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대통령을 말하다  이미지

대통령을 말하다
개항도시 인문학
혜윰터 | 부모님 | 2025.07.25
  • 정가
  • 18,000원
  • 판매가
  • 16,200원 (10% 할인)
  • S포인트
  • 90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3 | 0.325Kg | 232p
  • ISBN
  • 9791198994233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카카오톡 문의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카카오톡 또는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2024년 12월3일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했다. 12월14일 국회의원들은 탄핵소추를 의결하고 윤석열의 대통령 직무는 정지되었다. 헌법재판관들은 탄핵 심판을 시작하여 2025년 4월4일 헌법재판관 8명 전원 일치로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했다. 그리고 국민은 2025년 6월3일 이재명 후보를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숨 가쁜 정치과정을 거치면서 대통령에 대해서 다시 생각한다. 과연 대통령은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할까? 대통령 자서전이나 평전을 쓴 작가에게 듣고 책으로 엮었다.

  출판사 리뷰

계엄을 선포했다. 응원봉을 들었다. 탄핵했다.
지금은 대통령을 말할 시간!

대한민국 헌법 제1조 1항과 2항에 분명하게 명시되어 있듯이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한민국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그럼에도 전 대통령 윤석열은 권력을 남용해 2024년 12월 3일 불법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국민은 여의도를 가득 메웠고, 국회의원은 담장을 넘어 국회로 모였고, 군은 미온적으로 작전을 수행함으로써 불법 명령에 저항했다. 우리는 지난 계엄을 통해 민주주의와 헌법을 수호하지 않는 대통령이 국민에게 어떤 위협이 되는지 똑똑히 알게 됐다. ‘개항도시 인문학’으로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이 한 일을 되새기고, 대한민국 대통령은 어떤 사람이어야 할지를 다시 생각해 본 이야기가 한 권의 책으로 출간되었다.
‘개항도시 인문학’은 인천의 대표적인 인문학 특강 프로그램이다. 2022년 인천광역시 중구 개항로에는 책마을‧예술마을‧커피마을 등이 함께하는 복합문화공간 ‘개항도시’가 생겼고, 이곳에서 매년 봄과 가을, 두 차례에 걸쳐 ‘개항도시 인문학’이 개최된다. 시즌7은 최근 탄핵정국과 정권 교체, 민주주의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떠올리며, ‘대통령’이라는 가장 정치적이고도 인간적인 키워드에 주목했다. ‘대통령’과 ‘민주주의’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달려가는 순간, 뭐라도 해야 된다는 생각으로 최석호 소장은 개항도시 인문학 ‘대통령을 말하다’를 기획했다. 강연자들이 들려주는 대한민국 대통령 이야기가 그 자리에 함께하지 않은 다른 많은 사람들에게도 전해질 수 있도록 이렇게 책 《대통령을 말하다》로 출간된 것은 참 반갑고 다행스러운 일이다.

이제 ‘누구를 대통령으로 뽑을까?’가 아니라
‘어떤 사람이 대통령이 되어야 하는가?’를 물어야 한다.
대통령 자서전 혹은 평전을 직접 쓴
작가들이 말하는 대한민국 대통령 이야기

