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역사
고구려의 멸망과 부흥운동, 유민사 이미지

고구려의 멸망과 부흥운동, 유민사
동북아역사재단 | 부모님 | 2024.11.29
  • 정가
  • 28,000원
  • 판매가
  • 25,2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40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3 | 0.670Kg | 372p
  • ISBN
  • 9791171611447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고구려사 연구성과와 방법론을 담은 지침서. 고구려사는 한국고대사에서 지난 10년간 가장 큰 변화상을 보였던 분야이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초기 기사를 적극 활용하여 고구려사 연구의 방향과 방법론이 새롭게 모색되었으며, 정치사와 대외관계사를 중심으로 연구주제가 세분화되고 다양해지면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고고학에서는 북한의 연구성과에 기초하여 개설적인 정리를 시도하던 경향에서 벗어나, 중국에 남아 있는 고구려 고고자료가 소개되고 임진강 이남의 한반도 중부지역에서 고구려 유적에 대한 조사가 늘어나면서 고분벽화·고분·토기 등 여러 분야에서 독자적인 연구성과물이 나오는 단계에까지 이르고 있다.

『고구려통사』 발간은 이러한 고구려사 연구성과를 충실하게 정리하여 학계와 일반에게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에 막 입문한 이들에게는 고구려사 연구의 지침서가 되고, 역사에 관심을 가진 이들에게는 고구려의 새로운 모습을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희망한다.

  출판사 리뷰

저자 소개

이성제 동북아역사재단 수석연구위원
『譯註 中國正史 東夷傳 2: 晉書~新五代史(高句麗·渤海)』(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 『고대 동아시
아 석각자료연구』(편저, 동북아역사재단, 2018), 「고구려의 對唐防禦體制와 645년 전쟁」(『韓國古代史
硏究』 109, 2023), 「榮留王의 王權 강화와 淵蓋蘇文 政變: 高乙德일가의 官歷을 통해 본 영류왕대 政
局」(『韓國古代史硏究』 104, 2021)

이동훈 (주)동북아역사문화연구소 연구소장
『서울의 집성촌』(공저, 서울역사박물관, 2022), 『구미학계의 중국사 인식과 한국사 서술 연구』(공저, 동
북아역사재단, 2021), 『고구려 중·후기 지배체제연구』(서경문화사, 2019), 「唐宋史料筆記에 보이는 고구
려 관련 기록 연구」(『백산학보』 129, 2024), 「高句麗 貴族姓 淵氏와 蓋氏 硏究」(『고조선단군학』 49, 2022)

정원주 한국교통대학교 교양학부 강사
「고구려 멸망에서 발해 건국으로의 계기와 연속성」(『한국사상사학』 76, 2024), 「666년~668년 전쟁에
서 淵男生의 鄕導 역할에 대한 考察」(『역사와 담론』 107, 2023), 「唐의 고구려 지배정책과 安勝의 行
步」(『한국고대사탐구』 29, 2018), 「7세기 고구려의 서계(西界) 변화: 고구려의 요서(遼西) 진출과 당의
대응」(『영토와 해양』 8, 2014), 「男生의 失脚 배경과 그의 行步」(『한국고대사연구』 75, 2014)

김강훈 사동중학교 교사
『삼국시대 한강유역의 관방체계와 전쟁』(공저,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23), 『고대 군사사, 어떻게
볼 것인가』(공저, 역사산책, 2023), 『고구려부흥운동 연구』(학연문화사, 2022), 「고구려 영류왕 후기
대외정책의 변화와 연개소문의 정변」(『역사학보』 249, 2021), 「618~629년 영류왕의 대외정책과 고구
려당·신라 관계의 변화」(『고구려발해연구』 66, 2020)

이준성 경북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안시성 기록과 기억』(공저, 역사공간, 2023), 『『한원』번이부의 세계』(공저, 학연문화사, 2022), 『경계
를 넘어서는 고구려발해사 연구』(공저, 혜안, 2020), 「2000년대 이후 한국의 고구려사 연구 동향」
(『고구려발해연구』 79, 2024), 「동원과 연화, 통제와 교섭: 1~2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와 전쟁」(『한국
고대사연구』 112, 2023)

