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 이미지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부모님 | 2025.07.10
  • 정가
  • 15,000원
  • 판매가
  • 13,500원 (10% 할인)
  • S포인트
  • 75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5 | 0.239Kg | 184p
  • ISBN
  • 9791166844225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프랑스 제2공화국이 의회의 무능력으로 인해 루이 보나파르트, 즉 나폴레옹 3세의 친위쿠데타를 막을 수 있었던 수많은 기회를 놓치고, 그의 손아귀에 떨어지게 되는 배경을 살펴본 마르크스의 소논문이다. 옮긴이는 이 책을 “마르크스 정치학의 자본론”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마르크스의 『자본론』은 그의 주저이자, 그의 경제학적, 사회학적 지식을 집대성한 책이다. 그리고 그 방대한 두께로 인해 사람들로 하여금 책장에서 꺼내 들기를 주저하게 만드는 책이기도 하다.그런데 이 소략한 책이 정치학의 자본론이라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자본론』이 자본주의 경제의 법칙을 이론적으로 해부했다면,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은 정치권력의 장에서 그 법칙이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보여 주는 실증적 분석서이자 정치학의 응용 편이었다. 이 책에서 마르크스는 역사는 반복되지만, 한 번은 비극으로 한 번은 소극으로 반복된다는 사실, 프랑스 제2공화국의 몰락은 단순히 루이 보나파르트의 쿠데타로 인해 발생한 사건이 아니라, 의회 의원들의 무능과 자기 모순적 행위들로 인해 예정된 것이었다는 사실 등을 밝힘으로써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이 한 인물이 아닌 시대가 만들어 낸 사건임을 성찰하고 있다.마치 그가 『공산당 선언』에서 선언한 것과 유사하게, “하나의 유령이” 프랑스 제2공화국을 “배회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때는 “공산주의”가 아니라 ‘보나파르트주의’라는 이름을 하고 있었지만 말이다. 마르크스는 이 소논문에서 의회가 “최후의 무기마저 스스로 포기해 버리고” 스스로가 “죽은 뒤에야 묻혔음을 증명”했다고 말한다. 즉 마르크스는 이 책에서 의회가 루이 보나파르트에게 제2공화국을 가져다 바쳤다고 고발하는 것이다. 이처럼 역사적 사실로부터 사건의 실체적 진실을 도출해 내는 마르크스의 탁월한 혜안은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에서 빛을 발하고 있다.

  출판사 리뷰

마르크스 정치학의 자본론
프랑스 혁명을 통해 보는 마르크스 정치학의 대표작


헤겔은 어디에선가 세계사에서 막대한 중요성을 지닌 모든 사건과 인물은 반복된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그러나 그는 다음과 같은 말을 덧붙이는 것을 잊었다. 한 번은 비극으로 다음은 소극{笑劇}으로 끝난다는 사실 말이다.
인간은 자신의 역사를 만들어 가지만, 그들이 바라는 그대로 역사를 형성해 가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그들 스스로 선택한 환경 아래서가 아니라 과거로부터 맞닥뜨리거나 그로부터 조건 지어지고 넘겨받은 환경 아래서 역사를 만들어 가는 것이다.
-본문 중에서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은 프랑스 제2공화국이 의회의 무능력으로 인해 루이 보나파르트, 즉 나폴레옹 3세의 친위쿠데타를 막을 수 있었던 수많은 기회를 놓치고, 그의 손아귀에 떨어지게 되는 배경을 살펴본 마르크스의 소논문이다. 옮긴이는 이 책을 “마르크스 정치학의 자본론”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마르크스의 『자본론』은 그의 주저이자, 그의 경제학적, 사회학적 지식을 집대성한 책이다. 그리고 그 방대한 두께로 인해 사람들로 하여금 책장에서 꺼내 들기를 주저하게 만드는 책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 소략한 책이 정치학의 자본론이라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자본론』이 자본주의 경제의 법칙을 이론적으로 해부했다면,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은 정치권력의 장에서 그 법칙이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보여 주는 실증적 분석서이자 정치학의 응용 편이었다. 이 책에서 마르크스는 역사는 반복되지만, 한 번은 비극으로 한 번은 소극으로 반복된다는 사실, 프랑스 제2공화국의 몰락은 단순히 루이 보나파르트의 쿠데타로 인해 발생한 사건이 아니라, 의회 의원들의 무능과 자기 모순적 행위들로 인해 예정된 것이었다는 사실 등을 밝힘으로써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이 한 인물이 아닌 시대가 만들어 낸 사건임을 성찰하고 있다. 마치 그가 『공산당 선언』에서 선언한 것과 유사하게, “하나의 유령이” 프랑스 제2공화국을 “배회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때는 “공산주의”가 아니라 ‘보나파르트주의’라는 이름을 하고 있었지만 말이다. 마르크스는 이 소논문에서 의회가 “최후의 무기마저 스스로 포기해 버리고” 스스로가 “죽은 뒤에야 묻혔음을 증명”했다고 말한다. 즉 마르크스는 이 책에서 의회가 루이 보나파르트에게 제2공화국을 가져다 바쳤다고 고발하는 것이다. 이처럼 역사적 사실로부터 사건의 실체적 진실을 도출해 내는 마르크스의 탁월한 혜안은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에서 빛을 발하고 있다.