‘대통령을 말하다’는 균형을 잡아 진보와 보수 각각 두 명의 대통령을 선정했다. 생존 대통령은 제외하고, 역사적 평가를 어느 정도는 받은 대통령으로 기준을 삼았다. 논란이 있거나 임기가 지나치게 짧은 대통령은 제외하고, 국민으로터 지지를 받는 대통령을 뽑기로 했다. 그래야 과거 대통령의 치적으로부터 오늘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교훈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최종적으로 노무현·박정희·김대중·김영삼 등 네 분 대통령을 가렸다.
다음으로 강사 선정 기준은 대통령에 대해서 잘 아는 사람을 기준으로 삼았다. 대통령 임기 중에 측근으로 모신 사람, 대통령 자서전이나 평전을 쓴 사람이라면 대통령을 잘 안다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유시민·조갑제·유시춘·오인환 등을 강사로 선정했다. 개항도시 인문학 ‘대통령을 말하다’ 기획자이자 강연 진행 때마다 해당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최석호 소장을 마지막 강사로 선정해, 설문조사 결과를 함께 살펴보았다.
편법과 반칙이 아닌 정의로운 승리를 위해 헌신했지만 국민과 어긋남이 있었던 노무현 대통령, 산업화와 경제성장의 공이 있지만 독재와 노동자를 희생시킨 과가 있는 박정희 대통령, 페미니스트였고 IMF 경제위기를 극복했지만 경제위기 상황에서의 과도 있는 김대중 대통령, 민주화와 개혁의 공이 있고 동시에 국가부도라는 과가 있는 김영삼 대통령 등 이 책은 대통령의 공과 과를 돌아보게 만든다.
노무현 대통령은 ‘국민이 대통령입니다’라는 슬로건을 걸었고, “사회의 발전, 사회의 진보라는 것은 시민들 한 사람 한 사람이 앞으로 나아가는 그만큼 나아갑니다.”라고 말했다. 국민은 대통령을 뽑고 그에게 권력을 위임하는 존재다. 대통령의 친위쿠데타를 겪은 우리는 어떤 교훈을 얻을 것인가? 이 책은 국민 한 사람으로서 어떤 사람이 대통령이 되어야 하는지 곱씹게 만들며 시민의 민주주의 의식을 높일 것이다.

노무현 대통령 5년을 돌아보면 어긋난 게 정말 많았는데, 가장 큰 게 대통령과 국민의 어긋남이었어요. 이 어긋남이 어떻게 나타났는가? 재임 중에는 국정 수행 지지율이 아주 낮았는데, 퇴임한 뒤에는 인기가 막 올라갔고, 돌아가시고 나서는 국민이 제일 좋아하는 대통령이 됐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이 봉하마을 계실 때 관광객들이 몰려오니까 인사하러 나오셔서 이렇게 말씀하셨어요. “일할 때는 못한다 못한다 싫다 싫다 하더니 이제 그만두고 나와서 노니까 좋다 좋다 한다.” 국민과 대통령의 어긋남에 대한 당신의 생각을 표현한 농담 같은 진담이었어요. 그렇습니다. 국민과 대통령은 크게 어긋났습니다. 그게 다 제 자리에 들어가야 노무현 대통령은 역사 인물로 합당한 자리를 찾을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_ ‘제1장 대통령 노무현을 말하다’에서

한국 사회는 여러 우여곡절에도 불구하고 노무현 대통령 시절에 겪었던 대통령과 국민 사이에 어긋남을 스스로 치유해 왔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역사 전체를 이런 식으로 볼 수는 없지만, 적어도 노무현 대통령만큼은 이렇게 해석해야 국민의 선호도가 계속 상승하는 현상을 이해할 수 있기에 드리는 말씀입니다.
이것은 대통령이 돌아가신 과정에서 우리가 느꼈던 애통함과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노 대통령은 정말 중요한 우리 사회의 과제들에 대해서 말했습니다. 해결하지는 못했지만 어떤 문제가 있으며 해결할 때 적용해야 할 원칙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분명하게 자신의 생각을 밝혔어요.
긴 시간이 흘렀지만 그 문제의식과 해결의 원칙은 빛이 바래지 않았어요. 여전히 경청할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국민이 그렇게 생각하기 때문에 호감도가 지속 상승하는 것이 아닌가, 그게 저의 해석이에요. _ ‘제1장 대통령 노무현을 말하다’에서

정말 책을 좋아하셨습니다. 일화를 하나 말씀드리면 2004년 4·15 총선에서 열린우리당이 151석 얻고 나서 당선자들을 청와대 영빈관에 초대해서 저녁을 주셨어요. 끝날 때 종이 쇼핑백을 하나씩 주시더군요. 다들 농협 상품권이라도 들었기를 기대하면서 거기서 열어 볼 수는 없으니 그냥 들고 나왔습니다. 대통령께서 탄핵으로 직무가 정지된 동안 책을 많이 읽으셨는데 그중에 제러미 리프킨의 《노동의 종말》이 있었어요. 굉장히 중요한 의제를 담고 있다고 생각해서 제17대 국회의원이니까 이 책 정도는 읽고, 우리 노동시장의 문제에 대해서 고민해 보라고 주셨던 것이죠. 많은 의원들이 나오면서 농담 삼아 말하더군요. “농협 상품권도 없네!” 후보 시절 설렁탕도 안 사던 분인데 농협 상품권 주시겠어요? 그 정도로 책을 좋아하셨어요. 그렇게 떠나지 않으셨다면 틀림없이 책과 관련된 일을 무언가 하고 계실 가능성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유튜브 방송하셨으면 구독자가 500만 명은 되지 않았을까요? _ ‘제1장 대통령 노무현을 말하다’에서

