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살아서 이루지 못한 야망, 죽어서 꿈을 이룬
영조의 생모 숙빈 최씨! 그녀의 사랑과 눈물의 이야기
숙종시대는 그 어느 시대보다도 당쟁이 치열했다. 그만큼 사건도 많고 이야기도 많을 수밖에 없다. 그 시대 한복판을, 천인으로, 여성으로, 아들을 왕위에 오르게 하기위해 치열한 모정으로 살아낸 숙빈 최씨의 사랑과 눈물, 그리고 야망의 역사는 그래서 독자들에게 생생히 살아있는 모습으로 다가오고 있다. 또 그 시대를 살았던 숙빈 최씨와 인현왕후, 장희빈 세여인의 돌이킬 수 없는 운명과 인간적 면모들은 여전히 우리들의 가슴을 아프게 한다.
『동이』는 조선의 성군으로 잘 알려진 영조의 생모, 숙빈 최씨에 대한 소설이다. 숙빈 최씨에 관해서 전해져오는 이야기나 기록은 많치 않다. 아무래도 신분계급이 엄격했던 조선시대여서 평민출신인 그녀의 기록은 많치 않았을 것이다. 일개 평민 출신으로 양대 당파 세력의 지원을 받던 인현왕후와 장희빈 사이에서 어떻게 끝까지 살아남았고 끈질긴 집념과 야망으로 자신의 아들을 보위에 오르게 했는지는 실로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어쩌면 숙빈 최씨는 오늘을 살아가는 여성들에게 하나의 롤 모델일 수 있다.
평민 무수리 출신으로 인현왕후와 장희빈의 궁중암투, 서인과 남인의 처절한 당파투쟁 속에서도 끝까지 살아남아 자신이 낳은 아들을 보위에 오르게 한 숙빈 최씨의 흥미진진한 이야기들은 독자들로 하여금 역사소설을 읽는 재미를 한껏 선물할 것이다.
출판사 리뷰
살아서 이루지 못한 야망, 죽어서 꿈을 이룬
영조의 생모 숙빈 최씨! 그녀의 사랑과 눈물의 이야기
숙빈 최씨에 관해서 전해져오는 이야기나 기록은 많치 않다. 아무래도 신분계급이 엄격했던 조선시대여서 평민출신인 그녀의 기록은 많치 않았을 것이다. 숙종시대를 다룬 지금까지의 책이나 TV드라마에서도 인현왕후나 장희빈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은 많았으나 숙빈 최씨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은 없었다. 역사 속에서는 인현왕후나 장희빈이 더욱 파란만장하고 드라마틱한 삶을 살다 간 것처럼 느껴지나, 사실 숙빈 최씨의 삶도 기다림과, 눈물, 사랑, 야망의 역사였다. 조선 시대에서도 가장 당쟁이 치열했고, 숙종 역시 양대 당파들의 힘을 이용해 왕권강화와 이를 위해서라면 왕비와 후궁들조차 희생양으로 삼았던 상황에서 일개 평민 출신으로 양대 당파 세력의 지원을 받던 인현왕후와 장희빈 사이에서 어떻게 끝까지 살아남았고 끈질긴 집념과 야망으로 자신의 아들을 보위에 오르게 했는지는 실로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어쩌면 숙빈 최씨는 오늘을 살아가는 여성들에게 하나의 롤 모델일 수 있다. 평범한 출신으로 주어진 상황과 여건을 활용하고 극복하여 마침내는 자신의 꿈을 이루는 모습이 그러 하다. 실제로 영조가 보위에 올라 펼친 여러 정책들을 보면 그 시대 민초들을 향한 이해와 애정이 담긴 것들이 많았다. 이는 어쩌면 평민 출신인 어머니와 그의 자식이라는 본능적인 출신에 대한 애정과 열등감이라는 모순이 낳은 긍정적 효과 였으리라.
조선 최고의 성군 영조를 낳은 생모, 숙빈 최씨의 삶은 독자들에게 훌륭한 이야기 거리와 읽는 즐거움을 전해주리라 생각한다.
이 책은 조선의 성군으로 잘 알려진 영조의 생모, 숙빈 최씨에 대한 소설이다. 평민 무수리 출신으로 인현왕후와 장희빈의 궁중암투, 서인과 남인의 처절한 당파투쟁 속에서도 끝까지 살아남아 자신이 낳은 아들을 보위에 오르게 한 숙빈 최씨의 흥미진진한 이야기들은 독자들로 하여금 역사소설을 읽는 재미를 한껏 선물할 것이다.
역사적 사료의 충실함과 저자 특유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는 시공을 뛰어넘어 오늘을 사는 우리들에게 생생한 현실로 느껴진다. 소설에 등장하는 장붕익은 실존인물로 영조시대에 포도대장으로 명성을 떨치고 영조를 암살하려는 자객들을 막아주기도 했다.
