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평생을 학문 연구와 인재양성에 진력하여 학문의 지표가 된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들의 진솔한 삶의 이야기를 담은 『나의 학문, 나의 삶』 시리즈는 제1권과 제2권이 2020년 10월과 12월에 각각 발간된 데 이어, 현재까지 총 9권에 이르고 있다.
이번에 발간된 제9권은 중어중문학(허성도 교수), 인류학(전경수 교수), 조선해양공학(장창두 교수), 교육학(윤정일 교수), 불어교육(이형식 교수), 법학(양창수 교수) 분야를 포함한 명예교수 여섯 명의 이야기로 구성되었다. 이들의 삶은 우리나라 대학이 걸어온 길이자, 대한민국 학문의 발자취이다. 그러므로 이 책은 개인 석학들이 전공 분야에서 경험한 이야기를 담은 생생한 증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명예교수들의 연구와 저술 등의 활동을 통해 축적된 지적 자산을 사회에 환원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책에는 중어중문학, 인류학, 조선해양공학, 교육학, 불어교육, 법학 분야에서 최정상의 위치에 오른 학자들이 어떠한 계기로 학문의 길을 택했고, 학문의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했는지, 학자로서 그리고 한 인간으로서 그 고뇌는 어떠했는지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날로 변모하는 학문의 세계에서 자신의 전문 분야를 쌓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일평생 한 분야에 몰두해 온 석학들의 끊임없는 고군분투의 이야기는 올바른 학문의 자세를 배울 수 있는 지침서가 되어 줄 것이다.
출판사 리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의 “학문과 삶” 아홉 번째 이야기
-- 이들의 삶은 서울대학교가 걸어온 길이자 대한민국 학문의 발자취
평생을 학문 연구와 인재양성에 진력하여 학문의 지표가 된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들의 진솔한 삶의 이야기를 담은 『나의 학문, 나의 삶』 시리즈는 제1권과 제2권이 2020년 10월과 12월에 각각 발간된 데 이어, 현재까지 총 9권에 이르고 있다. 이번에 발간된 제9권은 중어중문학(허성도 교수), 인류학(전경수 교수), 조선해양공학(장창두 교수), 교육학(윤정일 교수), 불어교육(이형식 교수), 법학(양창수 교수) 분야를 포함한 명예교수 여섯 명의 이야기로 구성되었다. 이들의 삶은 우리나라 대학이 걸어온 길이자, 대한민국 학문의 발자취이다. 그러므로 이 책은 개인 석학들이 전공 분야에서 경험한 이야기를 담은 생생한 증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명예교수들의 연구와 저술 등의 활동을 통해 축적된 지적 자산을 사회에 환원하는 것이기도 하다.
오늘날 우리의 학문은 전통학문과 거의 단절되다시피하며 도입되어 일제시기의 독일식 대학제도에서 해방 후 미국식으로 바뀌며 발전을 해왔지만 이제는 현재 서울대학교를 비롯한 대학들의 학문분포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는 냉정히 검토해 보아야 할 것이다. 학문적 성과로 담을 수 있는 체험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배경과 사정도 있는데, 이러한 ‘속얘기’를 허심탄회 털어놓고 적을 수 있게 하는 이 책의 의의는 결코 작지 않다. 명예교수들은 이 책에서 학문적 업적을 자랑하기보다 그 과정과 동기, 때로는 시행착오를 사실대로 솔직히 기록하려고 노력하였다. 서로 협의하거나 토론할 시간은 없었고 그저 각자 지나온 삶을 진솔되게 이야기식으로 적었지만 이러한 시도는 우리나라에서 처음 있는 것이다.
