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내 인생의 거장을 만나는 특별한 여행, 클래식 클라우드 시리즈 서른여섯 번째 주인공은 윤동주다. 2025년 윤동주 서거 80주년을 추모하며 윤동주가 살아가고 사랑한 공간들과 침울한 현실을 잠시나마 잊히게 하는 유토피아적 공간의 관점에서 윤동주가 쓴 글에 대해 조망해 본다. 『클래식 클라우드 036 윤동주』는 다양한 사진과 알아보기 쉬운 지도를 제공하고 있어, 윤동주 문학 기행을 꿈꾸는 모든 독자에게 소중한 책이 될 것이다.
출판사 리뷰
세대와 시대를 초월한 시인, 윤동주
약자와 자신을 동화한 그의 작품을 공간으로 톺아보다
“윤동주, 그는 막막한 시대에 어떻게 살아야 할지 희미하게 밝혀주는 변두리의 작은 별이다.
그는 대략 19년을 만주에서, 7개월을 평양에서, 4년을 경성에서, 4년을 일본에서 지냈다.
어디 있든 그는 ‘오늘도 내일도 새로운 길’을 생각하는 초 한 대였다.” _김응교
내 인생의 거장을 만나는 특별한 여행, 클래식 클라우드 시리즈 서른여섯 번째 주인공은 윤동주다.
2025년 윤동주 서거 80주년을 추모하며 윤동주가 살아가고 사랑한 공간들과 침울한 현실을 잠시나마
잊히게 하는 유토피아적 공간의 관점에서 윤동주가 쓴 글에 대해 조망해 본다.
『클래식 클라우드 036 윤동주』는 다양한 사진과 알아보기 쉬운 지도를 제공하고 있어,
윤동주 문학 기행을 꿈꾸는 모든 독자에게 소중한 책이 될 것이다.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윤동주의 문학 세계를 따라 걷다
저자 김응교는 세 권의 윤동주 책을 냈다. 백 여 편의 윤동주 시를 해설한 평전 『처럼-시로 만나는 윤동주』, 윤동주가 쓴 4편의 산문을 비평한 『나무가 있다-윤동주 산문의 숲에서』, 윤동주가 필사하며 시를 배운 시인 백석과 윤동주를 비교한 『서른세 번의 만남-백석과 동주』를 냈다.
이번에 내는 『윤동주-문학지도, 걸어가야겠다』는 이미 낸 3권의 책과 전혀 다른 저서다. 이 책은 그가 살아가고 사랑한 공간들과 그가 꿈꾸던 유토피아적 공간으로 작품을 하나씩 들여다보는 참신한 평전이다. 특히 윤동주의 작품 중에서 거의 주목받지 못했던 「바다」, 「둘 다」, 「비로봉」 같은 시들을 자세히 다루었다. 「비로봉」의 시 형태가 좁고 길었던 까닭은 바로 금강산에 그런 형태의 기암절벽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사실도 알아내었고, 윤동주가 찍은 사진의 배경을 조사하면서 정확히 어디서 찍었는지 그 장소를 파악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로 인해 「동시 봄」, 「사랑의 전당」, 「사랑스런 추억」, 「별 헤는 밤」 같은 시들이 공간과 더불어 전혀 새로운 시각으로 해설한 저자의 글이 고스란히 담겼다. 이른바 윤동주의 침묵기에 그가 무엇을 하며 보냈는지 그동안 밝혀진 적 없는 새로운 사실을 공개한다.
이번 책 『클래식 클라우드 036 윤동주』는 이제까지 나온 적이 없는, 전혀 새로운 공간으로 읽는 윤동주 평전이다. 그의 작품과 삶을 해석하는 데 정확한 나침반이 되어 줄 것이다.
