는지 알려 준다.더불어 이러한 폭력과 꼭 닮은, 기후 위기를 불러오는 화석 자본의 보이지 않는 폭력이 무자비한 파괴와 이주, 생태 학살로 점철된 팔레스타인의 역사와 시온주의자들의 폭력과 얼마나 닮아 있는지 우리에게 격정적 어조로 전달해 준다. 그러면서 팔레스타인 저항 세력에 대한 연대와 투쟁의 정당성을 힘주어 강조하고 있다.
출판사 리뷰
팔레스타인 집단학살과 기후 위기의 유사성은 무엇일까?
1840년 화석 자본을 등에 업은 제국주의 영국군의 팔레스타인 공격을
발단으로 삼아 오랜 수탈과 파괴의 역사 속에서 현재에 이른
팔레스타인 집단학살의 뿌리를 캐며 해방의 가능성을 모색하다
팔레스타인에 대한 이스라엘의 비인도적 집단학살이 멈추지 않고 계속되는 가운데, 봉쇄된 가자 지구 사람들에 대한 연대와 함께 이스라엘에 대한 전 세계적인 항의와 저항이 일어나고 있다. 기후 위기 및 그에 대한 저항과 관련한 급진적 논의로 세계적으로 알려진 스웨덴의 정치생태학자이자 활동가인 안드레아스 말름은 이에 발맞추어 팔레스타인에 대한 폭력과 지금 우리 앞에 놓여 있는 기후 위기를 함께 살펴볼 수 있는 소책자 《팔레스타인의 파괴는 지구의 파괴다》를 긴급하게 출간했다.
이 책은 레바논 베이루트 아메리칸 대학에서의 강연문을 바탕으로 영국 Verso 출판사 홈페이지에 게재되었던 원고 내용을 기초로 영국의 1840년 팔레스타인 아크레(아랍어 아카) 침공과 그 여파에 대해서, 이것이 화석 자본을 기반으로 한 현재 세계의 모습을 어떻게 만들어 왔는지 보여주며 팔레스타인에서 벌어지는 지독하고 끝이 없는 폭력과 점령의 역사가 어떻게 펼쳐져 왔는지 알려 준다. 더불어 이러한 폭력과 꼭 닮은, 기후 위기를 불러오는 화석 자본의 보이지 않는 폭력이 무자비한 파괴와 이주, 생태 학살로 점철된 팔레스타인의 역사와 시온주의자들의 폭력과 얼마나 닮아 있는지 우리에게 격정적 어조로 전달해 준다. 그러면서 팔레스타인 저항 세력에 대한 연대와 투쟁의 정당성을 힘주어 강조하고 있다.
전 세계가 대체로 편향된 미디어의 정보만을 접할 수 있는 상황에서 팔레스타인 저항 세력에 대한 지지와 연대보다 손쉬운 양비론에 쉽게 빠져들 위험이 존재한다. 안드레아스 말름은 팔레스타인 해방 세력의 투쟁을 소개하면서 연대의 마음으로, 또한 좌파적 가치를 가진 이라면 누구나 해방 세력과 연대하고 함께 투쟁해야 함을 주장한다. 흔히 제기되는 팔레스타인 저항 세력은 테러리스트이기에 모두가 잘못되었고, 저항 세력은 저항을 포기해야 한다는 공격이나 미국이 이스라엘 로비에 휘둘려 어쩔 수 없이 이런 일에 참여하고 있다는 식의 이스라엘의 로비설에 대해서도 넓은 역사 유물론적 의미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대안을 생각해야 함을 역설한다.
