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정성
1976년 해군사관학교 30기로 졸업하였고, 1978년 미국 해군의 대잠수함전(Anti Submarine Warfare) 과정을 수료하였다. 한국 해군의 호위함, 초계함, 잠수함 탄생의 개척자였다. 잠수함 도입 사업 시에는 잠수함 작전운용 능력과 잠수함 건조 기술 전수 책임관으로 독일에 4년 동안 근무한 후, 잠수함 함장을 하였다. 합동참모대학에서 해양전략과 해군작전을 강의하였고, 국방연구원에서 해군무기체계와 국방 획득 관련 정책 과제를 연구하였으며, 해군 대령으로 전역하였다.저서로는 『한국 해군의 잠수함, 호위함, 초계함 탄생 비화』, 『군함의 변천사와 한국 해군의 한반도 전쟁억지력』이 있다.Washington International University(인터넷 과정)에서 「Korea’s Role in UN Peacekeeping Operations in East Timor」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이를 위해 동티모르를 일주일 동안 방문하였다.
서문
1장 해방과 분단의 시작
소련의 기습적인 한반도 침공
8·15 해방, 북로당·남로당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해방 이후 남한의 이념 대립과 신탁통치 찬반
미·소공동위원회와 좌우합작운동
남북한 유일 합법정부 주장과 한반도의 이중 권력 구조
소련군정 vs 미군정: 해방군인가, 점령군인가?
에필로그
2장 김일성과 스탈린의 6·25 전쟁 기획
김일성과 스탈린의 침략 계획
모택동의 동의와 중공의 역할
김구의 방북과 회담의 실체
북한 내부의 전쟁 세력과 전쟁 준비
에필로그
3장 남침과 최후의 보루 낙동강 전선 구축
1950년 6월 25일 전면 남침
북한군 파죽지세와 서울 점령
춘천·홍천·강릉 주둔 국군의 초기 방어
이승만 대통령의 서울 철수
한강 방어선 구축
맥아더 장군의 전선 시찰과 인천상륙작전 구상
북한군의 3개 축선 진격과 낙동강 전선
에필로그
4장 대한민국의 기사회생과 반격의 시작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통과와 유엔군의 긴급 참전
인천상륙작전과 서울 수복
북진과 평양 점령
김일성의 만주 망명 시도
맥아더 장군의 만주 폭격 계획
중공군의 개입과 1·4 후퇴
장진호 전투와 유엔군의 전술적 퇴각
백마고지·펀치볼 주요 고지전
휴전 협상과 한미상호방위조약
에필로그
5장 양민 학살의 실상
미군 및 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사례
북한군 및 중공군의 계획적 학살: 보도 연맹, 교회 학살, 납북
전시 혼란, 오폭과 계획적 학살
피해 규모와 국제사회 반응
에필로그
6장 6·25 전쟁의 기원과 역사 해석의 논쟁
브루스 커밍스의 주장: 『한국전쟁의 기원』
브루스 커밍스의 6·25 전쟁 이전 남북 무력 충돌 주장 오인
‘북진통일론’과 ‘미국의 묵인’ 관련 브루스 커밍스의 오인
브루스 커밍스의 ‘북진통일론’과 ‘미국의 묵인’ 주장에 대한 학계의 반론
종북 및 좌파 담론의 왜곡 사례: 교과서, 언론, 정당
프랑스 지성계의 평가와 국제 학술 담론
북한의 책임론과 침략 근거의 결정적 문서들
KBS 다큐멘터리 <1950 미중전쟁>: 내용과 문제점
에필로그
7장 결론: 피로 지켜 낸 자유의 역사
참고 문헌
미주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