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2022년 12월, 오픈AI가 챗GPT를 공개한 이후로 생성형 AI는 본격적으로 우리 삶의 일부로 자리했다. 챗GPT뿐만 아니다. 첨단 IT 기술은 어느덧 검색어 자동완성 기능, 맞춤법 검사기 등 우리에게 익숙한 도구가 되어 편리함을 제공한다. 명실상부 인류의 진보라고 할 만한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기능들이다. 우리는 이런 도구를 통해 생산성과 효율성 면에서 더욱 이득을 취하고, 금전적·시간적 재화를 더욱 필요한 곳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한편으로 난처한 문제가 있다. ‘기만적일 정도로 편리한’ 이 도구들을 계속 사용한다면, 인간의 고유한 언어 능력은 어디로 나아갈 것인가? 우리는 이미 여기서 파생된 다양한 문제들에 맞닥뜨렸다. 인간이 AI와 효과적으로 ‘분업’하며 공존할 수 있을까? 만약 그렇다면 그 방법은 무엇일까? AI는 인간이 쓰기를 통해 발휘하는 창의성에 위협이 될까? AI가 ‘저작자’라는 개념을 재정의할까? 그리고 다시 인간의 문제로 돌아와 ― 어떤 쓰기 능력이 우리가 지킬 가치가 있는 것일까? 언어학자이자 교육자로서 일찍이 AI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시작한 저자 나오미 배런은 이 책에서 AI와 언어, 글쓰기의 교차점을 통찰하고 때로는 비판적으로 되돌아보며, 그로부터 파생되는 다양한 질문과 관점을 우리에게 제시한다. 또한, 기술 발전에 따른 언어와 글쓰기의 진화, 그리고 AI가 제시하는 앞으로의 복잡한 과제와 기회를 조명한다.
출판사 리뷰
효율성이라는 유혹, 압도당하는 인간
생성형 AI는 인류의 글쓰기 판도를 바꿀 것인가
2022년 12월, 오픈AI가 공개한 생성형 AI 챗GPT는 글을 읽고 쓰는 능력으로 세상을 놀라게 했다. 이후 창작, 번역, 언론, 법률 등 다양한 분야에 빠르게 침투하며 산업 전반에 지각 변동을 일으켰다. 그러나 가장 근본적인 변화는 교육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다.
2024년 12월, 미국 대학 과제 시즌 동안 사용자 폭주로 챗GPT 서버가 다운되는 일이 벌어졌다. 이러한 현상은 미국에 국한되지 않는다. 우리나라 대학생들 역시 챗GPT 의존도가 심각하며, 2024년 6월 기준 한국에서만 약 315만 명이 이 AI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시, 어떻게 읽을 것인가』로 디지털 전환 시대의 읽기 전략을 제시했던 나오미 배런은 이번 책에서 ‘글쓰기’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인류의 문해력과 AI의 글쓰기 능력이라는 두 축을 탐구하며, 이들이 얽혀 만들어 갈 미래상을 조망한다. 컴퓨터 초기 단계인 1970년대부터 AI 연구를 시작한 저자는, 급변하는 기술 환경이 인간의 사고와 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학문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거대언어모델(LLM) 시대에 접어들며 챗GPT를 비롯한 생성형 AI들이 등장하고 있다. 맞춤법 자동교정, 문자 자동완성, 인간보다 빠른 기계번역 등 점점 정교하고 교묘해지는 기술은 인간의 삶을 혁신적으로 편리하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효율성 앞에 우리는 환호하지만, 저자는 그런 편리함이 우리에게 늘 이익이 되지는 않는다고 경고한다. AI가 제안하는 방식과 완성된 텍스트에 지나치게 의존할 경우, 우리는 성장 과정에서 습득한 ‘사고하고, 읽고, 쓰는’ 능력과 더불어 고유한 사고를 표현하는 발판으로서의 글쓰기 능력을 잃을 위험에 처할 수 있다. 나아가 저자는 단순히 문장의 사실관계가 부정확하고 반복성 표현을 남발하거나 문체가 딱딱하다는 문제 이상의 것, 즉 글쓰기 관련 전문직에 AI가 초래할 잠재적 결과들, 인간의 고용과 업무 만족도에 대한 영향 등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까지 폭넓게 논의한다. 특히 교육자로서 급변하는 교육 현장의 한가운데 서 있는 저자는 수기와 타이핑의 차이, 철자 검사와 편집 과정, 그리고 학생들이 AI를 활용하는 방식에 관한 설문 조사 결과 등을 통해 AI와 글쓰기의 실질적 변화를 구체적으로 보여 준다.
