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문학평론가이자 K 미학 연구자로 활동하고 있는 이재복 한양대 교수의 영화 에세이 『자연스럽게 혹은 자유롭게』가 모던앤북스에서 출간되었다. 「아바타」, 「메트릭스」, 「공각기동대」에서부터 홍상수 감독의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까지 다양한 층위의 영화를 깊이 있게, 그리고 삶과 세계를 성찰하는 창으로 바라본 책이다.
저자는 대중적으로 성공을 거둔 영화들 뿐만아니라 그렇지 않더라도 내면의 울림을 주는 영화들을 선별하여 특유의 논리적인 분석과 철학적 사유를 통해 새롭게 들여다본다. 특히, 영화의 주제와 소재에 따라서 미학의 기본 원리 중 하나인 ‘일상을 낯설게 하기’ 가 영화 안에서 어떻게 상투성에 대한 파괴 및 해체가 이루어지는 지에 대한 힌트를 주기도 하며(짐 자무쉬의 「페터슨」), 몸과 영혼, 가상세계와 디지털테크놀로지 등을 넘나들며 테크놀로지와 자연, 비트(bit)와 기(氣)를 대비시키며 우리 몸이 어떻게 디지털 생태계와 에코 생태계에서 존재하게 되는 지(오시이 마모루의 「공각기동대와」워쇼스키 자매의「매트릭스」)에 대한 분석을 담담하면서도 유려한 문체와 함께 풀어낸다.
출판사 리뷰
문학평론가이자 K 미학 연구자로 활동하고 있는 이재복 한양대 교수의 영화 에세이 『자연스럽게 혹은 자유롭게』가 모던앤북스에서 출간되었다. 『자연스럽게 혹은 자유롭게』는 「아바타」, 「메트릭스」, 「공각기동대」에서부터 홍상수 감독의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까지 다양한 층위의 영화를 깊이 있게, 그리고 삶과 세계를 성찰하는 창으로 바라본 책이다. 저자는 대중적으로 성공을 거둔 영화들 뿐만아니라 그렇지 않더라도 내면의 울림을 주는 영화들을 선별하여 특유의 논리적인 분석과 철학적 사유를 통해 새롭게 들여다본다. 특히, 영화의 주제와 소재에 따라서 미학의 기본 원리 중 하나인 ‘일상을 낯설게 하기’ 가 영화 안에서 어떻게 상투성에 대한 파괴 및 해체가 이루어지는 지에 대한 힌트를 주기도 하며(짐 자무쉬의 「페터슨」), 몸과 영혼, 가상세계와 디지털테크놀로지 등을 넘나들며 테크놀로지와 자연, 비트(bit)와 기(氣)를 대비시키며 우리 몸이 어떻게 디지털 생태계와 에코 생태계에서 존재하게 되는 지(오시이 마모루의 「공각기동대와」워쇼스키 자매의「매트릭스」)에 대한 분석을 담담하면서도 유려한 문체와 함께 풀어낸다. 문학평론가이면서 또한 ‘몸의 에티카(ETHICA)’를 정립하고 연구하는 학자로서 그가 영화를 통해 해석해내는 세계는 남다른 깊이가 있다. 예컨대, “디지털 테크놀로지는 비트(bit)의 조합이고, 자연이나 생명은 기(氣)의 총합이다. 우연인지 혹은 필연인지는 모르지만 비트와 기 모두 눈에 보이지 않는 에너지의 흐름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비트는 세계와의 불연속성, 기는 연속성을 드러내면서 각각 디지털 생태계와 에코 생태계를 이룬다. 우리의 몸은 이 두 생태계 속에서 삶을 영위하고 있다.”라는 대목에서 우리는 영화 속에서 영화 밖을 해석해 낼 수 있는 신비로운 경험을 하게 된다. 상당수는 우리에게 익숙한 영화이지만, 저자의 글은 그 영화들의 여운을 확장시키고 때로는 전복시키며 사유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준다. 바로 그 순간, 우리는 잊고 있던 영화 속 한 장면이나 일상의 한 순간에서 새로움을 발견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되며, 그렇기에 저자의 글와 문장 하나하나는 더욱 소중해진다. 영화를 이미 보았어도, 혹은 보지 않았더라도 관계없이, 『자연스럽게 혹은 자유롭게』의 책장을 넘기다보면 독자들은 우리가 속한 세계와 그 이면을 바라보는 시야가 ‘자연스럽게 혹은 자유롭게‘ 확장되어 새로운 빛으로 탄생하는 마법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짐 자무쉬의 〈패터슨〉은 이러한 일상의 변주와 차이에 주목해 그 이면에 은폐되어 있는 세계의 의미를 발견해내고 있는 아름다운 영화이다.
비록 이 영화는 탈북자들의 삶에 초점을 맞추기는 했지만 그것이 꼭 탈북자라는 어떤 특수하게 국한된 존재들의 이야기라고 느껴지지 않고 ‘지금’, ‘여기’를 고통스럽게 살아가고 또 살아내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과 우리 사회의 이중적이고 위선적인 모습을 리얼하게 보여주고 있는 어떤 보편성을 지니고 있는 이야기로 느껴진다.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의 형식은 반복과 차이이다. 이 반복과 차이가 영화의 한 원리로 작용하면서 일상은 발견의 의미를 드러낸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이재복
한양대 글로벌문화통상학부 교수. 문학평론가. 『쿨투라』, 『본질과 현상』, 『현대비평』, 『시와 사상』, 『시로 여는 세상』, 『오늘의 소설』, 『오늘의 영화』 편집·기획위원 역임. 고석규비평문학상, 김준오시학상, 젊은평론가상, 편운문학상, 애지문학상, 시와표현평론상, 시와시학상 수상. 저서로 『몸』, 『비만한 이성』, 『한국문학과 몸의 시학』, 『현대문학의 흐름과 전망』, 『한국 현대시의 미와 숭고』, 『우리 시대 43인의 시인에 대한 헌사』, 『몸과 그늘의 미학』, 『내면의 주름과 상징의 질감』, 『벌거벗은 생명과 몸의 정치』, 『근대의 에피스테메와 문학장의 분할』, 『정체공능과 해체의 시론』, 『김지하가 생명이다』 등이 있음.
목차
고요함과 디테일로 빚어낸 일상의 아름다움에 대한 기록
짐자무쉬의 「패터슨」- 13p
유 오케이, 아임 오케이 : 벌거벗은 생명에 대한 헌사
방은진의「집으로 가는 길」- 23p
실존은 어두운 싸움의 기록이다
박정범의「무산일기」- 33p
일상, 은폐된 영화 형식의 발견
홍상수의「지금은맞고 그때는틀리다」- 45p
카타르시스를 넘어 신명으로
박찬경의「만신」- 53p
혼을 삼켜버린 감각의 제국
제임스 캐머런의「아바타」- 63p
사이보그에게 길을 묻다
오시이 마모루의「공각기동대」와워쇼스키 자매의「매트릭스」- 75p
아랫도리의 뜨거움과 배설의 시원함
유하의「쌍화점」- 91p
‘자연스럽다’, ‘자유롭다’
강도하의「발광하는 현대사」- 105p
새롭게 혹은 숭고하게 : 원작의 해체와 재구성
홍상수의「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117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