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에세이,시
다녀와서, 생각하며  이미지

다녀와서, 생각하며
다녀온 자리에서 피어난 여성의 이름들
산사나무 | 부모님 | 2025.09.25
  • 정가
  • 15,000원
  • 판매가
  • 13,500원 (10% 할인)
  • S포인트
  • 750P (5% 적립)
  • 상세정보
  • 14.5x20.5 | 0.315Kg | 152p
  • ISBN
  • 9791198989970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희미해지는 이름을 다시 부르는 글이 있다. 왕실의 담장 안에서 권력과 운명에 갇혀 한 세기를 울린 여인들, 가부장제의 견고한 벽을 넘어 새로운 길을 열고 시대를 비춘 여성들…. 고래억 작가의 신작 《다녀와서, 생각하며―다녀온 자리에서 피어난 여성의 이름들》은 바로 그 잊힌 발자취를 따라 걸으며 기록한 서사 인물 에세이다.

작가는 이 책을 “내가 다녀온 자리들에 대한 기록”이라 정의한다. “왕실의 슬픈 여인들과, 시대를 앞서간 여성들의 삶을 따라 길을 걷고, 마음으로 생각하며 쓴 언어입니다. 그들의 흔적 위에서 나는 나의 언어를 발견했고, 지워진 이름들 속에서 흔적을 불러냈습니다. 이 글들이 시간과 마주 앉은 이들에게 조용한 위로가 되길 바랍니다.”라는 서문 속 고백에서 책이 지닌 결이 분명해진다.

  출판사 리뷰

시처럼 흐르는 서사와 장소가 빚어낸 기록
죽지 못해 살아온, 이름 없는 여인들에 바치는 헌시獻詩

희미해지는 이름을 다시 부르는 글이 있다. 왕실의 담장 안에서 권력과 운명에 갇혀 한 세기를 울린 여인들, 가부장제의 견고한 벽을 넘어 새로운 길을 열고 시대를 비춘 여성들…. 고래억 작가의 신작 《다녀와서, 생각하며―다녀온 자리에서 피어난 여성의 이름들》은 바로 그 잊힌 발자취를 따라 걸으며 기록한 서사 인물 에세이다.
작가는 이 책을 “내가 다녀온 자리들에 대한 기록”이라 정의한다. “왕실의 슬픈 여인들과, 시대를 앞서간 여성들의 삶을 따라 길을 걷고, 마음으로 생각하며 쓴 언어입니다. 그들의 흔적 위에서 나는 나의 언어를 발견했고, 지워진 이름들 속에서 흔적을 불러냈습니다. 이 글들이 시간과 마주 앉은 이들에게 조용한 위로가 되길 바랍니다.”라는 서문 속 고백에서 책이 지닌 결이 분명해진다.
《다녀와서, 생각하며》는 전통적인 산문 에세이와 달리, 문장을 시처럼 행과 연으로 배치해 운율을 살렸다. 한 명의 인물을 따라 한 편의 기록이 완성되며, 책장을 넘길수록 글이 아닌 숨결과 마주하는 듯한 체험을 제공한다. 여행기와 시, 인물 기록이 한데 섞여 독특한 서정성을 만들어낸다.
프롤로그에서 “다녀왔다”라는 말 속에 담긴 발걸음의 기억과 “생각한다”라는 말에 스민 머무름의 시간을 이어 마음의 여정이라 밝히며, 에필로그에서는 “비극은 끝이 아니며, 기억은 글이 되어 다시 피어난다”고 적었다. 책은 과거의 시간을 불러오되, 과거에 머물지 않고 오늘의 독자에게 사유의 길을 건넨다.
고래억 작가는 오랫동안 역사 속 여성 인물과 그들이 남긴 자취에 천착해왔다. 현장에서 발로 걷고 눈으로 담은 풍경이 글 속에 그대로 배어 있으며, 서정적 언어는 차분하면서도 깊은 울림을 남긴다. 그는 “왕실의 슬픈 여인들과, 시대를 앞서간 여성들의 삶을 따라 길을 걷고, 마음으로 생각하며 쓴 언어”라 말하며, 이 작업을 “시간과 마주 앉는 사유의 기록”으로 정의한다.
《다녀와서, 생각하며》는 단순한 과거 회상이 아닌, 오늘 우리가 서 있는 자리에서 과거를 다시 바라보게 하는 성찰의 책이다. 잊힌 이름이 다시 호명되는 순간, 역사는 살아 움직이고, 독자는 그 목소리와 마주한다. 책이 던지는 조용한 파문은 “우리 안의 과거를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라는 물음으로 이어진다.

