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탈식민주의 문학의 선구자이자 “정확하고 압도적인 문장으로 파괴와 폭력을 그려내면서도 인간의 연대와 따뜻함에 대한 희망을 잃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으며 2018년 대안 노벨문학상인 뉴아카데미문학상을 수상한 마리즈 콩데의 자전에세이 『민낯의 삶』이 출간되었다.파리10대학교, UC버클리, 하버드대학교, 컬럼비아대학교 등에서 프랑스어권 문학을 가르치며 열여덟 편의 장편소설과 수많은 희곡과 에세이를 남기고 2024년 4월 세상을 떠난 마리즈 콩데가 홀로 첫아이를 출산하고 작가로 성장해나가는 청장년기의 삶을 담은 작품이다. 고향 과들루프를 뒤로하고 자신의 뿌리를 찾아 떠난 아프리카에서 마리즈 콩데는 교육자, 지식인, 어머니, 여성, 이방인으로서의 지난한 인생 여정을 ‘민낯 그대로’ 펼쳐놓는다. 1958년 배우 마마두 콩데와 결혼 후 마리즈 콩데는 역경 속에서 네 아이와 함께 코트디부아르, 기니, 가나, 세네갈 등으로 이주하며 억척스러운 삶을 꾸려나간다. 그 과정에서 아프리카의 다양한 지식인, 정치인들과 교유했던 일화와, 탈식민화 이후 독재 치하의 혼돈 가득한 아프리카 여러 국가의 급박하고 위태로운 정세가 생생히 담겨 있다. 독재정치, 쿠데타, 물자 부족 등 식민 시대 이후 아프리카의 모습은 우리의 현대사와도 닮아 더욱 흥미롭게 읽힌다.내가 제일 좋아하는 시인이 노래한 그 대륙에 가닿는다면, 나는 다시 태어날 수 있으리라고 믿었다. 다시 무구해지리라고. 그곳에서는 내게 다시금 온갖 희망이 허용되리라고. 그곳에는 내게 고통을 주었던 남자에 대한 해로운 기억이 떠돌지 않으리라고. 나의 결혼생활이 지속되지 못했다는 사실은 놀랍지 않았다. 나는 콩데의 어깨에 나의 환멸에서 태어난 기대와 상상의 무게를 얹어놓았으니까. 이러한 짐이 그에게는 너무나 무거웠다.
하지만 아버지의 죽음은 내게 무시무시한 충격이었다. 내가 태어난 그 섬에 이제는 무덤뿐이었다. 그 섬은 이제 내게 영원히 금지되었다. 그 두번째 죽음이 나를 과들루프에 묶어두고 있던 마지막 끈을 풀어버렸다. 나는 그저 고아가 아니었다. 나는 무국적자, 태어난 곳도 소속된 곳도 없는 주거부정자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나는 완전히 기분 나쁘지만은 않은 일종의 해방감을 느꼈다. 이제부터는 온갖 평가에서부터 놓여났다는 해방감을.
권력욕에 떠밀려서 모든 것을 소유하려고 드는 자들과 나머지 사람들 사이의 가차없는 투쟁이 온 세상에서 일어나고 있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마리즈 콩데
1934년 프랑스령 과들루프섬 푸앵트아피트르에서 태어났다. 유복한 유년 시절을 보내며 성장과정에서 프랑스 본토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열여섯 살이 되던 해에 파리로 유학을 떠나 백인 중심 사회에서 흑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처음 자각하기 시작했다. 1956년 홀로 첫아들을 출산했다. 1958년 결혼한 후, 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로 이주해 프랑스어 교사로 일했다. 기니, 가나, 세네갈 등을 오가며 십여 년간 고된 생활 끝에 1973년 프랑스로 돌아와 파리3대학교에서 비교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파리10대학교, UC버클리, 메릴랜드대학교, 버지니아대학교, 하버드대학교, 컬럼비아대학교 등에서 2005년까지 프랑스어권 문학을 가르쳤다.1976년 첫 소설 『에레마코농』을 시작으로, 리베라투르 문학상 수상작 『세구』, 여성문학대상 수상작 『나, 티투바, 세일럼의 검은 마녀』, 아카데미프랑세즈에서 수여하는 아나이스세갈라 문학상 수상작 『사악한 삶』 외에 『마음의 이주』 『침수를 기다리며』 『이반과 이바나의 경이롭고 슬픈 운명』 등의 소설을 발표했다. 그 밖에 마르그리트유르스나르상 수상작 『울고 웃는 마음』과, 『민낯의 삶』 『음식과 기적』 등의 자전적 회고록과 에세이를 발표했다. 2014년 레지옹 도뇌르 오피시에 훈장을 수훈했으며, 2018년 대안 노벨문학상인 뉴아카데미문학상과 2021년 치노 델 두카 국제상을 수상하면서 세계적 작가로 다시 한번 이름을 알렸다. 2024년 세상을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