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김진석
현) 서울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글로벌국제교육전공, 인공지능융합교육전공 교수약력부산대학교 영어교육과 졸업부산대학교 대학원(석·박사)전) 학장여자중학교, 중앙여자고등학교 교사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대학수학능력시험본부 부장)전) 서울교육대학교 기획처장, 교무처장, 연구처장 겸 산학협력단장현) 글로벌교육연구학회 회장저서문화(다문화) 관련 저서: 글로벌 시대 문화 다양성 이해, 문화지능 기반 글로벌시민교육,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과 다문화교육(문화관광부 세종우수도서), 문화 속의 영어, 영어 속의 문화(공저)리터러시 관련 저서: Multicultural Literacy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인공지능 리터러시의 이해와 실제(공저), 다문화 사회와 리터러시 이해(공저)교육과정 및 평가 관련 저서: 영어과 교육과정 기반 교육평가의 이해, 영어과 교육과정 및 평가(개정판), 초등영어과 교육과정의 이해와 적용(개정 4판), 초등영어교육 및 평가(공저)언어학과 교수-학습방법 관련 저서: 상호작용 의미 화용론, 담화분석과 영어교육, 초등영어교육과 영어학(공저), 영어로 수업하는 영어수업인증제(공저)
서문
1부 AI시대 교실수업 개관
제1장 AI시대 교육 패러다임
1. AI시대 학습자의 휴먼 알고리즘
2. AI시대 학습자상
3. AI시대 학습자의 특성과 변혁적 교육
4. AI상호작용 시스템 구축 및 실행
제2장 AI시대 실러버스
1. AI시대 실러버스 구성의 방향
2. 초·간학문적 실러버스와 융합: 개념과 내용
3. 빅 아이디어: 핵심 개념과 내용 선정 및 조직
4. 학습내용 적정화
제3장 AI시대 교실수업: 동기유발, 기억, 그리고 표현
1. 정보처리 과정: 입력과 처리, 그리고 출력
2. 동기화와 이해 가능한 입력
3. 장기기억화
4. 표현기와 이해 가능한 출력
2부 교실수업 설계
제4장 교실수업: 설계와 수업모형
1. 수업설계: 교사의 역할
2. 빅 아이디어 기반 단원 설계
3. 차시별 수업 설계
4. 교수-학습 모형
제5장 주제·과제 중심 수업 설계
1. 주제와 과제
2. 주제 중심 학습
3. 과제 중심 학습
제6장 상호작용이 활발한 교실수업 설계
1. 상호작용능력
2. 교실상호작용능력의 요인
3.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의 양상
4. 교실상호작용 체크리스트
3부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제7장 문제·질문 중심 교실수업
1. 문제·질문 중심 수업모형
2. 질문의 유형
3. 질문과 창의성
4. 질문 전략과 질문 형성 테크닉
제8장 AI디지털 스토리텔링 및 극화활동
1. 스토리텔링 알고리즘
2. AI디지털 스토리텔링의 특성 및 효과
3. AI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글로벌 디지털 시민성
4. AI디지털 스토리텔링과 극화활동
제9장 학생의 성장을 돕는 과정평가
1. 학습을 위한 평가
2. 근접발달영역과 역동적 평가
3. 교실수업에서의 형성평가
4. 교실수업에서의 수행평가
참고문헌
부록
찾아보기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