AI 시대로 빠르게 접어드는 지금,
과거와 미래의 쓰기에 대한 가장 첨예한 질문
제목이 암시하듯 이 책은 ‘쓰는 행위’와 그 미래를 다룬다. 또한 4부와 별도의 ‘13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한국어판에서는 편의상 4부 구성으로 실었다.
1부에서는 인간에게 있어 문자의 출현과 우리가 쓰는 이유를 톺아보며, 미국의 학문적 전통-쓰기-를 살펴보고 이 두 영역에서 AI가 어떤 식으로 기능하고 있는지를 따져 본다.
2부에서는 AI 기술의 발전도 개괄한다. ‘최초의 지능 있는 기계’의 등장부터 시작해 ‘최초의 자연어 처리 과정’을 다루며, ‘자연어 처리’가 AI라는 거대한 프로그램 안에서 속하는 지점을 짚어 본다. 이와 함께 기계번역이라는 성공 신화의 역사를 함께 다룬다.
3부에서는 AI가 인간의 쓰기 영역에서 활약하기 시작한 맥락을 탐구한다. 전문 산업 분야에서 활약하는 AI를 짚으며, 고용과 노동자의 업무 만족감에 미칠 잠재적 영향까지도 숙고해 본다. 또한, 쓰기 영역 외로도 생성형 AI의 다양한 창의적인 가능성을 가늠해 본다.
4부에서는 AI가 비전문가, 즉 ‘일상의 필자들’을 돕는 여러 방법을 살펴본다. AI와 협력을 통해 인간의 글쓰기를 향상한다는 관점에서 휴먼즈인더루프(Humans in the loop)라는 개념을 검토하고, 인간이 갖는 쓰기 기술 중 보존할 만한 것은 무엇인지 고민해 본다. 디지털 시대를 맞은 평범한 사람들이 인간의 쓰기 능력의 가치에 어떤 생각을 하는지 다양한 설문 사례를 통해 알아본다.
마지막 장인 13장에서는 우리가 어디로 갈 것인지를 물으며 책을 마무리한다. 우리는 앞으로 기술이 진화함에 따라 우리의 선택들도 그래야 할 것임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쓰기의 대전환 가운데
나만의 대답을 마련하고 우리의 미래를 바로 쓰는 법에 대하여
AI와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이 열릴 수도 있지만, 그러한 ‘공존’을 위해서는 고민과 논의가 선행되어야만 한다. ‘AI의 창작물에서 우리는 창의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인가? 우리는 그것을 인정해야 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비롯해, AI 기술 발전에서 비롯된 근본적인 딜레마 상황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저자는 이 같은 철학적 문제부터, 기술의 발전 속에서 어떤 쓰기 과제를 AI와 공유할 것인지, 어디까지 맡겨야 할지 등 실질적 대응까지 망라해 고민하게 만든다.
이제는 AI와 ‘원치 않아도’ 상생을 피할 수 없는 때이다. 다만 얼마나, 어떻게, 어느 정도까지 상생하고 공존할 것인지가 중요한 쟁점일 것이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우리는 인류의 자산인 쓰기 능력을 비롯하여 스스로를 어떻게 지킬 수 있을 것인지도 고민해야 할 것이다. 저자는 개인으로서, 그리고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우리에게 어느 선까지 AI와 협력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촉구한다. 또한 인류가 AI로부터 지켜내야 할 귀중한 ‘쓰기’의 인지적이고 사회적인 이점을 다시금 포착하여 일깨워 준다.
생성형 AI를 향한 이 책의 심도 높은 탐구는 다시 ‘인간은 왜 쓰는가? 우리는 왜 그것을 다시 읽고, 생각하여 고쳐 쓰는가?’라는 근본적 질문으로 귀결된다. 독자로 하여금 인간이 왜 저자로서의 주권을 포기해서는 안 되는지를 깊이 고민하게 하며, 인간 존재의 의미를 다시 한번 되새기게 만든다.
