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한 해 동안 발표된 중.단편소설을 결산하는 '이상문학상'의 38번째 작품집이 출간됐다. 제38회 대상 수상작은 편혜영의 '몬순'. '몬순'은 거대한 불안과 대면하는 과정에 주목하였던 편혜영 작가의 종전 스타일과는 달리, 인간의 삶 자체가 겪지 않을 수 없는 존재론적 불안을 집요하게 응시하고 있는 작품이다.
심사를 맡은 김윤식 평론가는 "삶의 난감함을 겪는 우리 모두에게 질문을 던지는 소설"이라고 이 작품의 우수성을 주목했고, 서영은 소설가는 "무심심한 단어 하나하나가 돌연 의미심장한 주제로 바뀌는 것이 매력"이라고 이 작품의 무게를 인정했다. 권영민 평론가는 "주인공의 삶에 내밀하게 자리 잡고 있는 고통과 그 비밀이 인간의 존재 자체를 위협하고 있는 불안의 상황과 절묘하게 접합되어 있음"을 주목하였다.
윤대녕 소설가는 "관계로 표현되는 삶의 생태성이 무너져가고 있는 현실을 압축해서 드러낸 작품"이라고 평했으며, 신경숙 소설가는 "불안의 징후들을 포개놓고 또 포개놓은 것으로 이물질로 가득 차 있는 이 삶의 깊이를 다시 응시하게 한 작가의 역량에 신뢰를 보낸다"고 밝혔다.
이번 작품집에는 대상 수상작인 편혜영의 '몬순'과 자선 대표작 '저녁의 구애' 외에도 우수상 수상작으로 김숨의 '법法 앞에서', 손홍규의 '기억을 잃은 자들의 도시', 천명관의 '파충류의 밤', 조해진의 '빛의 호위', 윤고은의 '프레디의 사생아', 이장욱의 '기린이 아닌 모든 것에 대한 이야기', 윤이형의 '쿤의 여행', 안보윤의 '나선의 방향'이 수록되어 있다.
출판사 리뷰
불어온 후에야 방향을 알 수 있는 ‘몬순’에 빗대어
삶의 불확정적 요소들을 집요하게 응시한 작품!
“독자들을 까닭 모를 불안감 속으로 몰아넣은 채 이야기를 풀어가는 가운데 작가는 비밀이라는 것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순간에만 긴장을 수반한다는 평범한 원리를 강조하였다. 그러면서도 인간의 삶 자체가 겪지 않을 수 없는 존재론적 불안을 의심의 상황 속에서 놓치지 않고 있다.” ― 대상 수상작 선정 이유서 중에서
■ 소설가 편혜영, 2014 제38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한국문학을 사랑하는 모든 독자들이 매년 손꼽아 기다리는 ≪이상문학상 작품집≫이 드디어 출간됐다. 한 해 동안 발표된 작품들 중 최고의 작품으로 평가되는 중ㆍ단편소설만을 모아 싣는 ≪이상문학상 작품집≫은 합리적이고 공정한 심사 과정과 한국소설 문학의 황금부분을 선명하게 부각시키는 탁월한 작품성을 지닌 수상작으로, 현대소설의 흐름을 대변하는 소설 미학의 절정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2014년 이상문학상 대상작은 심사위원 5인(김윤식, 서영은, 권영민, 윤대녕, 신경숙)의 심사숙고 끝에 편혜영의 <몬순>으로 선정되었다. 편혜영은 그동안 인간의 내밀한 고독과 불안을 치밀하고 건조한 문장으로 형상화한 작품을 발표하며 평단과 독자들의 호평을 받아왔다. 올해의 이상문학상 대상작인 <몬순>의 곳곳에 산재한 불안과 관련된 소재나 장면 역시 그동안 지속되어온 작가의 관심과 연결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거대한 불안과 대면하는 과정에 주목하였던 종전 스타일과는 달리, 인간의 삶 자체가 겪지 않을 수 없는 존재론적 불안을 집요하게 응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작가 세계의 진전을 기대할 만하다.