이 책에는 중어중문학, 인류학, 조선해양공학, 교육학, 불어교육, 법학 분야에서 최정상의 위치에 오른 학자들이 어떠한 계기로 학문의 길을 택했고, 학문의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했는지, 학자로서 그리고 한 인간으로서 그 고뇌는 어떠했는지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날로 변모하는 학문의 세계에서 자신의 전문 분야를 쌓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일평생 한 분야에 몰두해 온 석학들의 끊임없는 고군분투의 이야기는 올바른 학문의 자세를 배울 수 있는 지침서가 되어 줄 것이다.
저자소개
허성도(許成道)
(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교수
한국 중어중문학회 회장
한국중국언어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장
서울대학교 인문정보연구소 소장
중국 북경 언어대학 해외 객좌교수
서울대학교 교육상·홍조근정훈장
전경수(全京秀)
(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 중국귀주대학 특빙교수, 미국 예일 대학 객원교수, 일본국립민족학박물관 객원교수
한국문화인류학회 회장, 문화재위원, 제주학회회장, 근대서지 학회회장
서울대학교 학술연구상(2011), 대한민국 정부 녹관문화훈장 (2014), 독도평화대상 특별상(2017), 대한민국 문화체육관 광부장관 표창장(2022)
장창두(張昌斗)
(현)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조선해양공학과 명예교수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 부설 선박연구소 선임연구원
아시아-태평양 선박구조회의(TEAM 2006) 의장
국제선박해양구조회의(ISSC 2009) 의장
해양시스템공학연구소 소장
한국선급 기술위원회 위원장
미국 MIT, 미시간대학 초빙교수
중국 하얼빈공대 조선공학과 석좌교수
21세기 탁월한 지식인상(IBC)
올해의 국제교육자상(IBC, 2007)
대한조선학회, 한국전산구조공학회 학술공로상
서울대학교 최우수 강의교수상, 최우수 연구교수상
윤정일(尹正一)
(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학장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민족사관고등학교 교장
아태지역 사범대학 학장협의회 창립회장
한국교육학회 회장, 한국교육행정학회 회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회장
학교바로세우기실천연대(NGO) 위원장
대통령 교육개혁심의회 전문위원, 대통령 교육정책자문회의 전문위원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연구부장
미국 교육재정학회 최우수 박사학위논문상, 자랑스런 관악인의 상
이형식(李亨植)
(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불어교육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불어교육과 졸업(1972)
프랑스 파리 대학교 유학(1972-1979, 프랑스 문학 전공, 석사, 박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봉직(1979–2011)
저서 『마르셀 프루스트: 희열의 순간과 영원한 본질로의 회귀』, 『프루스트의 예술론』, 『작가와 신화: 프루스트의 신화세계』, 『(프랑스 문학, 그 천 년의 몽상) 감성과 문학』, 『(프랑스 문학, 그 천 년의 몽상) 정염의 맥박』, 『(프랑스 문학, 그 천 년의 몽상) 루시퍼의 항변』, 역서 『레 미제라블, 빅토르 위고』(전5권), 『잃어버린 시절을 찾아서』(전12권), 소설 『그 먼 여름』
양창수(梁彰洙)
(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변호사
서울민사지방법원 판사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민사판례연구회 회장