  작가 소개

지은이 : 유시민
1959년 경주에서 태어나 대구에서 자랐다. 열심히 공부해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 입학했으나 막상 공부보다는 군사독재 정권과 싸우는 일에 더 많은 시간을 썼다. 스물여섯, 학생회 간부로 일하다 시국 사건에 휘말려 구속당했을 때 옥중에서 작성한 ‘항소이유서’가 시대의 명문으로 널리 읽히며 세상에 이름을 알리게 됐다. 이후 주된 밥벌이는 글쓰기였다. 스물아홉에 출간한 『거꾸로 읽는 세계사』는 100만 부 이상 팔렸다. 제적과 복학을 반복하다 30대에 들어서야 대학을 졸업했고, 이후 독일로 유학을 떠나 경제학 석사 학위를 땄다. 귀국한 후 칼럼니스트와 〈100분 토론〉 진행자로 활약하던 중 2002년 개혁국민정당을 창당하며 정치에 입문했다. 16?17대 국회의원과 보건복지부 장관까지 지냈으나 2013년 결국 정계 은퇴를 선언하고 전업 작가로 돌아왔다. 지금은 책을 읽고 여행을 하고 글을 쓰며 산다. 여러 방송 프로그램에도 출연한다. 사람들이 알면 좋을 정보를 최대한 재미있게 엮어 읽기 편한 문장에 담아 전하는 ‘지식소매상’이 직업 정체성이다. 주요 저서로 『그의 운명에 대한 아주 개인적인 생각』 『나의 한국현대사』 『역사의 역사』 『국가란 무엇인가』 『어떻게 살 것인가』 『후불제 민주주의』 『부자의 경제학 빈민의 경제학』 『유시민의 경제학 카페』 등이 있다.

지은이 : 유시춘
국어 교사와 작가로 활동하다가 1985년 이후 ‘민족문학작가회의’,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민주쟁취국민운동본부’ 등 여러 민주화운동 단체에서 활동했으며 2001년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을 역임했다. 소설집으로 <<안개 너머 청진항>> <<우산 셋이 나란히>> 등 여러 권이 있으며, 민주화운동사를 대표 집필한 <<우리 강물이 되어>> <<6월항쟁을 기록하다>> 등이 있다.

지은이 : 조갑제
1945년 10월 일본에서 났다가 이듬해 고향인 경북 청송으로 돌아왔다. 부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부산수산대학(현재의 釜慶大)에 들어가 2학년을 마친 뒤 공군에 입대, 제대 후 1971년 부산의 <국제신보> 수습기자로 입사해 언론생활을 시작했다.문화부, 사회부 기자로 일하면서 경찰, 공해, 석유분야를 다루었는데 1974년 중금속 오염에 대한 추적 보도로 제7회 한국기자상(취재보도부문·한국기자협회 제정)을 받았다. 1980년 광주사태 현장 취재를 했다. 그해 6월 신문사를 그만둔 뒤 월간잡지 <마당> 편집장을 거쳐 1983년 조선일보에 입사, <月刊朝鮮> 편집장으로 일했다.2001년 월간조선이 조선일보사에서 분사(分社)하면서 (주)월간조선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지금은 <조갑제닷컴> 대표로 있다. 2017년부터 시작한 <조갑제TV>는 한국의 대표적인 유튜브 방송이 되었다. 저서로는 《김대중의 정체(正體)》 《사형수 오휘웅 이야기》 《有故》 《국가안전기획부》 《軍部》 《朴正熙(전 13권)》 등이 있다.

