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역사
7일의 왕비 단경왕후 이미지

7일의 왕비 단경왕후
학자원 | 부모님 | 2025.10.30
  • 판매가
  • 50,000원
  • S포인트
  • 2,500P (5% 적립)
  • 상세정보
  • 15.3x22.5 | 0.874Kg | 624p
  • ISBN
  • 9791162473856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하빈 신후담이 저술한 『온릉지』를 역주한 것으로써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당대 정치의 소용돌이와 여인의 운명을 차분히 풀어냈다. 조선 중종반정이라는 격랑 속에 왕비가 된 지 7일 만에 쫓겨난 비운의 여인 단경왕후. 그녀의 억울한 퇴위와 뒤이은 233년 만의 복위, 그리고 그 속에 담긴 진실을 새롭게 조명한 책 《7일의 왕비, 단경왕후》 폐비에서 왕후가 되기까지의 그 기나긴 여정이 기록되어 있다.

  출판사 리뷰

이 책 『7일의 왕비, 단경왕후』는 하빈河濱 신후담(愼後聃, 1702~1761) 선생이 저술한 『온릉지溫陵志』를 역주한 것으로써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당대 정치의 소용돌이와 여인의 운명을 차분히 풀어낸 귀중한 기록입니다.
조선 중종반정이라는 격랑 속에 왕비가 된 지 7일 만에 쫓겨난 비운의 여인 단경왕후! 그녀의 억울한 퇴위와 뒤이은 233년 만의 복위, 그리고 그 속에 담긴 진실을 새롭게 조명한 책 《7일의 왕비, 단경왕후》 폐비에서 왕후가 되기까지의 그 기나긴 여정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권력의 희생양이 된 ‘치마바위의 전설’의 주인공 단경왕후, 지금 그녀의 진실이 책으로 되살아납니다. 조선의 비극적 왕비를 넘어,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남긴 교훈과 그 진실을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신후담
1702(숙종 28)년에 태어나 1761(영조 37)년에 세상을 떠났다. 자는 이로(耳老), 본관은 거창(居昌)으로, 한양에서 태어났다. 23세 때 성호(星湖) 이익(李瀷)을 찾아가 문인이 되었다. 윤휴(尹?)·허목(許穆) 등 근기 남인계의 학문정신을 계승하고, 성호에게서 회의를 통한 본지탐구의 방법을 익혀 주자학만을 절대존신하지 않고 새로운 해석을 추구하였으며, 관념적 유희보다는 실제의 행사를 중시하는 실학적 사유를 드러내고 있다. 동문 이병휴(李秉休)와 함께 성호학파 내의 진보 성향을 가진 대표적인 학자로 후대 정약용(丁若鏞) 등의 경학에 상당한 영향을 미쳐 조선 후기 경학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목차

상편上篇
1. 서문序文
2. 「병인손위丙寅遜位」
3. 「을해청복⼄亥請復」
4. 「정사승하丁巳昇遐」
5. 「임자이사壬子移祀」
6. 「기묘입사己卯⽴祠」
7. 「기미복위己未復位」
1) 1739년 3월 13일 2) 1739년 3월 14일 3) 1739년 3월 15일
4) 1739년 3월 17일 5) 1739년 3월 22일 6) 1739년 3월 25일
7) 1739년 3월 26일 8) 1739년 3월 27일 9) 1739년 3월 28일
10) 1739년 3월 29일 11) 1739년 3월 30일 12) 1739년 4월 1일
13) 1739년 4월 2일 14) 1739년 4월 3일 15) 1739년 4월 4일
16) 1739년 4월 14일 17) 1739년 4월 15일 18) 1739년 4월 17일
19) 1739년 4월 18일 20) 1739년 4월 22일 21) 1739년 4월 26일
22) 1739년 4월 28일 23) 1739년 5월 1일 24) 1739년 5월 3일
25) 1739년 5월 4일 26) 1739년 5월 5일 27) 1739년 5월 6일
28) 1739년 5월 20일 29) 1739년 5월 27일 30) 1739년 8월 19일

하편下篇
1. 「책축제문冊祝諸文」
1) 옥책문玉冊文
2) 시책문諡冊文
3) 신주이봉시별묘고유제 축문神主移奉時別廟告由祭 祝文
4) 위선당봉안제 축문爲善堂奉安祭 祝文
5) 복위후종묘고유제 축문復位後宗廟告由祭 祝文
6) 영녕전고유제 축문永寧殿告由祭 祝文
7) 봉안소삭제 축문奉安所朔祭 祝文
8) 청시시종묘고유제 축문請諡時宗廟告由祭 祝文
9) 영녕전고유제 축문永寧殿告由祭 祝文
10) 신주개제후친제 축문神主改題後親祭 祝文
11) 자정전봉안후친제 축문資政殿奉安後親祭 祝文
12) 구주매안시본릉고유제 축문舊主埋安時本陵告由祭 祝文
13) 부태묘시종묘예고제 축문祔太廟時宗廟預告祭 祝文
14) 영녕전예고제 축문永寧殿預告祭 祝文
15) 자정전예고제 축문資政殿預告祭 祝文
16) 자정전단오제 축문資政殿端午祭 祝文
17) 온릉단오제 축문溫陵端午祭 祝文
18) 자정전고동가 축문資政殿告動駕 祝文
19) 부태묘 축문祔太廟 祝文308
20) 영녕전섭행제 축문永寧殿攝行祭 祝文
21) 칠사제 온릉친제시 축문七祀祭 溫陵親祭時 祝文
22) 온릉친제시 종묘고유제 축문溫陵親祭時 宗廟告由祭 祝文
23) 온릉친제 축문溫陵親祭 祝文
24) 반교문頒敎文
25) 온릉정자각 상량문溫陵丁字閣 上梁文
2. 「차의제문箚議諸文」
1) 기미3월14일 대신이태좌차자己未 三月十四日 大臣 李台佐劄子
2) 동일대신수의同日大臣收議
3) 3월25일 대신계사三月二十五日 大臣啓辭
4) 동일종친문무백관 대정회의同日宗親文武百官 大庭會議
5) 동일재외유신수의同日在外儒臣收議
6) 3월25일 재외유신수의三月二十五日 在外儒臣收議
3. 「총서總叙」ㆍ「보유補遺」*
4. 「총례總例」*
1) 「복위시말 총서復位始末 總敘」
2) 「보유補遺」
3) 「온릉지 총례溫陵志 總例」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