정치학의 자본론이라니, ‘정치’에 대해 한번 얘기해 보자. 공자는 정치에서 제일 먼저 해야 할 것으로 ‘정명’을 꼽았다. ‘정명’이란 이름을 바르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옮긴이에 따르면 이 책을 처음 출간할 당시 책 제목을 “루이 나폴레옹의 브뤼메르 18일”이라고 했던 마르크스는, 이 책의 영어판을 내면서 제목을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로 바꾸었다고 한다. 루이 보나파르트의 본명은 샤를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로, 흔히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라고 부른다. 그런데 왜 마르크스는 책 제목에서 나폴레옹을 빼고, 성인 보나파르트를 넣은 것일까? 그것은 루이 보나파르트가 나폴레옹의 이름과 혈통에 기대고자 했으나, 결코 ‘나폴레옹’이 될 수는 없었음을 가리키고자 한 것이 아닐까? 나폴레옹의 이름과 민중의 지지로 황제가 된 루이 보나파르트는 엠스 전보 사건을 거치며 달아오른 프랑스 국민의 전쟁열을 무시할 수 없었고, 다가오는 전쟁의 그림자를 피할 수 없었다. 그리고 그는 결국 스당에서 패배하여 포로가 되면서 폐위되었다. 이때의 처참한 패배로 인해 사람들로부터 겁쟁이라는 조롱에 시달린 나머지, 그는 자신의 주치의이자 절친한 친구였던 앙리 코노에게 이런 유언을 남겼다고 한다. “우리는 스당에서 겁쟁이가 아니었지 않소(N'est-ce pas que nous n'avons pas t des lches Sedan)?” 그의 말마따나 그가 스당에서 겁쟁이는 아니었을 수 있다. 그러나 그보다 중요하고, 또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은 그가 나폴레옹 역시도 아니었다는 사실이다. 다음으로 루이 보나파르트의 ‘쿠데타’를 나폴레옹이 일으킨 쿠데타의 이름, 즉 ‘브뤼메르 18일’로 일컬은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루이 보나파르트의 쿠데타가 삼촌인 나폴레옹이 일으킨 쿠데타의 재탕에 불과한 사건이었음을 명시하기 위함이었을 것이다. 따라서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이라는 제목은 마르크스 나름의 사평(史評)이 드러나는 제목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 이 오래된 책의 현재성에 대해 살펴보자. 이 “정치학의 자본론”에서 마르크스는 이렇게 말했다. 헤겔의 말마따나 “세계사에서 막대한 중요성을 지닌 모든 사건과 인물은 반복”되지만 “한 번은 비극으로, 다음은 소극으로” 끝이 난다고. 아니나 다를까, 한때 “대한민국은 전 세계에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똑똑히 보여 주었다(South Korea just showed the world how to do democracy)”라는 찬사를 받았던 이 나라에서, 이제 다시는 감히 재현되리라고 생각지 못했던 사건이 재현되고야 말했다. 대한민국 제6공화국의 대통령이었던 작자가, 그것도 하필이면 루이 보나파르트가 쿠데타를 일으켰던 날보다 하루 늦게, 쿠데타를 자행하고야 만 것이다. 그러나 최규하와 전두환을 한 몸에 구현하고자 했던 인물은, 그 내적 모순으로 인해 루이 보나파르트조차도 되지 못한 채 루이 16세가 될 운명을 마주하고 있다. 아마 자신의 아내에게 마리 앙투아네트라는 비난이 쇄도할 때조차도 그러한 운명을 깨닫지는 못했겠지만 말이다. 한편, 우리는 그 어설픈 쿠데타의 순간에 이 소논문에서 읽히는 무능한 치들의 전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자유’와 ‘민주’를 줄기차게 외쳐 대고 상대를 향해 ‘독재’라는 비난을 쏘아 대고는, 정작 자유와 민주가 위협받던 순간에 국회가 아닌 자신들의 안락한 둥지에 숨어 있었던, 또는 국회의 담을 넘기보다는 그저 카메라에 남기를 선택했던, 비겁하고 저열한 군상을 통해서 말이다. 다행히도 우리는 프랑스 제2공화국과 달리 국가에 대한 반역 행위를 막아 내는 데 성공했다. 공화국이 위기에 처한 순간에 그것을 지키고자 달려 나왔던 시민들이 있어 주었던 덕이다. 우리 시민은 그렇게 자신의 힘으로 쟁취했던 민주주의를 자신의 힘으로 지켜 내었고, 이제 국가의 반역자들은 자신의 반역 행위에 대한 응분의 대가만을 기다리고 있다. 마르크스의 말을 빌려 그 종말에 축복을 건네려 한다. “행복한 여행을 하길 바란다!”

