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신윤정
1978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서울대학교에서 언어학 및 심리학 전공으로 학사학위를 취득하고, 동 대학 심리학과 임상 및 상담심리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 후, 미국 퍼듀대학교에서 상담심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미국에서 Licensed Psychologist 면허를 취득하고, Arkansas State Univ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고 한국으로 귀국 이후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학습·심리상담 전공 교수로 8년 반을 재직 후 2020년 이직하여 현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육상담 전공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한국상담학 회 및 한국상담심리학회 1급 자격증 소지자이자 수련감독자이며, 한국상담 학회 서울경기인천상담학회 학회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한국상담심리학회와 한국학교심리학회 부회장이자, 해외 저명학술지인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의 Editor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진로 발달, 생애 개발 상담 개 입 및 사회적 소수자를 위한 사회 정의 옹호 철학 기반한 상담 및 심리 교육 에 관심이 있습니다. 국내외 학술논문으로 「Impact of Intergroup dialogue on LGBTQ+ and non LGBTQ in South Korea-」, 「Understanding career-designing experiences of North Korean immigrant youths in South Korea」, 「북한 배경 청소년 대상 온라인 생애 진로 설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등 100여 편을 출판하였고, 저서로는 『학교폭력 예방 및 학생의 이해』 와 『청소년 진로 특성 진단 및 활용』과 번역서로는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아동 청소년 상담 : 이론, 발달 및 다양성의 연계』 등이 있습니다.
지은이 : 전주람
서울에서 태어나 성균관대학교에서 가족학(가족관계 및 교육, 가족문화)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2017년 7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서울 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교수학습·상담심리 연구교수로 재직하였으며, 현재는 서울시립대학교 교직부 소속으로 <심리검사를 활용한 심리치 료>와 <심리학의 이해>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가정법원 상담위원으로 2014년부터 현재까지 활동 중이며, 2022년부터는 통일부 통일교육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연구 관심사는 가족관계, 심리상담, 문화 갈등, 남북 사회 통합 등입니다. 주요 논문으로는 「50~60대 북한이주 남성들의 일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일의 심리학 이론을 중심으로」, 「20대 이혼을 결심한 신혼기 부부에 관한 가족치료 사례연구」, 「북한이주민과 근무하는 남한 사람들의 직장생활 경험에 관한 혼합연구」 등 60여 편이 있으며, 저서로는 『절박한 삶』(2021년 서울대학교 다양성 위원회 선정 도서), 『21세기 부모 교육』(2023년 세종도서 학술 부문 선정 도서), 『북한이주민과 지역 사회복지』(2024년 학술원 우수 학술 도서 선정 도서), 『공감을 넘어, 서로를 잇다』(2024) 등이 있습니다. 2016년 KBS 〈생로병사의 비밀 : 뇌의 기적〉 600회 특집에 부부상담사로 출연하였고, 2021년 KBS 통일열차 일요초대석, 2024년 BBC Korea(‘북한에도 동성애가 있을까? 개념조차 없이 부정당하는 북한 성소수자, 인권 침해로 봐야 할까’)에도 출연하였습니다.
지은이 : 김시원
2018년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한 뒤 서울에서 초등교사로 근무하며 어린이들을 만나왔습니다. 2019년 출신 대학의 성폭력 사건 대책위원회에서 활동하였고,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성평등 교사모임 ‘아웃박스’에서 활동하며 학교가 모두에게 평등한 공간이 되도록 힘써왔습니다. 성평등 교육을 주제로 한 강의를 진행해 오고 있으며 2022년 고양시 교육청 강의, 2023년 양성평등 교육진흥원 성평등 교육활동 재위촉보수 과정 등의 강사로 참여하였습니다.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서 교육상담 전공 석사과정을 이수 중이며, 주요 연구 관심사는 사회 정의 옹호 상담, 여성주의 상담, 다문화 상담 등입니다. 특히 권력과 특권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바탕으로 여성, 성소수자, 북한이탈 주민 등 다양한 배경을 지닌 사람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지원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초등교사 정교사 1급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으며 『그 대학은 안전하지 않다』, 『열두 달 성평등 교실』, 『볼 영화 없는 날 : 차별을 넘어 차이를 잇는 페미니즘 영화관』, 『차별 없는 말 사전』을 함께 썼습니다.
지은이 : 이연지
2023년 중앙대학교 유럽문화학부 독일어문학 전공을 졸업한 뒤, 독일어 중등 정교사 2급 자격증을 소지하였습니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육상담 전공 석사과정에 재학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관심사는 다 문화·사회 정의 상담, 성소수자 상담으로, 현재 ‘성소수자 자살 생존자 애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TGNC(Transgender and Gender Nonconforming) 정체화의 긍정적 측면에 대한 질적 연구 : 후기 청소년을 중심으로’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내담자가 그를 둘러싼 체계적인 억압을 변형시키는 데 참여하는 역량을 갖춘 상담사가 되고자, 현재는 청소년 성소수자 지원센터 ‘띵동’의 자원활동가 ‘띵가띵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그전에는 비온뒤무지개재단 자원활동가 ‘햇살’로 활동했습니다. 외국에서 수학하던 당시 유럽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문화에 대해 겪은 바를 아울러 『이 편지는 유럽에서 시작되어』(공저, 2023)를 출판했습니다.
지은이 : 곽태환
서울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대학 졸업 후에는 공군 학사장교로 임관하여. 8년간 복무하였고 통일에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통일 정책과 통일 이후의 사회 통합을 주제로 여러 연구를 수행해 왔습니다. 석사학위 논문 ‘북핵에 대한 한국 정부의 대응 정책에 관한 연구’에서 북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인 대응 정책이 필요함을 주장하였고, 박사학위 논문인 ‘개성공단 근무 경험자의 통일인식에 관한 연구’를 통해 우리 시대가 가진 통일인식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관련 논의의 재검토가 필요함을 주장하였습니다. 연구논문으로는 ‘북한 3세대 최고 지도자의 리더십에 관하여’ 국가안보전 략연구원 논문 공모 입상작인 ‘신(新)안보 시대에서 새판짜기 : 국민 우선주의를 향하여’, ‘다문화주의에서 조명한 국군 정신 전력 기본교재의 국가관’, ‘정명(正名)의 관점에서 본 북한이탈주민의 명칭 고찰-2세대 실향민 명칭을 제안하며’(공저), ‘위협의 다양화를 통해 본 안전보장 이슈와 호국 정신의 중요성 고찰’, ‘우리 군과 다문화 - 외면과 방치의 중첩을 중심으로’ 등이 있습니다. 또한 ‘대한민국 국방력의 퀀텀 점프를 위한 제4 병종의 창설’과 ‘대통령 전용기(공군 1호기) 도입에 관한 보고서’, ‘AI 미래 정신 전력 플랫폼의 평가 도구’, ‘지금 그들은 : 육군 신임 공보 정훈장교의 100일’, ‘군악 운영 실태와 개편 방안’, ‘군가 가창 활성화 방안 연구’ 등의 과제를 수행하였고 저서로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의 시사점과 교훈』(공 저) 등이 있습니다. 2024년에는 ‘대한민국 외교안보통일 토론 페스티벌’에서 우승해 국정원장상을 받기도 했습니다. 현재는 해군대학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