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노영순
한국해양대 국제해양문제연구소 HK교수. 『보트피플, 한국에 닻을 내리다』(글터, 2024), 「‘조용한 항해’: 월드비전과 국제기아대책기구의 남중국해 해상 구조 활동」(『해양도시문화교섭학』30, 2024), 「1976~1977년 아시아종교평화회의(ACRP)의 <보트피플 구조 프로젝트>로 본 비정부기구와 틱ㅤㄴㅕㅅ하인의 해상난민 구조」(『디아스포라 연구』16-1, 2022),「마닐라의 정의: 미국과 필리핀의 일본점령기 협력 문제」(『역사와 경계』 110, 2019)
지은이 : 김영숙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일본의 동남아시아 점령과 지배』(동북아역사재단, 2024), 『대동아공영권의 허상과 모순-『사진주보』로 보는 일본의 동남아시아 침략』(동북아역사재단, 2022),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전시 일본의 프로파간다』(동북아역사재단, 2021), 『하라 다카시, 평민 재상의 빛과 그늘』(살림, 2019), 『근대 일본의 동아시아 정책』(선인, 2009)
지은이 : 고토 겐이치
와세다대학 명예교수. 『동남아시아로부터 본 근현대 일본-‘남진’·점령·탈식민지화를 둘러싼 역사 인식』(라경수 옮김,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23), 『日本の南進と大東亜共栄圏』(めこん, 2022), 『大東亜主義·解説総目録編』(後藤乾一·松浦正孝共編, 龍渓書舎, 2008), 『近代日本と東南アジア』(岩波書店, 1995), 『日本占領期インドネシア研究』(龍溪書舎, 1989)
지은이 : 김명환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원.『일제 침략전쟁과 군인·군속 동원(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3)』, 「드라마 「여명의 눈동자」에 투영된 강제동원 서사-사이판 섬 동원 묘사를 중심으로-」(「북악사론」21, 2025), 「태평양전쟁기 북마리아나 지역 한인의 전쟁동원과 포로수용소 체험」(『한국민족운동사연구』120, 2024), 「南洋拓殖株式會社의 조선인 동원과 그 실태」(『한국 근현대사 연구』104, 2023)
지은이 : 김종호
서강대 동아연구소 HK교수. 『화교이야기-중국과 동남아 세계를 이해하는 키워드』(너머북스, 2021), 『인물로 읽는 동남아』(공저, 한겨레출판사, 2024), 『해양과 메가아시아』(공저, 진인진, 2023), 『키워드 동남아: 30개의 주제로 읽는 동남아시아의 역사, 문화, 정치』(공저, 한겨레출판사, 2022), 『도시로 보는 동남아시아사-방콕, 하노이부터 치앙라이, 덴파사르까지 13개 도시로 떠나는 역사기행』(공저, 사우, 2022)
지은이 : 정재현
목포대 사학과 교수. 『냉전과 탈식민의 세계사』(공저, 세창출판사, 2024), 「‘남쪽 너머’에서 본 중일전쟁(1937-1940)-프랑스 식민 권력과 식민지 베트남인들의 인식과 대응-」(『프랑스사연구』52, 2025), 「‘불완전한 국민’의 전쟁 동원? 제1차 세계대전 시기의 제국령 알자스-로렌」(『프랑스사연구』50, 2024), 「1954년 5월 7일, 디엔비엔푸 요새의 함락과 프랑스 식민지 제국의 해체」(『프랑스사연구』48, 2023)
지은이 : 공준환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연구원. 「전쟁범죄의 처벌과 경계 넘어서기-미국의 요코하마 전범재판 사례를 중심으로」(『한국민족운동사연구』122, 2025), 「연합국의 전범재판과 ‘인권’ 의제」(『역사비평』143, 2023), 「연합군 자료를 통해 본 버마의 일본군‘위안부’ 제도」(『동북아역사논총』66, 2019), 「해방된 전범, 붙잡힌 식민지-전후 미국의 전범재판과조선에서의 전범문제 논의」(『사회와 역사』112, 2016)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