이 서사 인물 에세이는 내가 다녀온 자리들에 대한 기록입니다. 왕실의 슬픈 여인들과, 시대를 앞서간 여성들의 삶을 따라 길을 걷고, 마음으로 생각하며 쓴 언어입니다. 그들의 흔적 위에서 나는 나의 언어를 발견했고, 지워진 이름들 속에서 흔적을 불러냈습니다. 이 글들이 시간과 마주 앉은 이들에게 조용한 위로가 되길 바랍니다.
-글쓴이의 말

‘다녀왔다’는 말에는 발걸음의 기억이, ‘생각한다’는 말에는 머무름의 시간이 담겨 있다. 이 에세이는 두 가지를 잇는 마음의 여정이다. 잊힌 여인들의 삶을 다시 걷고 그 자리에 글을 입혔다.
-프롤로그

죽지 못해 살아온, 이름 없는 여인들에 바치는 헌시獻詩
기록되지 않았다. 족보에도 없고, 눈물만이 흔적으로 남았다. 어린 나이에 낯선 집안의 며느리가 되어, 아직 아이인 몸으로 무릎 꿇고 상을 차리던 조선 무명의 여인들. 삼종지도三從之道로, 친정아비 뜻 따라 살고, 남편 뜻 따라 숨 쉬고, 아들 뜻 따라 죽어간 인생. 칠거지악七去之惡의 모진 기준 앞에 말 한 마디, 자식 못 낳은 죄로 쫓겨나고 속울음 삼긴 채, 문밖에 내쳐졌던 이름 모를 어머니들. “딸은 귀하지 않다”는 말, “아들은 가문을 잇는다”는 말. 그 말들이 비수처럼 꽂히던 가슴을 그 여인들은 꿰매며 살아왔다. 살아서 살아 있는 것이 아니었다. 죽지 못해 살았다. 울지 않기 위해 돌멩이 같은 밤을 삼켰고 소리 없는 새벽에 오롯이 두 팔로 가족의 허기를 안았다. 비녀 하나, 손때 묻은 수틀 하나에 그녀의 청춘과 꿈이 다 묻혔다. 열아홉에 아이를 낳고, 스물에 살림을 꾸리고, 서른에 병든 시부모를 모시다 쉰도 안 되어 허리가 굽었다. 아무도 묻지 않았다. 그 여인들이 무엇을 견뎠는지 무엇을 잃고 무엇을 삼켰는지. 하지만, 그 여인들이 있어 이 땅이 살아났다. 그녀들의 땀과 눈물 위에 가문이 자랐고, 민족이 자랐다. 그 여인들은 말하지 않았다. 말할 수 없었다. 그러나 그 침묵이, 역사보다 더 긴 진실이었다.
-마치며

  작가 소개

지은이 : 고래억
■ 학력 고창고등학교 졸업,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철학 전공 석·박사 학위 취득■ 경력 서울시 교육청 장학사, 서울시 중등 교감, 교장 역임, 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부교수 재직■ 저서 《청소년을 위한 도덕경(道德經), 그 현대적 의미》, 《교육학 연구논리》 공저, 시집 《기억의 꽃이 피어날 때》, 서사 인물 에세이 《다녀와서 생각하며》.■ 표창 및 훈장 대통령 표창, 서울시 제3회 환경대상 수상, 홍조근정훈장