검계 인물 이철주는 사료에 나오는 표철주가 모델이다. 표철주는 영조가 잠저에 있을때 호위무사를 한 인물이다.
숙종시대는 그 어느 시대보다도 당쟁이 치열했다. 그만큼 사건도 많고 이야기도 많을 수밖에 없다. 그 시대 한복판을, 천인으로, 여성으로, 아들을 왕위에 오르게 하기위해 치열한 모정으로 살아낸 숙빈 최씨의 사랑과 눈물, 그리고 야망의 역사는 그래서 독자들에게 생생히 살아있는 모습으로 다가오고 있다. 또 그 시대를 살았던 숙빈 최씨와 인현왕후, 장희빈 세여인의 돌이킬 수 없는 운명과 인간적 면모들은 여전히 우리들의 가슴을 아프게 한다.
등장인물
동이(최숙빈)
무수리 출신으로 숙종의 총애를 받아 숙빈의 자리까지 오른다. 인현왕후와 장희빈의 암투사이에서 현명한 처세로 이를 극복하고 그의 아들 영조를 왕위에 오르게 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다.
숙종
조선의 19대 왕이다. 당파투쟁 속에서 각 세력을 적절히 이용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왕비와 후궁마저도 자신의 보위를 위해 이용한다. 장희빈을 총애하지만 나중에는 그 사랑을 동이에게 쏟는다.
장옥정(장희빈)
장안의 갑부인 역관의 딸로 남인들의 세력을 등에 업고 궁녀에서 희빈이 된다. 뛰어난 자색과 염기로 숙종의 마음을 사로잡아 총애를 받지만 포악한 성격 때문에 숙종에게 외면당한다.
민 규수(인현왕후)
병조판서 민유중의 딸. 성품이 어질고 총명하여 중전으로 간택되나 숙종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후사 또한 없다. 장희빈과의 암투에서 모함을 받고 페위되지만 동이와 서인세력의 노력으로 다시 복위된다.
민유중
민규수의 아버지로 병조판서를 지내고 성품이 곧고 어질다. 동이의 아버지를 다시 장악원에 넣어주고 동이가 부모를 잃고 떠돌아 다닐 때 우연히 만나서 다시 만나서 민규수의 여종이 되게 해 준다.
이철주
동이가 떠돌아 다닐 때 만나 오누이로 지내게 된 오라버니이지만 은근히 동이를 좋아한다.
그러나 동이는 끝까지 마음을 열지 않는다.
장붕익
이철주와 비슷한 시기에 동이를 만난다. 동이도 장붕익을 좋아하지만 신분의 벽을 넘지 못해 이룰 수 없는 사랑에 애를 태운다. 훗날 포도대장이 되어 영조를 암살 하려는 자객을 막아준다.
최효원
동이의 아버지. 한양의 조직폭력배 검계의 조직원이다. 자신의 아내 안씨를 차지하려는 최필제의 모함으로 체포되어 고문으로 사망한다.
최필제
한양저자거리의 상인. 동이어머니 안씨에게 흑심을 품고 동이의 아버지를 음모로 제거하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고 나중에 동이에게 붙잡혀 죄값을 치룬다.
장희재
장옥정의 오빠. 동생 장옥정의 덕분으로 포도대장을 거쳐 한성부 판윤까지 오른다. 동생을 이용하여 출세를 꾀하지만 오히려 그로 인해 곤경에 처하게 된다.
숙정
장희재의 첩. 수시로 궁궐을 드나들며 장옥정에게 간언을 한다. 인현왕후가 복위하자 인현왕후를 제거하기 위하해 궐내에서 몰래 저주굿을 해야 한다고 장옥정을 부추긴다.
오례
숙정이 데려온 무녀로 장옥정이 궐내에 몰래 신당을 차리자 인현왕후가 빨리 죽고 장옥정이 복위되기를 기원하는 저주굿을 집전한다.
작가 소개
저자 : 이준혁
충북 제천에서 태어났으며 「중앙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역사물에 남다른 애정과 깊은 관심을 기울여 방대한 역사자료를 수집하고 역사 소설을 집필 할 때마다 늘 현장을 다니면서 시대적 상황과 인물의 생활상을 더욱 생생하게 묘사해 왔다. 특히 역사적 사실이나 실존인물의 이야기에 작가의 상상력을 덧붙여 새로운 인물과 사실을 재창조하는 팩션 역사소설을 개척하여 역사 소설의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다.
목차
1. 폭풍우 몰아치다
2. 음모의 소용돌이
3. 운명의 세 여인, 그리고 두 남자
4. 인현왕후가 국혼을 올리다
5. 장옥정이 다시 입궁을 하다
6. 감고당의 여인
7. 영조의 탄생
8. 왕비의 눈물과 한
9. 희빈이 사약을 받다
10.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