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맹문재
충북 단양에서 태어나 고려대 국문과 및 같은 대학원을 졸업했다. 시론 및 비평집으로 『한국 민중시 문학사』 『패스카드 시대의 휴머니즘 시』 『지식인 시의 대상애』 『현대시의 성숙과 지향』 『시학의 변주』 『만인보의 시학』 『여성시의 대문자』 『여성성의 시론』 『시와 정치』 등이 있다.전국 노동자문학회 매체인 『삶글』을 비롯해 『부천작가』 『시작』 『삶과 문학』 『푸른사상』 등의 창간 및 주간을 맡았고, 한국작가회의 자유실천위원회 활동을 했다. 현재 안양대 국문과 교수로 있다.
지은이 : 유성호
1964년 경기도 여주에서 출생하여 서울에서 자랐다.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를 지냈고, 지금은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신문≫ 신춘문예 문학평론 부문에 당선하여 문학평론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그동안 대산창작기금, 김달진문학상, 유심작품상, 편운문학상, 현대불교문학상, 시와시학상 등을 수상했다. ≪내일을 여는 작가≫, ≪문학인≫, ≪작가연구≫, ≪문학수첩≫ 등의 편집위원을 지냈고, 지금은 ≪시작≫, ≪서정시학≫, ≪문학의 오늘≫ 등의 편집위원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 현대시의 형상과 논리≫(1997), ≪상징의 숲을 가로질러≫(1999), ≪침묵의 파문≫(2002), ≪한국 시의 과잉과 결핍≫(2005), ≪현대시 교육론≫(2006), ≪문학 이야기≫(2007), ≪근대시의 모더니티와 종교적 상상력≫(2008), ≪움직이는 기억의 풍경들≫(2008), ≪정격과 역진의 정형 미학≫(2014) 등을, 편저로는 ≪강은교의 시 세계≫(2005), ≪박영준 작품집≫(2008), ≪나의 침실로(외)?이상화≫(2009), ≪박팔양 시선집≫(2009), ≪김상용 시선≫(2014) 등을 펴냈다.
지은이 : 이승하
경북 의성군 안계면에서 태어나 김천에서 성장했다.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10년 동안 직장생활을 하면서 《쌍용50년사》 《쌍용건설30년사》 《현대건설50년사》 같은 책을 썼다.1984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시 〈화가 뭉크와 함께〉가, 1989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소설 〈비망록〉이 당선되어 시인 겸 소설가가 되었다. 이후로는 한국문예창작학회 창립 멤버가 되어 세계 여러 나라를 순방하며 문학과 시에 대해 발표했다. 이때 각 나라 생태환경의 실태를 직접 눈으로 보게 되었고, 이후 한국의 상황을 가슴 아파하면서 시를 썼다.한국시인협회 사무국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문예창작학회 회장, 〈문학나무〉 〈불교문예〉 〈문학 에스프리〉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시집 《생명에서 물건으로》 《인간의 마을에 밤이 온다》 《나무 앞에서의 기도》, 문학평론집 《집 떠난 이들의 노래 - 재외동포문학 연구》 《욕망의 이데아?창조와 표절의 경계에서》, 산문집 《시가 있는 편지》 《한밤에 쓴 위문편지》, 평전 《마지막 선비 최익현》 《최초의 신부 김대건》 등을 펴냈다.대한민국문학상 신인상, 지훈상, 시와시학상 작품상, 인산시조평론상, 천상병귀천문학대상 등을 수상했다.
지은이 : 이명찬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2003년 덕성여대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이 : 권성훈
시인·문학평론가. 한신대학교 종교학과, 경기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에서 <한국현대시에 나타난 치유성 연구>로 박사학위 취득, 고려대학교 국문학과에서 〈한국종교시에 나타난 치유적 양상 연구>로 박사후(Post-Doc) 과정을 수료했다. 《작가세계》 신인상을 수상했으며, 시집 『유씨 목공소』 외 2권, 저서 『시치료의 이론과 실제』, 『폭력적 타자와 분열하는 주체들』, 『정신분석 시인의 얼굴』, 『이렇게 읽었다. 설악 무산 조오현 한글 선시』, 『현대시조의 도그마 너머』등이 있다. 고려대학교 연구교수를 역임했으며, 2018년 현재 경기대학교 융합교양대학 교수.
지은이 : 고명철
광운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1998년 <월간문학> 신인문학상에서 「변방에서 타오르는 민족문학의 불꽃-현기영의 소설세계」가 당선되면서 문학평론가 등단. 아시아.아프리카.라틴아메리카 문학(문화)을 공부하는 <트리콘> 대표. 계간 <실천문학>, <리얼리스트>, <리토피아>, <비평과 전망> 편집위원 역임. 저서로는 <흔들리는 대지의 서사>, <리얼리즘이 희망이다>, <문학, 전위적 저항의 정치성>, <뼈꽃이 피다>, <칼날 위에 서다> 등 다수. 젊은평론가상, 고석규비평문학상, 성균문학상 수상.
지은이 : 남기혁
저자 남기혁은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문학박사 1994년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했으며, 주요저서로 『한국현대시의 비판적 연구』(2001),『한국 현대시와 침묵의 언어』(2003),『한국현대시사』(2007, 공저)『언어와 풍경』(2010) 등이 있다. 현재 군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재직하며 현대시를 가르치고 있다.
지은이 : 이경수
1968년 대전에서 태어났으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1999년 <문화일보>를 통해 문학평론가로 등단했다. 주요 저서로 <불온한 상상의 축제> <한국 현대시와 반복의 미학> <바벨의 후예들 폐허를 걷다> <춤추는 그림자> <다시 읽는 백석 시>(공저) <이용악 전집>(공편저) <최재서 평론 선집>(편저) 등이 있다. 제23회 김달진문학상, 제8회 애지문학상, 제17회 젊은평론가상 등을 수상했다. 2017년 현재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재직 중이다.