이번 작품집에는 대상 수상작인 편혜영의 <몬순>과 자선 대표작 <저녁의 구애> 외에도 대상과 치열한 경합을 벌였던 우수상 수상작인 김숨의 <법法 앞에서>, 손홍규의 <기억을 잃은 자들의 도시>, 천명관의 <파충류의 밤>, 조해진의 <빛의 호위>, 윤고은의 <프레디의 사생아>, 이장욱의 <기린이 아닌 모든 것에 대한 이야기>, 윤이형의 <쿤의 여행>, 안보윤의 <나선의 방향> 등 삶에 대한 깊이와 실험성이 돋보이는 작품들이 고루 포진하여 읽는 재미와 맛을 더해주고 있다.
■ 편혜영의 <몬순>, 대상 선정 경위
2014년 1월 7일 이상문학상 본심이 열렸다. 본심 심사위원으로는 비평가 김윤식, 비평가 권영민 씨와 이상문학상 기수상작가인 소설가 서영은, 소설가 윤대녕, 소설가 신경숙 씨가 참여하였다.
작년 한 해 동안 발표된 중ㆍ단편소설 가운데 문학비평가, 문예지 편집장, 문학 담당 기자, 문학 연구자 등 100여 명의 후보작 추천을 거쳐 예비심사 과정을 통과하여 최종심에 오른 작품은 다음과 같다.
김숨, <법法 앞에서>
손홍규, <기억을 잃은 자들의 도시>
안보윤, <나선의 방향>
윤고은, <프레디의 사생아>
윤이형, <쿤의 여행>
이장욱, <기린이 아닌 모든 것에 대한 이야기>
조해진, <빛의 호위>
천명관, <파충류의 밤>
편혜영, <몬순>
이번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작으로 심사위원들이 지목한 작품은 손홍규, 윤이형, 조해진, 천명관, 편혜영의 작품이었다. 그중 편혜영의 <몬순>을 대상 수상작으로 선정하는 데 있어 심사위원들은 작가가 그동안 즐겨 다루어온 주제와 기법에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이 작품의 무게와 그 소설적 성취를 높이 평가했다.
심사를 맡은 김윤식 평론가는 “삶의 난감함을 겪는 우리 모두에게 질문을 던지는 소설”이라고
작가 소개
저자 : 편혜영
1972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예대 문예창작과와 한양대 국문과 대학원을 졸업했다. 200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단편 <이슬털기>가 당선되어 등단했으며, 소설집 ≪아오이가든≫ ≪사육장 쪽으로≫ ≪저녁의 구애≫ ≪밤이 지나간다≫, 장편소설 ≪재와 빨강≫ ≪서쪽 숲에 갔다≫가 있다. 2007년 한국일보문학상, 2009년 제10회 이효석문학상을 수상했다. 2010년에는 오늘의 젊은 예술가 상을, 동인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목차
제38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작 선정 이유서
1부 대상 수상작 그리고 작가 편혜영
―대상 수상작|몬순
―자선 대표작|저녁의 구애
―수상 소감|묵묵한 응시
―문학적 자서전|타인의 삶
―작가론|편혜영가든(김애란)
-작품론|불안과의 대화(장두영)
2부 우수상 수상작
―김 숨|법法 앞에서
―손홍규|기억을 잃은 자들의 도시
―천명관|파충류의 밤
―조해진|빛의 호위
―윤고은|프레디의 사생아
―이장욱|기린이 아닌 모든 것에 대한 이야기
―윤이형|쿤의 여행
―안보윤|나선의 방향
3부 선정 경위와 심사평
―심사 및 선정 경위
―심사평
김윤식: 모순 같은 태풍의 방향, 그런 거에 대해 잘 압니까?
서영은: 기이하고 고통스러운 매력
권영민: 불안사회의 징후를 읽어내는 법
윤대녕: 삶의 불확정성에 대한 응시
신경숙: 건조하고 냉담한 문체에 실린 블랙홀
‘이상문학상’의 취지와 선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