신체적 글쓰기로 작품을 창작한 윤동주 윤동주는 어떤 작가였을까. 그는 소수자 혹은 약자의 ‘곁으로’ 다가가는 정도를 넘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의 고통에 자신을 일치시키는 신체적 글쓰기corporeal writing를 보여 준다.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의 고통을 작가가 함께 겪으며 그 고통을 그대로 글을 쓰는 방식이었다. 윤동주는 산문 「화원에 꽃이 핀다」에서 문장 한 행을 쓰는 데 1년 이상 걸린다고 고백하고 있다. 1년 동안 온몸과 세포를 거쳐 익히고 익은 문장을 썼다는 것이다. 봄에는 고민에 짜들고, 여름의 녹음에는 권태에 시들고, 가을 하늘 감상에 울고, 겨울의 난로곁에서는 사색에 졸다가 그제야 글 몇 줄을 얻는다. 결국 몇 줄 얻으려면 1년이란 기간이 걸린다. 그래서 윤동주는 “나도 모르는 아픔”(「병원」)을 겪을 수밖에 없는 작가였다. 이 책에서는 그가 시 한 줄 한 줄, 한 문장 한 문장을 쓰기 위해 얼마나 깊은 자기 성찰을 해 왔는지 그 여정을 자세히 들려준다.
제땅말을 지켜 일본에 저항한 시인역사를 지키는 투쟁은 총만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윤동주는 일제강점기 시대 금지된 언어인 한글로 계속 시를 쓰며 금지된 시대에 균열을 일으켰다. 그는 인간답게 사는 세상을 향해 끊임없이 구체적인 실천을 강구했다. 그 실천 중에 하나는 금지된 언어로 시집을 내는 것이다. 그는 19편의 시를 깁고 다듬어 시집을 내려 했다.
이것이야말로 “죽어 가는” 한글을 사랑하는 실천이고, 망각을 강요하는 권력에 대항하는 저항이었다. 하찮아 보이는 저항들이 모여, 거대한 언어의 역사와 조선인들의 숨결을 지켜낸 것이다. 『클래식 클라우드 036 윤동주』를 펼쳐 제땅말을 지키기 위해 애쓴 윤동주의 노력을 직접 살펴보자.
천상의 상징, 하늘 바람 별 윤동주에게 ‘하늘’은 중요한 상징이다. 하늘을 배경을 별, 바람, 구름, 달, 태양 등이 등장하며 천상의 이미저리를 형상한다. 고향을 호명한 경우 “남쪽 하늘 저 밑엔/따뜻한 내 고향”(「고향집」)이라며 남쪽 모국의 하늘을 그린다. 「둘 다」의 첫 연은 “바다도 푸르고,/하늘도 푸르고.”이다. ‘푸른’이란 단순히 색깔만 뜻하는 것이 아니라 영원하고 끝없는 힘의 의지를 상징한다. 윤동주 시에는 푸른 힘이 있다. 하늘은 비교하지 않는다. 하늘은 홀로 푸르고 끝없을 뿐이다. 하늘은 쓸데없는 경쟁을 하지 않는다.
“하늘 다리 놓였다./알롱달롱 무지개/노래하자, 즐겁게”(「햇비」)라고 윤동주는 썼다. ‘하늘 다리’는 비교가 아니라 기쁨을 연결시키는 다리다.
“어두워 가는 하늘 밑에/조용히 흘리겠습니다.”라는 구절은 윤동주 삶 전체를 요약할 수 있는 문장이다. ‘어두워 가는 하늘’ 아래에서 윤동주는 자기만 천국 가겠다는 개인적 영성에 머물지 않고 이웃과 역사를 보는 사회적 영성으로 살았다. 『클래식 클라우드 036 윤동주』가 그의 다양한 작품 세계를 이해하는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해 줄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응교