지은이 : 김유중
1965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에서 학부를 마치고, 이후 동 대학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에 진학하여 현대문학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1년, ≪현대문학≫지의 신인 평론 추천으로 등단했다. 2015년 현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한국 모더니즘문학의 세계관과 역사의식≫(1996), ≪김기림≫(1996), ≪김광균≫(2000), ≪한국 모더니즘문학과 그 주변≫(2006), ≪김수영과 하이데거≫(2007) 등이 있으며, 편저서로 ≪그리운 그 이름, 이상≫(공편, 2004), ≪이범선 작품집≫(2010), ≪김기림 시선≫(2012), ≪김광균 시선≫(2012) 등이 있다. 현재 한국 현대시의 존재론적 탐구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컴퓨터 게임이 지닌 구조와 특성을 인문학적인 시각에서 분석하고 이해해 보려는 융합학문적인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지은이 : 전도현
고려대 연구교수
지은이 : 문혜원
아주대 교수
한국 시문학사의 재정립을 위하여_수정증보판 서문 ___ 3
책머리에 ___ 5
근대 이행기 1910년대의 한국 시문학사 이명찬 17한국 시문학의 특성
1. 시대 규정과 기점의 문제 ___ 17
2. 이행기 한국 시문학의 근대성 ___ 20
3. 근대 이행기 시문학의 전개 과정 ___ 25
4. 남는 말 ___ 42
근대 자유시의 정착과 1920년대의 한국 시문학사 전도현 45이념적 분화
1. ‘문화정치’의 실상과 민족의식의 확립 ___ 45
2. 1920년대의 문단 상황 ___ 51
3. 1920년대 시의 주요 경향과 특징 ___ 57
4. 마무리 ___ 81
확대와 심화, 1930년대, 일제 말 암흑기의 시문학사 김유중 83혼란과 좌절의 양상들
1. 시대적 배경 ___ 83
2. 문단 내외의 상황 ___ 87
3. 1930년대 시단의 경향과 조류 ___ 97
4. 암흑기의 시단 ___ 127
해방 직후 시의 1940년대 후반의 한국 시문학사 유성호 139전개 양상
1. 해방과 갈등, 분단 체제의 완결 ___ 139
2. 민족 주체의식의 강조와 왜곡된 현실 비판 ___ 143-‘조선문학가동맹’ 계열의 시인들
3. 높은 예술적 성취와 자기 성숙의 목소리 ___ 153-민족주의 혹은 전통적 서정주의 계열의 시인들
4. 소결-통일문학사의 직접적 전사前史 ___ 163
한국 전후 시의 1950년대의 한국 시문학사 남기혁 167형성과 전개
1. 1950년대의 시대적 상황과 문학적 상황 ___ 167
2. 전후 시단의 재편과 새로운 발표 매체의 등장 ___ 172
3. 전통주의적 경향의 시와 시인들 ___ 177
4. 모더니즘적 경향의 시와 시인들 ___ 187
5. 현실참여시의 태동 ___ 199
6. 맺음말 ___ 203
4.19혁명 이후 1960년대의 한국 시문학사 문혜원 207우리 시의 유형과 특징
1. 1960년대 문학의 위상 ___ 207
2. 순수.참여 논쟁 ___ 212
3. 1960년대 시의 세 가지 유형 ___ 216
4. 시사적인 의의 ___ 240
산업화시대 시의 1970년대의 한국 시문학사 이승하 243모색과 발전
1. 1970년대의 의미 ___ 243
2. 1970년대의 문단 상황 ___ 245
3. 현실참여의 시 ___ 251
4. 자유정신의 시 ___ 279
5. 서정시의 다양성 ___ 293
6. 문명 비판의 양상 ___ 327
7. 소시민 혹은 온건주의자들의 노래 ___ 338
8. 시 형식의 변화 ___ 345
9. 마무리 ___ 358
광주항쟁 이후 시의 1980년대의 한국 시문학사 맹문재 361양상과 특징
1. 1980년대의 상황과 시단 ___ 361
2. 1980년대 시의 양상과 특징 ___ 365
3. 1980년대 시의 의미 ___ 408
현대시의 풍경, 1990년대의 한국 시문학사 고명철 411그 다원성의 미학
1. 1990년대 시, 그 ‘다원성의 미학’ ___ 411
2. 민중시-후기자본주의 현실에 대한 시적 대응 ___ 417
3. 여성시-남성 중심의 근대적 주체에 대한 모반 ___ 424
4. 생태시-‘온생명’의 가치를 되살리는 생태학적 상상력 ___ 430
5. 신서정시-구태의연한 서정에서 벗어나는 갱신의 욕망 ___ 437
6. 환상시-현실/환상의 경계에 틈입한 ‘환상적 리얼리티’ ___ 442
7. 21세기 시문학 지평을 개척하는 1990년대의 시문학 ___ 448
탈경계 시대 현대시의 2000년대의 한국 시문학사 이경수 451모색과 도전
1. 2000년대 시단의 풍경 ___ 451
2. 신세대의 약진과 새로운 시적 주체의 출현 ___ 457
3. 탈국가적 상상력과 문학의 윤리에 대한 고민 ___ 473
4. 정치의 일상화와 정치적 상상력의 갱신 ___ 486
5. 분출하는 목소리-들, 분화하는 시-들 ___ 502
부록__
__14차산업혁명과 권성훈 507한국 시의 미래는?
__2새로운 독자는 21세기의 시와 시인과 독자 이승하 518무엇을 원하고 있는가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