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사람들의 목소리가 뒤엉키는 교실과 거리, 끝없이 이어지는 말과 시선 속에서 소녀는 한발 물러서 침묵을 선택한다. 그러나 이 침묵은 세상과의 단절이 아니라 자기만의 세계를 단단히 세워가는 방법일 것이다. 마치 검은 벨벳 망토 속에 숨겨둔 빛처럼, 말하지 않는 순간에도 소녀의 내면은 수많은 생각과 상상으로 차오른다.
《나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아요》는 바쁘고 소란한 일상에서 자신만의 고요를 지켜내는 한 소녀의 시선을 따라가는 그림책이다. 그는 때로 자신을 음정이 맞지 않은 음표처럼 느끼고, 소리를 내지 않는 방울 같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 속에서 책을 읽고, 자신의 풍경을 그리며, 아주 선명한 목소리를 키워간다. 이 책은 우리가 흔히 ‘작고 미약하다’고 여기는 수많은 보통 사람 안에 얼마나 크고 선명한 세계가 자리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세상의 박자와 맞지 않는 불안, 나만 다른 것 같다는 외로움, 그 속에서 피어나는 자기만의 시선과 언어를 정밀하게 담아낸 이 책은 마치 꼭 세상에 필요한 보물과도 같다. 소녀는 끝내 침묵이 약함이 아니라 세상과 맞서는 또 다른 힘임을 증명한다. 이는 목소리를 잃었다고 느끼는 모든 이들에게 전하는 조용한 선언이자, 스스로 지키며 살아가는 법에 대한 은유다.
출판사 리뷰
말하지 않는 순간에도 우리는 빛날 수 있다!
침묵 속에서 발견하는 나의 목소리사람들의 목소리가 뒤엉키는 교실과 거리, 끝없이 이어지는 말과 시선 속에서 소녀는 한발 물러서 침묵을 선택한다. 그러나 이 침묵은 세상과의 단절이 아니라 자기만의 세계를 단단히 세워가는 방법일 것이다. 마치 검은 벨벳 망토 속에 숨겨둔 빛처럼, 말하지 않는 순간에도 소녀의 내면은 수많은 생각과 상상으로 차오른다. 《나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아요》는 바쁘고 소란한 일상에서 자신만의 고요를 지켜내는 한 소녀의 시선을 따라가는 그림책이다. 그는 때로 자신을 음정이 맞지 않은 음표처럼 느끼고, 소리를 내지 않는 방울 같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 속에서 책을 읽고, 자신의 풍경을 그리며, 아주 선명한 목소리를 키워간다. 이 책은 우리가 흔히 ‘작고 미약하다’고 여기는 수많은 보통 사람 안에 얼마나 크고 선명한 세계가 자리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세상의 박자와 맞지 않는 불안, 나만 다른 것 같다는 외로움, 그 속에서 피어나는 자기만의 시선과 언어를 정밀하게 담아낸 이 책은 마치 꼭 세상에 필요한 보물과도 같다. 소녀는 끝내 침묵이 약함이 아니라 세상과 맞서는 또 다른 힘임을 증명한다. 이는 목소리를 잃었다고 느끼는 모든 이들에게 전하는 조용한 선언이자, 스스로 지키며 살아가는 법에 대한 은유다. 급격히 변하는 이 사회에서 자기 자리와 속도를 찾아가고자 하는 이들에게 더욱 선명한 빛이 되어 줄 책이다.
조용히 세상을 흔드는 목소리말이 많고 목소리가 크면 이긴다고 믿는 세상에서 조용히 머무는 사람들은 종종 투명해진다. 그리고 이 책은 그 투명함 속에서 자리를 지키는 소녀의 이야기를 담아냈다. 소녀는 떠들썩한 무리에 섞이지 않고, 목소리를 높이지도 않는다. 대신 책을 읽고 자신 안에 있는 말에 대해서 생각한다. 그 태도는 방관이 아니라 선택이다. 시끄러운 흐름에 몸을 맡기지 않는다는 건 그 자체로 규칙을 거스르는 작은 혁명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이 책은 바로 소녀와 같은 조용함이 가지는 저항의 힘을 바라본다. 누구나 목소리를 높이는 방식만으로 세상에 참여한다고 생각하겠지만 소녀는 묵묵히 다른 길을 간다. 그리고 그 고요함이야말로 오히려 세상에 균열을 내는 힘이다.
소녀의 목소리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나 그것은 사라진 것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어떤 결이 된다. 눈에 띄는 외침은 금세 사라지지만 들리지 않는 목소리는 오히려 오래 사람들의 마음에 남는 것처럼 말이다. 침묵의 말은 언제나 어딘가에 파문을 남긴다. 그리고 그와 함께 어우러지는 데이비드 위멧의 단정한 그림들은 직접 들은 그 어떤 말보다 더 오래 울리는 메시지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말하지 않음’이 단절이 아니라 또 다른 형태의 대화임을 알게 될 것이다.
