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김구철
서울 법대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기자가 되었다. KBS 정치부 기자로 1987년, 1992년, 1997년 세 차례 대통령 선거를 현장 취재했고, 2007년 대선에서는 대선 캠프에서 TV토론과 네거티브 대응을 담당했다. 2012년 대선에서는 종편사에서 선거 방송을 총괄 기획 진행했고, 2017년 대선을 예측하는 선거전략서를 쓰고 기명 칼럼도 연재했다. 특히 2022년 대선에서는 친구가 정치 참여를 결심하고 당선되는 전 과정을 가까이 지켜보고 조언도 했다. 저서로는 『KBS 김구철 기자의 방송뉴스 이렇게 쓴다』, 『김구철 기자의 TV뉴스 이렇게 취재한다』,『제국의 몰락 : 오너가 꿇어야 산다』, 『첨삭지도 TV뉴스리포트 』, 『김구철의 대선전략 : 예측 2017년 대선 』, 『선비 문화를 찾아서』, 『새로운 영국의 희망 토니 블레어(역서) 』 등이 있다.
프롤로그
제1장 들어가는 말
제2장 이미지 정치 이론
1. 시각의 중요성
2. 미디어의 등장과 정치의 이미지화
3. TV의 등장과 ‘중간 무대의 개방’
1. ‘주어진 이미지’(gifted image)
2. ‘내보려는 이미지’(intended image)
3. ‘노출된 이미지’(Exposed image)
4. 미국과 한국의 선거 환경 비교
5. 이미지 선거와 네거티브 선거운동의 득세
제3장 미국의 이미지 선거
1. 1960년 선거 환경
2. 케네디의 주어진 이미지
3. 케네디의 내보려는 이미지
4. 케네디의 노출된 이미지
5. 닉슨의 이미지와 선거 전략
6. 사상최초의 TV토론
7. 케네디, 닉슨의 이미지 분석과 선거결과
1. 1980년의 선거환경
2. 레이건의 주어진 이미지
3. 레이건의 내보려는 이미지
4. 레이건의 노출된 이미지
5. 카터의 이미지와 선거 전략
6. 레이건과 카터의 이미지 분석과 선거결과
1. 1992년 선거 환경 분석
2. 클린턴의 주어진 이미지
3. 클린턴의 내보려는 이미지
4. 클린턴의 TV토론 전략
5. 클린턴의 노출된 이미지
6. 아버지 부시의 이미지와 선거 전략
7. 3위 로스 페로의 이미지와 선거 전략
8. 클린턴과 부시, 페로의 이미지 분석과 분수령 선거 결과
1. 당선자 이미지
2. 낙선자 이미지
3. 바람직한 이미지 전략과 전략가
제4장 한국의 이미지 선거
1. 양당 구도 선거
2. 이미지 정치의 시작
1. 1997년 김대중의 이미지와 선거 전략
2. 2002년 노무현의 이미지와 선거 전략
3. 2007년 이명박의 이미지와 선거 전략
4. 2012년 박근혜의 이미지와 선거전략
5. 2017년 문재인의 이미지와 선거 전략
1. 역대 대통령의 주어진 이미지
2. 성공한 이미지
3. 실패한 이미지
4. 모델에 의한 선거 전략 분석
5. 신·언·서·판(身言書判)
제5장 윤석열의 이미지 분석
강골 검사 시대정신을 선점하다
제6장 한·미 대선 후보의 이미지 비교
1. TV토론과 선거의 승패
2. 승패 요인으로서의 이미지
3. 이미지 선거 전략 비교 분석
1. 가설의 확인
2. 이미지 정치의 한계와 불가피성
3. 한미 후보 이미지의 비교와 한국적 적용
4. 이미지 전략, 실체 일치의 중요성
제7장 차기 대통령 후보들
제8장 마치며
에필로그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