한국민사법학회 회장
대법관
대법원 민사실무연구회 회장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제1회 법학논문상(한국법학원, 1997), 한국학술진흥재단 인문사회계열 우수학자(2007), 제18회 상허대상(2008), 자랑스런 Duke 동문상(2008), 청조근정훈장(2014), 자랑스러운 서울법대인(2019)
목차
발간사
책머리에
허성도 | ‘맹자와 함께 춤을’
I. 글머리에
II. 머뭇거림과 한 줄기 빛
III. 우인 조규철 선생님과의 만남
IV. 『맹자』 한 편이 뿌린 씨앗들
V. 이어지는 실수, 또 실수
VI. ‘야(也)’가 남겨준 고귀한 선물
VII. 14자와 함께 다닌 3개월의 여행
VIII. 두 명의 남자와 잠자는 아내
IX. ‘맹자와 함께 춤을’
전경수 | 공부는 아무나 하나…
I. 아버지와 선생님
II. 학계의 심부름
III. 미국유학과 선생님
IV. 모교에서 홀로서기
장창두 | 세계1위 조선국의 꿈을 이루기 위한 나의 삶과 학문
I. 머리말
II. 성장기
1. 우리 집안 내력과 어린 시절
2. 초·중·고 시절
3. 대학 시절
4. 졸업 후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 근무 시절
5. 일본유학시절
III. 교수시절
1. 서울대 교수 발령
2. 학생지도와 바이블 스터디
3. 국내외 학술활동 및 교육활동
4. 해외 초빙교수 시절
5. 세계를 선도하는 탁월한 연구업적 달성과 조선 산업에 적용한 획기적인 성과들
6. 세계1위 조선국의 꿈을 이루다
7. 천안함, 세월호 침몰 원인 분석 관련 인터뷰 및 방송 출연 유감
8. 반세기 만에 한국 최초로 개최한 국제선박해양구조회의(ISSC 2009) 의장 역임
9. 스승을 뛰어넘는 출람(出藍)한 제자들 양성
IV. 맺는말
윤정일 | 한국 교육재정학 확립
I. 교사의 길로 방향 전환: 청주사범학교
II. 학문의, 민족의, 세계의 대학: 서울대학교
1. 전무후무한 대입제도
2. 최선을 다한 대학 4년
3. 가정교사 생활과 양우장학금
4. 서울대학교 럭비선수
III. 호국간성 ROTC 소위 임관
1. ROTC 후보생 합격
2. 인제군 원통리로 배치
3. 양양 오색에 4H 회관 건립
4. 보통군법회의 국선 변호인
IV. 학문의 길로 진입: 교육대학원 석사과정
1. 교육행정 전공
2. 대한교련 입사 시험
3. 인천교육대학 통근
4. 젊음을 투자한 한국교육개발원(KEDI)
V. 꿈에 그리던 미국 유학
1. 일리노이 대학교(University of Illinois)의 입학허가서
2. 시카고 오헤어(O’Hare) 공항에서 친구 찾는 방송
3. 두드려라, 그러면 열린다
4. 맞은편 기숙사 불이 다 꺼질 때까지
5. Computer Use in Education
6. 논문 자격시험
7. 최우수 박사학위 논문상 수상
VI. 한국 교육을 선도하는 KEDI
1. 한국교육개발원육성법 개정
2. 교육비 분석 연구
3. 7.30 교육개혁과 교육세 도입
4. 장기 인력수급 계획 수립
VII. 서울대 교수의 긍지와 자부심
1. 연구와 저술 활동
2. 서울대학교 관련 연구
3. 교육연구소와 교육행정연수원
4. 교육개혁과 교육재정 확충
5. 학회 창립 및 운영
6. 대학-지역사회 간의 협력체제 확립
7. NGO 활동: 학교바로세우기실천연대
VIII. 꿈의 고등학교 교장으로 전근
IX. 맺음말
이형식 | 구도의 여정에서 만난 프루스트
I. 슬픈 격정
II. 허무혼(虛無魂)
III. 제상비상(諸相非相)
IV. 사바나
V. 다시 깨진 평온
VI. 순례의 길
VII. 신화 속으로
VIII. 스러지는 몽환경
양창수 | 학문으로서의 민법학을 위하여
I. 들어가기 전에
II. 법대 학생이 되기까지
1. 집안의 내력
2. 서울대 법대와 사법연수원
III. 민법학을 전공으로 ― 이호정 선생님과 곽윤직 선생님
1. 대학원에서
2. 이호정 선생님
3. 곽윤직 선생님
IV. 법원에서, 그리고 독일 유학
1. 법원에 있으면서
2. 독일 유학
V. 학교로 와서
1. 1985년 6월
2. 박사학위 논문 ― 「일반 부당이득법의 연구」
3. 법 공부
VI. 마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