《나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아요》의 메시지는 단순한 위로뿐만이 아니다. 세상과의 연결 방식이 다양하다는 것, 그리고 그중 하나가 침묵일 수도 있다는 확신이다. 소녀는 말로 세상을 바꾸려 하지 않는다. 대신 침묵을 통해 자신에게 주어진 풍경들을 재배열한다. 그 변화는 거창하지 않지만, 아주 천천히 깊게 번진다. 그러니 보통의 삶을 살아가는 우리 역시 이 책을 통해 용기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세상을 흔드는 방식이 반드시 소리여야 할 필요는 없다. 때로는 아무 말 하지 않는 것이야말로 가장 강렬한 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고요 속에서 펼쳐지는 또 하나의 세상소녀가 말을 아끼는 동안에도 그의 세상은 비어 있지 않다. 오히려 말이 멈춘 자리에 상상의 순간들이 가득 차오른다. 교실의 소란을 피해 마음속으로 떠나는 여행, 연기처럼 가라앉다가도 까마귀처럼 망토를 벗고 훨훨 날아오르는 상상 속 장면들이 책 속에 촘촘히 그려진다. 소녀의 침묵은 세상과 단절된 벽이 아니라, 자신만의 세계로 향하는 문이다. 책을 펼치는 순간 그 문은 더 넓게 열리고, 소녀는 그 안에서 자신과 이어진 무수한 존재들을 발견한다. 그 만남은 목소리를 내지 않고도 세상과 연결되는 또 다른 방식이다.
그렇다면 상상은 목소리의 또 다른 형태라고 할 수 있겠다. 눈에 보이지 않는 이야기들이 마음에서 자라나며, 그것들은 언젠가 형태를 얻어 세상에 흘러나올 테니 말이다. 소녀는 책 속 세계와 현실 사이에서 자신이 작지 않다는 감각을 키운다. 빛과 어둠, 고요와 소란이 모두 어우러진 그 내면의 공간에서만큼은 그녀는 더 이상 ‘다른 음표’가 아니다. 각자의 리듬을 품은 음악처럼, 소녀의 침묵은 고유한 울림을 지닌다. 목소리를 내는 순간이 늦어도 괜찮은 이유는 그동안 그가 축적한 이야기와 감정이 언젠가 단단한 형태로 세상에 닿을 것이기 때문이다.
밀도 있는 그림들은 소녀의 내면 풍경을 마치 꿈처럼 펼쳐 보이게 한다. 어둠 속에서 반짝이는 별, 바람을 타고 날아오르는 까마귀, 나뭇가지 아래 숨겨진 또 다른 세상까지…. 그 모든 이미지는 말로 다할 수 없는 것을 대신 전한다. 우리는 그 장면들을 따라가며 깨닫게 된다. 말하지 않는 시간도 충분히 풍요로울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그 시간이야말로 언젠가 나만의 목소리를 낼 토양이 되어 준다는 것을 말이다. 침묵은 멈춤이 아니라 시작이 될 수 있다는 그 작은 진실을 이해하는 순간 우리의 시간도 조금씩 달라지지 않을까.
“나는 작지 않아요.”
침묵 속에서 성장하는 나의 세계우리는 때때로 자신이 너무 작다고 느낀다. 다른 사람보다 생각을 쉽게 표현하지 못해서, 무리 속에서 존재감이 흐려지는 것 같아서, 혹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수많은 이유로 인해 그런 존재가 되어간다. 이 책의 소녀 역시 처음에는 그랬다. 사람들 사이에서 한발 물러서고, 말해야 하는 순간에도 침묵을 지킨다. 사람들에게 내 목소리가 어떻게 들리는지를 생각하면서 말을 삼킨다. 가끔 세상은 소리를 내는 사람에게만 자리를 내어주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서사가 진행될수록 우리는 소녀가 침묵 속에서 무엇을 키우고 있는지를 알게 된다. 소녀는 조용한 시간 안에서 자신을 관찰하고, 느끼고, 이해한다. 그건 단순히 세상과의 거리를 두는 행위가 아니라 더 깊게 뿌리를 내리는 과정이 아닐까.
가장 인상적이었던 건 소녀가 자신을 새롭게 정의하는 장면이었다. 주변의 시선이나 기대가 아닌, 오롯이 자기 안에서 자라난 목소리로 소녀는 이렇게 말한다. “나는 작지 않아요.” 단순한 크기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다. 세상이 정한 척도에서 벗어나 스스로 인정하는 말이다. 그리고 그 이전과 이후의 소녀는 서로 다르다. 목소리를 높이지 않아도 그 한마디는 강하고 명확하다. 바꾸어 말하면 나의 존재라는 건 다른 사람에게 증명받는 것이 아니라, 자기 안에서 발견하고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라는 의미다.
보통의 우리에게 이 고요하고 힘이 센 응원이 선물이 되기를 바란다. 목소리를 내지 않는다는 이유로, 혹은 세상의 빠른 박자에 맞추지 못한다는 이유로 작아진 기분을 느껴본 사람이라면 이 책 속 소녀의 선언이 크게 마음에 와닿을 것이다. 나의 세계라는 건 크게 웃거나 목소리를 높이는 순간에만 생기는 게 아니다. 오히려 차분히 자신을 들여다보고, 나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시간 속에서 더 단단해진다. 이 책은 그 과정을 고스란히 담아내어 우리에게도 같은 용기를 건넨다. 그러니 이 책과 함께라면 우리도 언젠가 말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나는 작지 않아요.” 그리고 그 말은 세상의 어떤 박수보다 더 우리를 더 크게 세울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데이비드 위멧
1965년 미국에서 태어났습니다. 로드아일랜드디자인스쿨에서 영화를 공부했으며, 이후 작곡가, 보컬리스트, 트럼본 연주자로 활동했습니다. 음악 중심의 가정에서 자란 위멧은 밴드 활동을 오랫동안 해왔으나 현재는 거리예술, 영화, 음악, 어린이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예술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의 주 활동 무대는 미국 뉴욕입니다. 《나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아요》는 위멧의 그림책 데뷔작이며, 2021년 케이트 그린어웨이 최종 우승 후보에 올랐습니다. 2019년 출간 이후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터키어, 스페인어, 독일어, 중국어 등으로 번역되어 전 세계의 모든 소녀에게 목소리 낼 용기를 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