박경철 전 강남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한국 고대사의 재인식』(서경문화사, 2018), 『고구려의 정치와 사회』(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07), 「집
안 고구려고분군에 대한 통계적 접근 시론」(『한국사학보』 59, 2015), 『고조선과 위만조선의 연구쟁점
과 대외교류』(공저, 학연문화사, 2015), 「압록강 상류 임강~장백지역 적석총축조집단의 존재양태」(『歷
史文化硏究』 38, 2011), 「부여의 국세변동상 인식에 관한 시론」(『高句麗渤海硏究』 39, 2011), 「여당전쟁
의 재인식」(『동북아역사논총』 15, 2007), 「고구려 변방의 확대와 구조적 중층성」(『韓國史學報』 19, 2005)

장병진 경상국립대학교 역사교육과 조교수
『한사군 연구』(공저, 서경문화사, 2022), 「서북한 지역 전축분 연대의 하한 재검토기년명전을 중심
으로」(『박물관과 연구』 1, 2024), 「부여풍은 백제 의자왕의 태자인가?」(『백제학보』 48, 2024), 「5세기
고구려의 영남 북부 지역 지배에 관한 새로운 접근영남 북부 ‘本 高句麗 郡縣’ 기록의 이해」(『고구
려발해연구』 72, 2022), 「고구려 전기의 지배세력 재편과 관등제」(『한국고대사연구』 99, 2020)

김수진 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강사
『한국고대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 문헌, 문자, 물질』(공저, 진인진, 2021), 「고구려 유민 묘지명
의 撰者 선정과 ‘王言’의 기록」(『한국문화』 102, 2023), 「고구려 유민의 折衝府 복무 특징과 변화 양
상」(『韓國史學史學報』 47, 2023), 「8세기 전반 泉氏 가문의 정치·사회적 復元과 婚姻」(『奎章閣』 61,
2022), 「泉毖의 장인, 太原公 王暐의 출자에 대한 새로운 이해」(『高句麗渤海硏究』 74, 2022)

금경숙 동북아역사재단 명예연구위원
『위성사진으로 보는 고구려 도성』(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07), 『고구려의 정치와 사회』(공저, 동북아
역사재단, 2007), 『다시 보는 고구려사』(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07), 『고구려 문명 기행』(공저, 동북아
역사재단, 2007), 『만주-그 땅, 사람 그리고 역사』(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07), 『고구려 전기 정치사
연구』(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 「고구려 건국 신화의 형성과 변용」(『국학연구』 28, 2015)

  목차

책머리에

1 동아시아 정세 변화와 고구려 멸망

1장 멸망 전후의 국내외 정세 변화
1. 고구려의 대신라정책과 남방전선
2. 나당군사동맹과 당의‘ 고구려 선공’ 전략 폐기
3. 백제의 멸망과 고구려의 대응

2장 나당연합군의 공세와 고구려의 멸망
1. 661년 당군의 공세와 신라의 군량수송작전
2. 당군의 고구려 공격 과정
3. 연개소문의 죽음과 자식들의 분열
4. 연남생의 투항 및 고구려 지배층의 동향
5. 667~ 668년 당의 공세와 고구려 멸망

2 고구려 멸망 후 부흥운동
3장 부흥운동의 전개
1. 당의 고구려 고지 지배정책과 유민의 저항
2. 서북한 지역의 부흥운동
3. 요동·부여·책성 지역의 부흥운동
4. 당의 지배정책 변화와 보장왕의 부흥운동

4장 신라–당 전쟁의 전개와 고구려 유민의 활동
1. 신라의 백제 고지 장악과 신라 - 당 전쟁
2. 고구려 부흥운동과 신라로의 내투
3. 신라의 고구려 유민정책과 고구려 고지 지배

5장 고구려 멸망의 역사적 의미
1. 고구려의 국세 팽창과 전쟁
2. 7세기 동아시아 국제전쟁과 고구려의 멸망
3. 고구려 멸망의 역사적 의미
3 유민사 및 고구려 인식

6장 부흥운동 및 고구려 유민 연구의 신자료
1. 고구려 유민묘지명 자료 현황
2. 고구려 유민묘지명의 자료적 성격
3. 묘지명에 나타난 유민의 동향과 부흥운동

7장 고구려 유민의 향배와 존재방식
1. 보덕국과 신라의 고구려 유민정책
2. 왜로 이주한 고구려 유민과 고려군(高麗郡)
3. 당으로 이주한 고구려 유민의 존재 양상
4. 돌궐로 이주한 고구려 유민

8장 고구려의 영향과 동북아시아
1. 발해 건국의 배경과 고구려 계승의식
2. 고구려인으로 추정되는 도상(圖像) 등을 통한 고구려 인식
3. 후대 동아시아 각국의 고구려 인식

찾아보기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