한국어판에는 강연문 외에도 이스라엘 좌파이자 교수로 이스라엘 내의 태국 이주노동자에 대한 연구를 책으로 펴낸 마탄 카미네르의 반론과 미국 급진 인터넷 언론 〈자코뱅〉에 게재되었던 활동가 에드 맥널리의 이스라엘 로비설에 관한 반론을 수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저자의 재반론을 수록해서 관련한 급진적 논의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국내 독자들에게 제공한다. 이 책을 읽으며 우리 시대를 말해 주는 두 가지 위기인 기후 위기와 팔레스타인 위기에 대한 생각을 벼릴 수 있다. 책에서 소개되는 가자 지구 앞바다 가스전에 대한 서구 화석 자본의 탐욕과 그렇게 끝없는 채굴로 지구를 위기로 몰아넣는 이스라엘 및 세계 자본의 흐름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가자 앞바다 가스전에 대한 탐욕에 국내 자본도 참여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후에 대한 침탈과 그에 유사한 팔레스타인에 대한 파괴 시도, 그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독자들은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다. 5만 8천여 명이 넘게 사망하고 식량까지 끊겨 그야말로 인간성의 파탄을 끝없이 보여주는 이스라엘의 집단학살에 항의하고 팔레스타인 사람들과 연대하기 위한 발걸음으로, 기후 정의를 추구하는 저항에 나서기 위한 준비를 이 책을 통해서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머리 위에는 항상 새로운 건물 잔해가 쏟아진다. 파괴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경험을 구성하는 요소다. 왜냐하면 팔레스타인의 파괴가 시온주의 프로젝트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1948년이나 1950년과는 다르게, 이번에 벌어지는 팔레스타인 파괴의 배경에는 서로 다르지만 서로 연관되는 파괴의 과정이 자리 잡고 있다. 그것은 바로 이 지구의 기후 체계 파괴의 과정이다.
1840년은 지금 우리가 시온주의 프로젝트로 알고 있는 것에 열광하는 사람들이 처음으로 등장한 해였다. 시온주의 프로젝트는 몇 년에 걸친 준비 끝에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상당히 잘 알려진 것처럼 1830년대 말 영국에서는 기독교 시온주의가 급증했다. 기독교 시온주의는 유대인이 결집하여 팔레스타인을 ‘수복’해야만 한다는 교리를 가지고 있었다. 그곳에서 유대인들은 기독교도로 개종하고 그리스도의 재림을 앞당기며 최후의 심판의 도래를 알릴 것이다.
영국으로부터 지도력을 넘겨받은 이후, 미국이 전 세계 화석연료 생산과 소비의 확장을 한결같이 이끌어 왔고, 화석연료의 파괴력이 명백할 뿐 아니라 나날이 증가하는 바로 그 시점에도 화석연료 생산과 소비의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음을 생각해 보자. 그러면 요르단강과 지중해 사이에 자리 잡은 이 조그만 땅을 미국이 앞장서서 파괴하고 있다는 사실이 수수께끼처럼만은 보이지 않을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안드레아스 말름
스웨덴의 정치생태학자이자 기후행동가로 현재 스웨덴 룬드 대학교에서 인간생태학을 가르치고 있다. 2014년에 룬드 대학교에서 화석연료 자본주의 경제의 기원을 맑스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 그 논문을 저본으로 하여 『화석 자본』(2016 ; 2023)을 첫 번째 단독 저서로 출판하였고 그해 ‘도이처 기념상’을 수상했다. 기후변화라는 “주제에 관한 가장 독창적인 사상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으며, 자본주의와 생태위기의 연관성을 파헤치는 저작들을 꾸준히 발표해 왔다. 최근에는 기후위기 국면에서 극우파가 실행하는 역할과 지구공학의 정치경제학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또한 야생의 정치에 관한 책을 저술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이 폭풍의 전개』(2018 ; 2025), 『코로나, 기후, 오래된 비상사태』(2020 ; 2021), How to Blow Up a Pipeline (2021), White Skin, Black Fuel (2021 공저), Fighting in a World on Fire (2023), Overshoot (2024 공저), The Destruction of Palestine Is the Destruction of the Earth (2025) 등이 있다.
목차
들어가며: 제재받지 않는 9
팔레스타인의 파괴는 지구의 파괴다 23
부록
홍수 이후: 안드레아스 말름에 대한 반론 _ 마탄 카미너 153
팔레스타인 저항 세력에 관한 몇몇 반론에 대한 재반론 166
이스라엘 로비 문제 _ 에드 맥널리 209
이스라엘 로비설에 관한 몇몇 반론에 대한 재반론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