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국내에는 수많은 ‘언어 능력 시험’이 있으나 그 모든 시험이 다양한 응시자 특성과 유동적인 시험 상황을 고려하여 개발되고, 운용되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언어 능력 시험 개발의 실제』는 체계적인 시험 설계 및 개발은 물론 효과적인 운용을 위한 이론을 다루고 있어 주목할 만하다. 언어 능력 시험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개념 설명을 시작으로, 초등학생부터 대학생, 일반인까지 여러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10개의 언어 능력 시험 개발 사례를 제시한다. 이러한 풍부한 개념과 사례는 언어 능력 시험을 개발하거나 운용하는 이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마치 조리법이 존재하고 이에 따라 음식을 만드는 것처럼, 우리는 모델로 삼을 만한 언어 테스트와 명쾌한 절차가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 그리고 그에 맞춰 따라가기만 하면 우리의 목적과 상황에 맞는 최고의 테스트를 만들어 내리라 생각했다.
단 하나의 ‘최고의’ 테스트가 존재한다면, 그리고 그 테스트를 사용하거나 테스트 개발 시 모델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실제로 그러한 테스트는 적어도 일부의 테스트 응시자들에게는 적절하지 않은 테스트가 될 가능성이 높다.
언어 테스트에서 응시자의 정서적 스키마타는 테스트 과제를 처리하고 완성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응시자가 낙태, 총기 규제, 국가 주권과 같은 감정적인 주제를 다뤄야 할 경우, 이러한 주제에 대한 응시자의 정서적 반응은 이들이 사용할 수 있는 언어 지식 및 메타인지 전략의 전체 범위를 활용하는 능력을 제한한다. 이는 언어 테스트에서 감정적인 주제를 피하라는 것이 아니라, 언어 능력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정서적 스키마타에 의해서 응시자의 수행이 영향받을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라일 F. 바크먼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캠퍼스(UCLA) 응용언어학 명예 교수로 재직 중이며, 언어 평가(Language Testing) 분야에서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출판하였다. 언어 평가 관련 강의를 진행하고, 실무자를 위한 평가 교육 워크숍을 운영하며, 세계 각국의 대학 및 정부 기관을 대상으로 언어 평가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지은이 : 에이드리언 S. 파머
유타대학교(University of Utah) 언어학과 명예 교수로 재직 중이다. 11개의 외국어 시험을 개발하였으며, 9권의 저서와 4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언어 평가 연구 학술회의(Language Testing Research Colloquium)의 공동 창립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