시인, 문학평론가. 시집 『부러진 나무에 귀를 대면』, 『씨앗/통조림』을 냈고, 세 권의 윤동주 책을 냈다. 백 여 편의 윤동주 시를 해설한 평전 『처럼-시로 만나는 윤동주』, 윤동주가 쓴 4편의 산문을 비평한 『나무가 있다-윤동주 산문의 숲에서』, 윤동주가 필사하며 시를 배운 백석 시인과 윤동주를 비교한 『서른세 번의 만남-백석과 동주』를 냈다. 윤동주가 평양에서 쓴 <조개껍데기>, 원산 송도에서 쓴 <바다>, <둘 다> 등 ‘바다’는 윤동주 시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나오기에, 표지에 ‘바다’를 펼쳐보았다.평론집 『좋은 언어로-신동엽 평전』, 『그늘-문학과 숨은 신』, 『곁으로-문학의 공간』, 『첫 문장은 마지막 문장이다』, 『일본적 마음』, 『백년 동안의 증언-간토대지진, 혐오와 국가 폭력』,『韓國現代詩の魅惑』(東京:新幹社 2007), 영화평론집 『시네마 에피파니』 등을 냈다. 번역서는 다니카와 타로 『이십억 광년의 고독』, 양석일 장편소설 『어둠의 아이들』, 『다시 오는 봄』, 오스기 사카에 『오스기 사카에 자서전』, 일본어로 번역한 고은 시선집 『いま、君に詩が來たのか:高銀詩選集』(사가와 아키 공역, 東京:藤原書店, 2007) 등이 있다.<동아일보>에 연재한 「동주의 길」, <서울신문>에 「작가의 탄생」, <중앙일보>에 「김응교의 가장자리」를 연재했다. 중국, 일본, 프랑스 파리, 헝가리 부다페스트, 캐나다, 미국 등지에서 윤동주를 강연했고, CBS TV <크리스천 NOW> MC, 국민TV 인문학 방송 <김응교의 일시적 순간>을 진행, KBS <TV 책을 보다> 자문위원, MBC TV <무한도전>, CBS TV 아카데미숲에서 강연했다.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순헌칼리지 교수이고, 신동엽학회 학회장이다. 샤롯데출판문화대상 본상, 대산문화재단 외국문학 번역기금 등을 수상했다.
목차
prologue
기억의 저장소 토포필리아, 헤테로토피아 009
함경도 영혼의 고향, 함경도 013
01 만주
정주간 함경도와 육진방언과 ‘정주간’ 019
선바위 영혼의 부걸라재 030
명동마을 진리는 변두리에서 나온다 037
김약연 기념비 내 삶이 유언이다 046
명동교회 명동교회, 북간도 기독교 050
명동학교 민족교육의 터전 057
용정 집터 나는 깨끗한 제물을 보았다 064
02 평양
평양 숭실중학교 살랑살랑 찬바람 날아듭니다 075
대동강 봉수리 문익환과 윤동주의 「조개껍질」 083
03 다시 만주
다시 용정 난민 가족, 오줌 ‘쏴’ 그린 지도 093
금강산 비로봉 새가 나비가 된다 098
원산 송도원 바다는 벙글, 하늘은 잠잠 106
04 조선
연희전문 교실 금지된 언어를 지킨 스승과 제자 117
연희전문 핀슨홀 제땅말 천국, 소라의 집 123
청송대 나무가 춤을 추면 바람이 불고 133
홍대역 잔다리 세교정 참말이적이외다 140
이화여자전문학교 협성교회 윤동주의 침묵기 149
아현동 정지용 생가 별똥 떨어진 곳 160
세브란스 병원 그가 누웠던 자리에 누워 본다 174
누상동 9번지 하숙집 서촌에서 4개월, 새벽이 올 때까지 187
소공동 성림다방 너와 함께 즐겨 거닐다 199
아현리역 여성노동자와 복선철도 건설노동자 210
코카서스 와서, 뜯어먹어라. 시름없이 218
신촌역 젊음은 오래 거기 남아 있거라 230
부산 제1부두 어느 왕조의 유물 241
05 일본
도쿄 릿쿄대학 늙은 교수의 강의 들으러 간다 253
재일본한국YMCA 다시 정답게 손목을 잡어 보세 262
다카다노바바 하숙집 정거장 가차운 언덕에서 273
육첩방 등불을 밝혀 시대처럼 올 아침 288
교토 도시샤대학 얼음 아래 한 마리의 잉어 295
다케다 아파트 하숙집 나는 풀포기처럼 피어난다 299
아마가세 구름다리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305
시모가모 경찰서 구금 4개월 22일 312
후쿠오카 교도소 나에게 내미는 최초의 악수 315
06 만주와 조선
광양시 양조장집 불행을 이겨낸 ‘힘센 우정’ 327
정음사 사랑으로 지은 시의 집 341
동산묘지 죽은 자가 산 자를 살린다 351
epilogue 길 떠나며 다섯 번째 독자와 함께
윤동주 문학의 키워드 370
윤동준 생애의 결정적 장면 378
참고 문헌, 색인 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