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역사
예제사회 조선의 양반여성 이미지

예제사회 조선의 양반여성
이환기획 | 부모님 | 2025.10.01
  • 정가
  • 15,000원
  • 판매가
  • 13,500원 (10% 할인)
  • S포인트
  • 75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3 | 0.413Kg | 295p
  • ISBN
  • 9791198081568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조선시대 여성사를 새롭게 조명하며, 성리학 속 여성의 위치를 다시 해석한다. 조선의 정치이념이 여성을 배제하지 않았고, 인간이라면 누구나 성인이 될 수 있다고 본 점에 주목한다. 저자는 조선의 양반여성들이 단순히 억눌린 존재가 아니라 예제사회 속에서 주체적으로 역할을 수행하며 ‘디그니티’를 지닌 인물들이었음을 밝힌다.



딸에서 며느리, 종부로 이어지는 여성의 사회적 전환을 통해 그들이 예제의 실천자로, 가문 운영의 주체로 나아간 과정을 탐구한다. 열녀 역시 단순한 희생의 상징이 아니라 도덕성을 스스로 실천한 주체적 존재로 그려진다. 조선 여성사에 대한 부정적 통념을 뒤집고, 주체적 여성상으로 재해석한 시도다.

  출판사 리뷰

왜 조선시대 여성사인가? 조선의 정치이념인 성리학에서 여성을 따로 분리하지 않았고, 인간은 모두 완성된 인격체[聖人]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는 사실이 충격이었기 때문이다. 여성한테 나쁜 것은 모두 성리학 탓으로 돌리고 있었는데, 그게 아닐 수도 있었다. ‘아 그래 왠지 조선 양반여성들은 디그니티가 있었지’ 이런 자각을 했다. 그때부터 많은 것들이 달라 보이기 시작했다. 남귀여가혼으로 딸로서 살 때만 좋은 게 아니라 며느리가 되고 종부로서의 역할을 할 때 더 활동 영역도 넓고 또 권한도 강하다는 사실을 인지했다. 또한 열녀도 여성들 스스로의 도덕성 실천일 수 있겠다는 생각도 하게 됐다. 비로소 다른 누구도 아닌 여성들을 이야기의 중심에 놓게 됐다.
이제는 더 이상 조선시대 여성을 보는 시각이 부정적이지 않다. 기본적으로 그들은 허약한 존재가 아니었다. 언제나 자신이 처한 위치에서 어떤 문제에든 적극적으로 대처했다. 그 자체가 의미 있는 일이다. 이제는 여성사 공부가 가볍고 즐겁다. 조선시대 여성사에 대해 어느 정도 통찰력을 갖게 됐다고 자부하기 때문이다.
조선의 양반여성들은 어느 시점 이후에는 예제의 실천에 매우 적극적이 됐다. 그것이 예제사회 조선에서 주류로 살아가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며느리로서의 역할이 중요해지자 여성들은 종부로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했다. 더 이상 딸로 살 수 없을 때 며느리의 위치와 권한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한 것이다. 그것은 딸일 때와는 달리 또 다른 면에서 여성들에게 이익을 가져다주었다.
열녀되기는 최고의 도덕성 실천이었다. 도덕성으로 인정받는 것은 조선 사람이라면 누구나가 바라는 일이었다. 열녀는 “뛰어난 도덕성을 실현한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행위자”로 평가될 수 있었다. 여기에 조선 열녀되기의 의미가 있는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이순구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조선시대 여성사로 석사, 박사를 받았다. 오랫동안 국사편찬위원회에 근무하면서 조선왕조실록, 일기류 등을 통해 연구의 폭을 넓혔다. 서울시 문화재위원, 서울 역사도시위원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조선의 가족 천개의 표정』(2011), 공저로 『혼인과 연애의 풍속도』(2005), 『조선의 왕비로 살아가기』(2012), 『한국여성사 깊이읽기』(2013), 『한국의 과학기술과 여성』(2019) 등이 있다.

  목차

서론 09

Ⅰ. 예제사회로의 진입 11
1. 종법의 출현과 그 의미 11
2. 조선의 종법 수용 28

Ⅱ. 예제의 적용과 양반여성 46
1. 혼인제도의 변화 46
2. 외가, 처가와의 관계 78
3. 상복제의 변화 123
4. 예제적 생활 규제 164

Ⅲ. 양반여성의 경제권과 권한 204
1. 여성의 경제권 204
2. 봉제사접빈객과 여성의 권한 222
3. 종부의 역할과 권위 255
4. 예제 실천의 주체, 열녀 278

참고문헌 292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