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케임브리지 세계사 시리즈의 제15권-18권은 1750년 이후 세계는 점점 더 긴밀하게 연결된 세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15-16권은 현대 세계가 만들어진 구조와 공간, 그리고 그 과정을 다룬다. 환경, 에너지, 기술, 인구, 질병, 법률, 산업화, 제국주의, 탈식민화, 민족주의, 사회주의뿐 아니라 주요 지역의 역사까지 폭넓은 논의가 포함된다. 또한 17-18권은 도시화, 인구 이동(이주), 가족과 성(性)의 변화 같은 사회적 현상을 살펴본다. 또한 종교, 과학, 음악, 스포츠 등 다양한 문화적 교류도 다룬다. 세계화의 핵심 요소인 고무, 약물, 자동차 등의 역사도 살펴보았다.
출판사 리뷰
케임브리지 세계사 시리즈의 18번째 책(전18권)
케임브리지 세계사 시리즈는 전 세계 200여 명의 석학들이 참여한 방대한 세계사 시리즈다. 한국어판으로는 전18권으로 출간된다. 이 책은 시리즈의 마지막인 18번째 책이며, 동시에 근현대를 논의한 4권 중의 네 번째 책이다.
제3부에서는 세계사의 전환점을 재조명했다.
근대에서 현대로 넘어가는 역사의 전환점은 세계사를 보는 입장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 책에서는 그 전환점을 하나로 설정하지 않고, 가능한 전환점을 여러 측면에서 타진해 보았다. 프랑스 혁명과 미국 독립 등 대서양 연안을 휩쓸었던 혁명, 양차 세계대전은 부정할 수 없는 세계사적 전환점이었다. 그러나 독특하게도 어느 한 해가 세계사의 전환점이었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 책에서는 그것을 1956년, 1989년의 사례를 들어 그 해가 어떻게 세계사적 전환의 해가 되었는지를 보여주었다.
제4부에서는 현대 세계를 이끌어가는 힘을 살펴보았다.
현대 세계의 가장 큰 특징은 세계화이며, 이를 가속화시킨 힘은 무엇보다 교통통신의 발달이었다. 이 책에서는 구체적인 몇 가지 산업의 예를 들어서, 교통통신의 발달로 긴밀하게 연결된 세계에서 만들어지는 산업화 세력의 힘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세계의 다양성이 축소되고 앵글로 아메리칸 스타일의 세계화가 강화되는 현실을 살펴보았으며, 현재는 물론 그것이 미래에 미칠 영향을 재검토했다.
케임브리지 세계사 시리즈 소개
by 시리즈 편집 총괄_메리 위스너-행크스
(Merry E.Wiesner-Hanks)
케임브리지 세계사 시리즈는 활발한 연구가 펼쳐지고 있는 세계사 분 야를 새롭게 개괄하는 권위 있는 개론이다. 세계사 및 지구사의 최근 연구 경향을 반영함으로써 포괄하는 시간적 범위를 확대했으며, 문헌 기록 이후의 역사뿐 아니라 인류의 전체 역사를 대상으로 했다. 국제적으로 다양한 분과 학문에서 선도적인 연구 업적을 내는 필자들을 섭외했고, 200명 이상의 저자들이 참여하여 오늘날까지 인류의 과거를 종합적으로 설명했다. 세계사는 다양한 방법론을 통해, 그리고 다양한 시공간적 범위에서 검토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성장하고 있음을 감안하여, 시리즈의 각 권에서는 지역별 연구, 주제별 연구, 비교 연구의 성과를 수록했으며, 사례 연구를 더하여 넓은 시각의 연구를 깊이 있게 들여다볼 수 있도록 기획했다. 바로 이런 점이 케임브리지 세계사 시리즈의 특징이라 하겠다.
18권 저자 목록
하이메 로드리게스(Jaime E. Rodriguez O.).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리처드 오버리(Richard Overy). University of Exeter.
다니엘 사전트(Daniel Sargent).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캐롤 핑크(Carole Fink). Ohio State University.
니콜 레벡(Nicole Rebec).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제프리 워서스트롬(Jeffrey Wasserstrom).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대니얼 헤드릭(Daniel R. Headrick). Roosevelt University.
리처드 터커(Richard Tucker). University of Michigan and Oakland University.
윌리엄 맥앨리스터(William B. McAllister). Georgetown University.
베른하르트 리허(Bernhard Rieger). University College London.
토머스 자일러(Thomas W. Zeiler).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목차
(17권에서 이어짐)
PART 3 역사의 전환점
CHAPTER 12 대서양 혁명의 재해석
CHAPTER 13 세계대전, 1914~45년
CHAPTER 14 냉전
CHAPTER 15 1956년
CHAPTER 16 1989년
PART 4 세계화를 이끌어가는 힘
CHAPTER 17 교통과 통신
CHAPTER 18 고무 산업
CHAPTER 19 약물
CHAPTER 20 자동차
CHAPTER 21 세계화, 앵글로-아메리칸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