컴퓨터가 인간만큼 안정적인 수준으로 글을 쓸 수 있다고, 혹은 어쩌면 그보다 더 잘 쓸 수 있다고 상상해 보라. 그게 중요한 문제인가? 우리는 그런 발전을 환영할 것인가? 그래야 할까?
이런 의문들은 어쩌면 가능할지도 모르는 세상에 관한 질문이 아니다. 이미 AI는 업무 문서와 이메일, 신문과 블로그로 자신의 영역을 넓히고 있다. 작가들은 AI에 영감과 협력을 구하고 있다. 걱정스러운 것은 다가올 미래에 단지 인간의 쓰기 능력뿐만 아니라 어떤 일자리 든 여전히 인간에게 유효한 영역으로 남아 있을까 하는 의문이다.
학교의 작문 과제물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만약 에세이나 학기 말 과제 작성자가 조지인지 GPT-3인지 알 수 없다면 우리는 ‘의미 있는’ 쓰기 과제를 내 줄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 문제는 학생에서 끝나지 않는다. 스웨덴 연구원 알미라 오스마노비크 툰스트룀은 GPT-3에게 GPT-3에 관한 논문을 쓰게 했다. AI가 작성한 논문에 인간이 최소한의 수정을 더하자 참고 문헌까지 갖춘 놀라울 정도로 논리정연한 논문이 완성되었다.
AI의 언어 생성 능력이 빠르게 발달함에 따라 이제 하던 일을 잠깐 멈추고 사태를 점검할 필요가 생겼다. 쓰기 체계를 갖추기 위해 인간은 수천 년을 애썼다. 이 책을 읽는 모든 독자는 자신의 쓰기 능력을 갈고닦는 데 수많은 시간을 투자했다. 쓰기라는 수단을 통해 인간은 자기 생각을 표현하고, 타인과 의사소통하며, 그것을 오래가는 기록으로 남기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런데 이제는 AI가 언어를 생성하게 되면서 이런 기록물의 작성자가 누군지 불분명한 세상이 온 것이다.
(서문: 인간 작가가 AI 자동 언어 기계를 만나다)
“우리의 안녕을 도구에게 맡겨 버리고 숫자로 치환하는 순간 그것에 대한 소유권은 우리 것이 아니게 된다. 자신에 대한 경각심을 데이터가 대신해 버린다.”
만약 몸에 착용하는 스마트 기기가 우리의 건강 상태를 추적하는 일을 떠맡게 되면, 우리는 자기 몸을 스스로 살피는 노력을 하지 않을 위험에 처한다. 우리는 살과 피로 이루어진 신체가 아니라 일련의 수치가 된다. 글쓰기에도 동일한 일이 벌어질 수 있다. 편집 업무를 AI에 맡겨 버리면 컴퓨터 도구들이 매끈하게 보이도록 처리해 버리기 때문에 우리 글을 고치고 곱씹고 다시 써 보고 싶은 의욕이 서서히 사라지게 될 것이다.
쓰기 능력의 문제에 대해서 우리는 포기를 선언했는가? 아직 아니다. 한 가지 기준은 기업이 대졸자를 채용할 때 중시하는 능력을 물어본 설문 조사 결과다. 쓰기 능력은 여전히 우선순위가 높았다. 2018년 설문 조사에서 전국대학고용주 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Colleges and Employers, NACE)는 설문에 응했던 미국 고용주의 82퍼센트가 뛰어난 쓰기 능력을 갖춘 인재를 찾고 있다고 밝혔다. 문제 해결 능력은 조금 더 낮은 81퍼센트를 기록했고, 팀워크와 협업 능력은 79퍼센트로 세 번째였다.
2018년 이래로 우선순위에 약간의 변동이 있었다. 2022년 조사에서는 문제 해결이 선호도 86퍼센트로 첫째로 올라섰고, 쓰기 능력은 73퍼센트까지 하락했다. 쓰기 능력에 부여하던 고용주들의 가치가 왜 9퍼센트나 하락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어쩌면 피고용인의 문서를 깔끔하게 만들어 주는 AI 도구들의 사용 빈도와 그 위력이 증가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2장 왜 인간은 쓰는가―그리고 고쳐 쓰는가)
우리가 온라인에서 접하는 읽을거리 중 무엇을 믿을 것인가를 판단하는 일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그 딜레마는 소셜미디어 게시물, 비디오, 그리고 검색 결과들을 판단해야 할 때 발생한다. 적어도 우리는 언어를 우리 편에 둔다. 게시물과 검색 결과들 대부분은 우리가 말하거나 적어도 읽을 수 있는 언어에 속한다. 비록 많은 사람이 진실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른 출처들을 찾아가지는 않지만, 만약 마음을 먹는다면 그렇게 할 수는 있다.
