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시작시인선 304권. 조은길 시인의 시집. 시인은 경남 마산 출생으로 1998년 「중앙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하여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시집으로 <노을이 흐르는 강>이 있다. 이번 시집 <입으로 쓴 서정시>는 삶의 희로애락을 경험적 관찰과 투명하고 다채로운 묘사를 통해 보여 주는 서정적 고백록이다.
시인은 밀도 높은 기억을 매개로 하여 핍진성 있는 서사를 구축하며 이를 통해 자신만의 심미적 풍경을 완성해 나간다. 해설을 쓴 유성호 문학평론가는 이번 시집에 대하여 "세상의 정점과 바닥, 매혹과 잔혹, 구심력과 원심력을 있는 그대로 담아내면서 타자를 향한 사랑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아름답게 보여 준다"라고 평했다.
출판사 리뷰
조은길 시인의 시집 『입으로 쓴 서정시』가 시작시인선 0304번으로 출간되었다. 시인은 경남 마산 출생으로 1998년 《중앙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하여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시집으로 『노을이 흐르는 강』이 있다.
이번 시집 『입으로 쓴 서정시』는 삶의 희로애락을 경험적 관찰과 투명하고 다채로운 묘사를 통해 보여 주는 서정적 고백록이다. 시인은 밀도 높은 기억을 매개로 하여 핍진성 있는 서사를 구축하며 이를 통해 자신만의 심미적 풍경을 완성해 나간다. 해설을 쓴 유성호 문학평론가는 이번 시집에 대하여 “세상의 정점과 바닥, 매혹과 잔혹, 구심력과 원심력을 있는 그대로 담아내면서 타자를 향한 사랑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아름답게 보여 준다”라고 평했다. 여기서 타자란 인간과 자연을 아울러 말하며, 이는 인간 존재의 운명을 환기하는 상관물로 기능하는 동시에 시인으로 하여금 세상에 대한 관찰과 고백을 가능케 하는 요소가 된다. 이처럼 시인은 인간과 자연이 분리되어 있다고 전제하지 않고, 인간과 자연 사이에 상상적 소통이 가능하다고 믿으며 역동적 상상력으로 우주와 삶의 소통을 노래한다. 뿐만 아니라 시인은 ‘나’와 ‘타자’의 영역을 넘나들며 존재자들의 슬픔을 포착하고 존재 방식에 대한 새로운 투시와 해석 작업을 수행한다. 그 결과 조은길의 시는 우리로 하여금 세상이 강제하는 위기와 폭력에 대한 근원적 성찰과 더불어 삶의 균열에 대한 자의식, 견고한 일상을 유기체적으로 읽어내는 상상력을 일깨운다. 해설의 말처럼 서정시가 “‘자기동일성’과 ‘회감回感’의 양식”이라고 했을 때, 조은길의 이번 시집은 “서정시의 존재론을 가정 첨예하고도 구체적으로 형상화해 보여 주는 미학적 결실”이자 “내면에서 일고 무너지는 고통과 환멸의 목소리를 담은 마음의 뼈요 시간의 척추인 셈”이다.
조은길의 시집 『입으로 쓴 서정시』는, 때로 가파르고 때로 따뜻한 삶의 엄혹한 이치에 대한 경험적 관찰을 통해 우리에게 세상의 축도縮圖를 견실하게 전해 주는 서정적 고백록이다. 이러한 관찰과 고백의 과정은 타자들에 대한 투명하고도 다채로운 묘사를 통해 펼쳐지는데, 시인은 밀도 높은 기억을 매개로 하여 자신이 마주쳐 온 시간의 문양을 들려주는 작법을 택하면서 자신만의 시적 수심水深을 들여다본다. 이러한 기율이 그녀의 시편으로 하여금 퇴행적이거나 회고적인 정서에 머무르게끔 하지 않는 가장 강력한 원리가 되어주었을 것이다. 이때 조은길의 시는 세상의 정점과 바닥, 매혹과 잔혹, 구심력과 원심력을 있는 그대로 담아내면서 타자를 향한 사랑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아름답게 보여 준다. 그녀가 시에 담아내는 ‘타자’란 동시대의 이웃들로부터 역사 속 인물들, 자연 속 동식물들, 때로 징그럽고 그로테스크한 존재자들에까지 두루 걸쳐져 있다. 물론 그녀의 시에 차용된 이러한 대상들은 한결같이 인간 존재의 운명을 환기하는 상관물로 기능하면서 그녀로 하여금 삶에 대한 깊은 관찰과 고백을 가능하게끔 해주는 주인공들이다.
―해설 중에서
입으로 쓴 서정시
네가 떠나가고 입이 진다
입의 안과 밖이 부르트고 허물어지더니
입술 선까지 완전히 망가졌다
널 떠나가게 한 책임이 모두 입 탓이라는 듯
방문을 걸어 잠그고 끙끙 입을 앓아눕는다
입이 아프니 밥도 못 먹겠고
밥을 못 먹으니 온몸이 죽을상이 되어
입을 올려다본다 하지만
입은 회로가 다른 전선처럼
아랑곳하지 않는다
널 싫어한 건 아니었다고
양다리 걸친 적 없다고
내 마음을 정확히 표현할 말이 없어
그냥 그렇게 둘러댄 것뿐이라고
아니라고 그런 게 아니라고
무너진 입을 쥐어박는다 소용없다
너는 떠나갔다
그저 때를 기다리던 철새처럼
작가 소개
지은이 : 조은길
경남 마산 출생. 1998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시로 등단.시집 『노을이 흐르는 강』 출간.
목차
시인의 말
제1부
8월 13
바위산에 올라 15
즐거운 나날들 16
복어들 18
소크라테스님은 얼마나 배가 고팠을까 20
직립을 소원하다 21
9월 22
그날은 달님을 몹시 기다렸다 24
입술을 깨물어 비명을 참으며 26
순종들 28
잔디 깎는 날 30
저녁의 향기 32
순정 34
영웅들의 장례 35
채식 뷔페에서 36
진달래꽃 38
별의 이력 40
멸치 대가리가 파생시킨 몇 가지 질문들 42
송광사 43
제2부
입으로 쓴 서정시 47
연필의 추억 49
연어 축제 50
숲의 모국어 52
토마토에 관한 몇 편의 시들 54
돈키호테 씨 해물 뚝배기를 내리치다 56
구더기가 돼버린 천재 시인의 시를 읽다가 58
역사의 역사 59
정확히 반이라고 규정할 수는 없지만 60
나와 눈이 마주치지만 않았다면 62
파계 64
제3부
어머니는 그녀보다 입이 작았다 69
여장 남자 재첩 장수 71
나는 가끔 남동생을 오빠라 부른다 72
3·1절 특선 영화 74
성냥과 피임약 76
도마와 침대 사이 77
암탉들 78
붕어빵 굽는 여자 80
동백섬 동백 타워 82
가을비 후렴 84
뜻밖의 아름다움 86
봄 산벚나무 88
첫사랑 89
슬픔을 포개다 1 90
슬픔을 포개다 5 92
슬픔을 포개다 7 94
슬픔을 포개다 8 96
제4부
잔디 광장 99
고등어 100
장마 101
큰길에서 쓴 시 102
삼류 시인 104
장미와 미꾸라지 106
봄봄 108
토끼 이야기 109
알 욕구 피라미드 110
시작 노트 112
엄나무 알레르기 114
전문가들 115
눈물을 리모델링하다 116
해설
유성호 슬픔의 기억을 통한 소리와 언어의 시적 존재론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