지은이 : 최석호
고려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여가사회학을 전공하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영국 노팅엄트렌트대학교(Nottingham Trent University)에서 유산관광을 전공하고 문화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한국레저경영연구소를 설립하고 여가문화사・관광세계화・문명화과정 등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일과 소비의 악순환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탈출구, 레저몰 개항도시를 만들었다. World Hotel Association(세계호텔협회)과 문화사회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레저경영전문대학 원장, 서울신학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 및 공저서로는 《미국 엔터테인먼트 전성시대》(2019년), 《골목길 역사산책: 서울편》(2018년), 《골목길 역사산책: 개항도시편》(2018년), 《시간편집자: 어느 여가사회학자의 행복에 관한 연구》(2017년), 《중국인이 몰려온다! : 천만 관광객 시대의 한국관광》(2012년,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Leisure from International Voices》(2017년), 《Korean Leisure from Tradition to Modernity》(2010년) 등이 있다.

지은이 : 오인환
경기고와 한국외국어대를 졸업했고, 프랑스 파리대에서 연수했다. 〈한국일보〉 사회부장, 정치부장을 역임했고, 부국장, 편집국 차장, 편집국장을 거쳐 이사주필을 지냈다. 1992년 김영삼 민자당 대통령 후보의 정치특보로 들어가 문민정부에서 5년간 공보처 장관으로 재직하면서 대통령과 임기를 같이하는 최장수 장관의 기록을 얻었다. 퇴임 후, 역사비평에 관한 저술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저서로는 《파리의 지붕 밑》(1980), 《조선왕조에서 배우는 위기관리의 리더십》(2003), 《고종시대의 리더십》(2008), 이승만 평전 《건국대통령 이승만의 삶과 국가》(초판 2013, 개정판 2024), 김영삼 평전 《김영삼 재평가》(2021), 박정희 평전 《박정희의 시간들》(2023)이 있다.

  목차

서론 대통령을 말하다
비상계엄 / 개항도시 인문학 / ‘대통령을 말하다’ 강사 / 유시민 작가 / 조갑제 기자 / 유시춘 이사장 / 오인환 장관 / 최석호 소장 / 대한민국 대통령

제1장 대통령 노무현을 말하다

인트로 - 최석호 소장
환영사 - 박남춘 전 인천광역시장
강연 - 유시민 작가, 대통령 노무현을 말하다
노무현 없는 노무현 시대 / 검찰개혁과 언론개혁 / 한미 FTA / 양극화 / 신행정수도 / 대연정 / 평화통일 / 대선 예측 / 소프트파워
클로징 - 최석호 소장

제2장 대통령 박정희를 말하다

인트로 - 최석호 소장
강연 - 조갑제 기자, 대통령 박정희를 말하다
최악 조건, 최소 희생, 최단 기간, 최대 업적 / 한·일 국교 재개 / 1·21사태 / 중화학공업 건설 / 10월 유신 / 석유파동 / 10·26 시해 사건 / 윤석열 탄핵과 조기 선거 / 아시아 대표 정치지도자 /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클로징 - 최석호 소장

제3장 대통령 김대중을 말하다

인트로 - 최석호 소장
강연 - 유시춘 이사장, 대통령 김대중을 말하다
민주주의 원년 6월 항쟁 / 양성적 인간 / 민주적 시장경제 / 국가인권위원회와 여성부 신설 / 햇볕정책 / 복지국가 / 문화 대통령 / 기초생활보장 / 가족법 개정 / 페미니스트 / 정보사회 / 경제위기 극복 / 국제주의자
강연 소감 - 홍인성 전 인천중구청장
클로징 - 최석호 소장

제4장 대통령 김영삼을 말하다

인트로 - 최석호 소장
환영사 - 김찬진 인천동구청장
강연 - 오인환 장관, 대통령 김영삼을 말하다
최장수 공보처장관 / 민주화 압축 성장 / 큰 정치인 김영삼 / 40대 기수론 / 3당 합당 / 군부 개혁 / 금융실명제 / 정보화시대 / 세계화 / 김영삼 재평가
클로징 - 최석호 소장

제5장 대한민국 대통령을 말하다

인트로 - 최석호 소장
강연 - 최석호 소장, 대한민국 대통령을 말하다
한국 사람이 좋아하는 여러 가지 / 한국 사람이 좋아하는 사람 / 한국 사람이 좋아하는 대통령 / 노무현 대통령과 대연정 제안 / 박정희 대통령과 10월 유신 / 김대중 대통령과 목포의 전쟁 / 김영삼 신민당 총재 / 대통령 업적평가 / 한국 사람이 원하는 대통령 /
클로징 - 최석호 소장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