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신승준은 의사이다. 그것도 외재적 상처와 아픔을 치료하는 정형외과 의사이다. 고래로 양·한방 가릴 것 없이 의학은 철학·문학·미술·음악 등과 함께 예술의 한 분야였다. 다시 말하자면 병이나 상처를 고치는 단순한 기술에 국한시키지 않고 예술의 한 방편으로 인식했던 것이다. 그래서인지 그의 첫 시집도 기술보다는 예술에 가깝다.표제 ‘흰 가운의 무게, 그리고 꿈’은 그가 생업으로 삼게 된 의사로서의 무게에 짓눌리고 짓눌리면서도 의사로서 첫걸음을 내딛을 때 외쳤던 히포크라테스 선서의 꿈뿐만이 아니라 생활인으로서 품었던 꿈을 실현할 것을 끝없이 희구한다. 공식 상으로 기술해 보면 무게=꿈 또는 무게->꿈으로 전개되는데, 이는 일종의 갈망 승화 과정이다. 제1부 ‘아픔과 같이한 시간들’ 편에 실린 「흰 가운의 꿈」’과 「의사의 시작」’은 좌절을 딛고 일어서려는 그만의 대표적인 몸부림이다.부제(部題)처럼 ‘아픔과 같이한 시간들’은 그의 일상이 된 지 오래되었다. 하지 절단술을 했던 첫 수술, 반복되어 온 수술실에서의 사투, 죽을 만큼 아프고 나야 죽게 되는 퇴행성 관절염, 사망한 채 구급차에 실려 온 DOA(Death On Arrival), 극복하기 어려운 환자의 고통과 시련, 그리고 허다한 죽음... 마침내 그가 남긴 일성은 「놓아주는 용기」였다.신승준 시인의 에필로그다양성의 이름으로나는다르면 틀린 줄 알았다.그래서말하지 않았다.하지만 이제 안다.다름은,말해야 비로소존재가 된다.그 다름이곧 다양성이며,세상을 이루는 힘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신승준
경남 거창에서 태어나 자연과 사람의 결을 느끼며 자랐다.부산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정형외과 전문의가 되었으며현재는 정원정형외과의원 원장으로 일하고 있다.의사의 길을 걷는 한편,삶의 통증과 회복을 시의 언어로 기록해왔다.<흰 가운의 무게, 그리고 꿈>이 그의 첫 번째 시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