헤겔은 어디에선가 세계사에서 막대한 중요성을 지닌 모든 사건과 인물은 반복된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그러나 그는 다음과 같은 말을 덧붙이는 것을 잊었다. 한 번은 비극으로 다음은 소극(笑劇)으로 끝난다는 사실 말이다. 당통에 대해서는 꼬씨디에르가, 로베스피에르에 대해서는 루이 블랑이, 1793-1795년의 산악당(Montagne)에 대해서는 1848-1851년의 산악당이 그러하며, 삼촌에 대해서는 조카가 그러하다. 그리고 같은 모습이 브뤼메르 18일의 재판(再版)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그려지고 있는 것이다

오래전부터 7월 왕정의 합법적 계승자로 자부해 왔던 부르주아 공화파는 이와 같이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그들이 권력을 획득한 것은 루이 필리프 치하에서 꿈꾸어 왔던 것과 같이 왕권에 대항한 부르주아의 자유주의적 반란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본에 항거하는 프롤레타리아의 봉기를 포도탄(grape-shot)으로 진압함으로써만 가능했다. 그들이 가장 혁명적 사건으로 인식해 왔던 것이 실제에 있어서는 가장 반혁명적인 사건으로 드러난 것이다. 그들의 무릎 위로 열매가 떨어지긴 했으나, 그 열매는 생명의 나무가 아니라 지혜의 나무에서 떨어진 것이었다.

질서당은 어느 화창한 날 아침, 자신들이 기대고 있는 어깨가 총검으로 돌변해 있음을 느끼면서도 여전히 [자신들이] 군대를 장악하고 있다는 환상에 젖는다. 각 당파는 자신의 후방에 있는 세력은 돌려 차면서 맹렬히 공격을 가하고 자신을 밀쳐 내는 앞쪽 세력의 등에 기댄다. 이처럼 우스꽝스러운 자세로 인해 각 당파가 균형을 잃고 어쩔 수 없다는 식의 찡그린 표정을 지은 채 괴상한 행동을 하면서 몰락해 간다는 것은 그리 놀랄 만한 일이 아니다. 혁명은 이렇게 하강곡선을 따라 움직인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카를 마르크스
1818년 5월 5일 독일 트리어에서 태어났다. 김나지움을 마치고 1835년에 본 대학에 진학해 법학을 전공했다. 아버지의 압박으로 베를린 대학으로 전학해 철학을 공부했다. 이곳에서 헤겔 철학을 연구하며 청년헤겔파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진보적 성향이 덜한 예나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땄다. 1842년 <라인신문>에서 일하기 시작해 편집장이 되었다. 마르크스는 사설을 통해 프로이센 정부와 언론의 검열을 매섭게 비난했다. 그 결과 신문은 이내 폐간됐다. 1843년 프랑스 파리로 이주해 정치경제학과 프랑스혁명의 역사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때 <경제학·철학 초고> <헤겔의 법철학 비판> 등의 원고를 썼다. 파리에서 프로이센 정부를 비판하는 글을 쓰다가 프랑스에서 추방되어 벨기에 브뤼셀로 이주했다. 이 무렵 <철학의 빈곤> <자유무역에 대하여>의 원고를 썼다. 1847년 파리에 거주하는 독일 출신 노동자를 중심으로 생겨난 조직 ‘정의 동맹’의 요청을 받고 강령에 해당되는 글을 작성했다. 바로 <공산당 선언>이다. 프랑스를 시작으로 유럽 전역에서 혁명이 일어나자 파리로 잠시 피신했다가 쾰른으로 돌아갔다. <신라인신문>으로 이름을 바꾸고 신문을 재발행하기 시작했다. <임금노동과 자본>은 노동자를 일깨우기 위한 글로, 이 신문에 다섯 편으로 나뉘어 실렸다. 정부 탄압을 받던 <신라인신문>은 이내 기소당해 마르크스는 추방 명령을 받고 영국 런던으로 망명했다. 이곳에서 어려운 생계를 꾸리며 경제학을 연구했다. 1851년 유럽 특파원으로서 영국을 비롯한 유럽 각국의 사정을 분석하는 기사와 사설을 기고하기 시작했다. 이후 몇 년간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정치경제학 비판> 등을 집필했다. 49세 되던 해에 《자본》이 출간됐다. 프랑스 파리에서 최초의 사회주의 자치정부인 파리 코뮌이 수립됐으나, 정부군 진압과 학살로 무너졌다. 마르크스는 파리 코뮌의 기록과 의의를 적은 《프랑스 내전》을 썼다. 국제노동자연맹을 이끌며 아나키스트파와 내분을 겪기도 하고, 독일사회주의 노동자당의 강령을 비판하는 등 사회적 활동을 이어 갔다. 1883년 3월, 엥겔스가 잠시 자리를 비운 새 조용히 세상을 떠났다.

  목차

제2판에 부치는 서문(1869) · 5
독일어판 제3판에 부치는 서문(엥겔스, 1885) · 8

Ⅰ · 13
Ⅱ · 31
Ⅲ · 51
Ⅳ · 75
Ⅴ · 93
Ⅵ · 121
Ⅶ · 149

옮긴이의 말 · 171
인명 색인 · 175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