기계번역 등장이요. 오타와대학에서 번역·정보학과의 교수인 린 보커(Lynne Bowker)가 나에게 상기시켜 준 바에 따르면, 우리는 읽고 있는 온라인 텍스트가 AI 번역기가 번역한 것인지를 매번 알아차리지는 못한다고 했다. 이들 번역기는 웹브라우저나 소셜미디어 사이트에 심어져 있고 자동으로 작동한다. 보커는 “우리가 심지어 그것을 신뢰할 수 있을지 아닐지에 대해 스스로 물어봐야 한다는 것도 모른다”는 사실이 큰 문제라고 말한다. 우리는 GPT-3과 챗GPT 같은 텍스트 생성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이와 유사한 문제에 봉착한다. 텍스트 생성이 인간에 의한 것인지, 기계에 의한 것인지를 구분하기도 어렵다. 그리고 구분할 수 없을 때 우리는 보통 물어볼 생각도 하지 않는다.
(6장 기계번역 부활하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나오미 배런
1946년 뉴욕 출생. 스탠퍼드대학에서 언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브라운대학, 로드아일랜드디자인스쿨, 서던웨스턴대학에서 강의했으며 구겐하임 펠로 및 풀브라이트 펠로로 선정되었고, 미국기호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현재 미국 아메리칸대학의 언어학 명예교수이다.언어학자로서 기술이 우리가 말하고, 읽고, 쓰고, 생각하는 방식을 어떻게 형성하는지 탐구해 왔다. 컴퓨터를 매개로 한 소통, 글쓰기 기술, 사회적 맥락에서의 언어, 언어 습득 및 영어 구사의 역사, 컴퓨터 시대의 언어 사용, 인스턴트 메시지, 문자메시지, 휴대폰 사용, 휴대폰에 관한 다문화 연구, 인간의 멀티태스킹 행동, 대학생의 SNS 사용 등이 주 관심 분야이다. 급변하는 기술 환경과 자신의 학문을 연계하려 애쓰며, 이와 관련한 다수의 책을 출간했다.주요 저서로는 『다시, 어떻게 읽을 것인가: 종이에서 스크린, 오디오까지 디지털 전환 시대의 새로운 읽기 전략』 (2021), 『화면 속 단어: 디지털 세상에서 독서의 운명(Words Onscreen: The Fate of Reading in a Digital World)』 (2015), 그리고 에든버러 공작 영어 도서상을 수상한 『항상 연결 중: 온라인과 모바일 세상의 언어(Always On: Language in an Online and Mobile World)』 (2008) 등이 있다.컴퓨터 초기 단계였던 1970년대부터 AI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시작했으며, 특히 기계번역의 가능성에 관심이 많았다. 이 책에서는 AI와 언어, 글쓰기의 교차점을 통찰하며 기술 발전에 따른 언어와 글쓰기의 진화, 그리고 AI가 제시하는 앞으로의 복잡한 과제와 기회를 조명한다.
목차
서문: 인간 작가가 AI 자동 언어 기계를 만나다
1부 글쓰기 수업
1장 문해력 둘러보기
2장 왜 인간은 쓰는가―그리고 고쳐 쓰는가
3장 영작문과 그것이 미친 결과
2부 만약 기계가 글을 쓸 수 있다면
4장 언어 기계를 향한 꿈
5장 자연어 처리 자동 언어 기계
6장 기계번역 부활하다
3부 컴퓨터가 글을 쓰게 되면
7장 AI 작가의 등장
8장 글 쓰는 이의 일자리를 위협하는 AI
9장 AI의 창의성
4부 컴퓨터가 우리와 협력한다면
10장 지브스 같은 AI
11장 인간과 AI의 공생
12장 우리는 늘 AI를 환영하는가
13장 왜 인간의 저자됨이 중요한가
해제: 글쓰기는 설레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