  목차

글쓴이의 말
프롤로그

1부 비극의 왕실 여인들

정릉貞陵를 다녀와서―신덕왕후 강씨를 생각하며
헌릉獻陵을 다녀와서―원경왕후 민씨를 생각하며
영릉英陵을 다녀와서―소헌왕후 심씨를 생각하며
현릉顯陵을 다녀와서―현덕왕후 권씨를 생각하며
광릉光陵을 다녀와서―정희왕후 윤씨를 생각하며
경릉敬陵을 다녀와서―인수대비(소혜왕후) 한씨를 생각하며
사릉思陵을 다녀와서―정순왕후 송씨를 생각하며
회묘懷墓를 다녀와서―폐비 윤씨를 생각하며
온릉溫陵을 다녀와서―단경왕후 신씨를 생각하며
동작묘銅雀墓를 다녀와서―창빈 안씨를 생각하며
태릉泰陵을 다녀와서―문정왕후 윤씨를 생각하며
강릉康陵을 다녀와서―인순왕후 심씨를 생각하며
창덕궁昌德宮을 다녀와서―정난정을 생각하며
목릉穆陵을 다녀와서―인목왕후 김씨를 생각하며
영회원永懷園을 다녀와서―소현세자빈 민회빈 강씨를 생각하며
휘릉徽陵을 다녀와서―장렬왕후 조씨를 생각하며
대빈묘大嬪墓를 다녀와서―희빈 장옥정을 생각하며
명릉明陵을 다녀와서―인현왕후 민씨를 생각하며
소령원昭寧園을 다녀와서―숙빈 최씨를 생각하며
홍릉弘陵을 다녀와서―정성왕후 서씨를 생각하며
융릉隆陵을 다녀와서―혜경궁 홍씨를 생각하며
원릉元陵을 다녀와서―정순왕후 김씨를 생각하며
서삼릉 의빈묘宜嬪墓를 다녀와서―의빈 성씨를 생각하며
인릉仁陵을 다녀와서―순원왕후 김씨를 생각하며
홍릉洪陵을 다녀와서―명성왕후 민씨를 생각하며

2부 시대를 앞서간 여인들

강릉 오죽헌烏竹軒을 다녀와서―현모양처 신사임당을 생각하며
경기도 포천시 설운동 산 1-14를 다녀와서―장애를 딛고 조선 최고의 가문을 만든 고성 이씨를 생각하며
경기도 하남시 광주읍 초월면 지월리를 다녀와서―시인 허난설헌을 생각하며
진주 남강 촉석루矗石樓를 다녀와서―의녀 논개와 계월향을 생각하며
강원도 원주시 호저면 무장리 산 143-2를 다녀와서―성리학자 임윤지당을 생각하며
제주시 건립동 사라봉 모충사慕忠祠를 다녀와서―만석꾼 김만덕을 생각하며
절두산 순교 박물관을 다녀와서―순교자 강완숙을 생각하며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당을 다녀와서―성리학자 강정일당을 생각하며
고창 동리 신재효申在孝 고택을 다녀와서―여성 명창 진채선을 생각하며
경북 영양군 석보면 남자현 지사 역사공원을 다녀와서―여자 안중근 남자현을 생각하며
간송미술관을 다녀와서―전형필의 아내 조예선을 생각하며
국립 서울 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을 다녀와서―애국지사 김마리아를 생각하며
수원 나혜석 거리를 다녀와서―신여성 나혜석을 생각하며
서울 대학로 마로니에 공연을 다녀와서―소프라노 윤심덕을 생각하며
병천 아우내 장터를 다녀와서―애국열사 유관순을 생각하며
안산시 본오동 샘골을 다녀와서―농촌 계몽가 최용신을 생각하며
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 319-1을 다녀와서―독립운동가 박차정을 생각하며
전남 광주 소심당 조아라 기념관을 다녀와서―광주의 어머니, 조아라를 생각하며
경북 봉화군 춘양면 의양리를 다녀와서―항일 운동가 이효정(을 생각하며
이화여대 법학관 ‘이태영홀’을 다녀와서―최초의 여성 법조인 이태영을 생각하며
충남 천안 ‘국립망향의동산’을 다녀와서―최초의 위안부 증언자 김학순 여사를 생각하며
경남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를 다녀와서―《토지》 작가 박경리를 생각하며
전남 영광군 백수면 장산리를 다녀와서―세계적인 RNA 연구자 김빛내리를 생각하며
전남 장흥군 회진면 남도문학관을 다녀와서―노벨문학상 수상자 한강을 생각하며
전남 광주과학기술관을 다녀와서―우주인 이소연을 생각하며

마치며
에필로그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