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2024년 4월 10일 실시된 22대 총선결과로부터 대수의 법칙을 밝혀낸 세계 최고의 선물. 『비밀지령 2-∞ - 2020년 4.15선거판을 움직였던』에 이은 제2탄인 『부정선거 해부학 - 표를 훔치지 마라』.보이지 않는 손에 의하여 더불어민주당 후보인 경우 유권자에 의한 실제득표율이 국민의힘 후보의 실제득표율보다 낮더라도 -10% 이하로 낮지 않으면 당선되고, 국민의힘 후보인 경우 실제득표율보다 10% 이상 높아야 당선되도록 설계된 기획선거임을 Part II에서 규명한다. 이 기획된 선거결과로 인하여 당일투표에서 당선된 50명의 국민의힘 후보가 선관위 발표 선거결과에서는 낙선하였다. 통계학적 추정에 의하면 낙선한 국민의힘 후보 50명 중 46명은 당선이 확실하며, 4명은 당선으로 단정하려면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Part III에서는 Part I과 Part II의 결과가 생성되는 원인에 대한 비밀코드와 조작메커니즘을 규명한다. 조작메커니즘에는 득표수 조작방식에 따라 표더하기, 표버리기 그리고 표바꾸기 조작메커니즘이 있다. 조작메커니즘을 규정하는 비밀코드는, 살인사건의 현장에서 발견되는 혈액형과 같이, 다음 표와 같이 조작메커니즘에 대하여 서로 다른 코드로 나타난다.
첫 번째 영역인 선거통계시스템의 해부는 두 노인의 혼이 깃든 작품이다. 한 노인이 진짜 늙은이라면 또 다른 노인은 아직 젊음이 살아 숨쉬는 젊은 노인이다. 그는 컴퓨터과학을 전공한 한양대 명예교수 도경구이다. 종이와 펜으로 원고를 작성하고 모눈종이에 그린 그래프를 데이터와 함께 전달하면 이를 정교하게 컴퓨터로 편집하여 이 작품이 숨을 쉴 수 있게 해주었다. 우리는 오랜 시간 희로애락의 회로를 함께 그리며 마지막 고지에 도달하였다. 아울러 도 교수는 두 번째 영역인 컴퓨터과학적 해부를 맡아서 부정선거를 기획, 준비, 수행하는 체계적인 방법론을 Part VI에서 제시한다. 부정선거가 가능하지 않다고 믿는 불신자에게 경종을 울리는 동시에, 공명선거를 보장하는 유일한 방안은 ‘투표종료 즉시 현장 수개표’뿐임을 확신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세 번째 영역인 정치적·법적 해부에서는 전문가 3명이 해부한 정치적 광장과 법적 현장의 살아있는 소리가 담겨있다. 제21대 총선이 끝난 후 부정선거를 바로잡기 위하여 정치적 광장에 처음으로 뛰어든 First Penguin(‘첫 번째 펭귄이 되어라'의 의미)이 있었다. 그가 바로 민경욱 전 국회의원이다. 2020년 4월 15일로부터 그는 5년의 세월을 쉬지 않았다. 부정선거를 바로잡기 위한 울부짖음의 광장에는 빠짐없이 그를 찾을 수 있었다. 그는 선거정의를 위한 재판을 수없이 이어갔다. 수많은 토론 현장에서 그의 절규하는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지금도 그는 정의의 길 위에서 정의로운 대한민국 재건을 위하여 땀과 눈물과 피를 쏟아내고 있다. 그의 생생히 살아있는 목소리를 PartVII에서 들을 수 있다.Part VIII에서는 부정선거 해결의 마지막 무대인 법정에서의 문제가 제기되어있다. 제21대 총선이 끝난 후 120여 개 선거구에서 선거무효소송이 제기되었다. 이 중 5곳의 선거구에 대한 재검표가 법원에 의하여 실시되었다. 이 모든 현장에 결석없이 출석한 법적 대변인이 있었다. 그는 권오용 변호사이다. 수많은 부정선거 문제의 현장을 목격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가 변호한 선거무효소송 또한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이다. 그의 생생한 증언이 여기에 담겨있다. 이와 더불어 Part VIII에서는 선거 재판에 대한 법적 문제점을 법적으로 해부한 홍승기 변호사의 명쾌한 해석도 만나볼 수 있다.
현재까지 제21대 총선결과는 물론 제22대 총선결과에 대한 문제점을 심각하게 제기한 의원을 찾아보기 어렵다. 300명 국회의원 중 진정한 우리들의 대표를 몇이나 찾을 수 있을까? 바둑 기사의 경우를 생각해 보자. 기사들은 본인이 치른 바둑대결의 결과는 반드시 복기하여 승리와 실패의 요인을 정확히 분석하고 장래의 대국에 대한 대책과 전략 수립을 상식화한다. 이들은 본인 대국뿐만 아니라 수많은 기보 결과를 비교 분석하는 작업을 쉬지 않고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정한 프로세계의 일원이 갖추어야 할 기본자질이며 필수적인 임무이다. 우리는 언제쯤 우리의 심금을 울리는 진정한 정치인을 만날 수 있을까?‘Part I. 4.10 총선의 민낯’은 사전투표득표율-당일투표득표율 차이가 나타내는 미스터리 부분과 제22대 총선결과에 대한 통계적 미스터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도경구
한양대학교 ERICA 컴퓨터학부 명예교수한양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초대 학장과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5대 회장 역임
지은이 : 홍승기
고려대학교 법학과 동 대학원 석사펜실베니아 대학(U’of Penn) 로스쿨 LL.M.대한변협 공보이사, 미국 뉴욕주 변호사언론진흥재단 감사, 저작권위원회 부위원장, 영화진흥위원회 부위원장(현) 법조윤리협의회 위원장(현)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저서『시네마 법정』(2003), 생각의나무『어느 여행자의 독백』(2016), 라이프맵『방송작가의 권리』(2020), 시나리오친구들『치열한 법정 / 브란트 골드스타인』(원제 《Storming the Court》, 2017), 청림출판
지은이 : 허병기
인하대학교 공대학장과 대학원장 역임, 현 명예교수전국공과대학장 협의회 회장과 한국생물 공학회회장 역임차세대 바이오매스 연구사업재단 이사장, 『2020년 4.15 선거판을 움직였던 비밀지령 2』(공저)
지은이 : 민경욱
KBS 워싱턴특파원·9시뉴스앵커, 박근혜 대통령 대변인 역임20대국회의원과 당대변인, 원내대변인 역임현, 4·15부정선거국민투쟁본부 상임대표, 가가호호공명선거대한당 창당
지은이 : 권오용
전 인천지방검찰청 공안부 검사, 4·15총선 선거무효소송 대리인현, 예인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
목차
프롤로그
Prologue(영문)
선거통계시스템의 해부(허병기)
Part I. 4.10 총선의 민낯
1. 사전투표득표율-당일 투표득표율 차이가 나타내는 미스터리
2. 제22대 총선 결과에 대한 통계적 미스터리
Part II. 기획선거
3. 기획선거의 실상
4. 기획선거의 결과
5. 제 22대 총선의 정당별 의석수에 대한 통계학적 해답
Part III. 조작 메커니즘
6. 표 조작 메커니즘
7. 선거구별 지역별 선거 결과에 대한 조작 메커니즘 평가
Part IV. 대수의 법칙 검증
8. 대수의 법칙 검증에 대한 개념
9. 선거구에 대한 대수의 법칙 검증
10. 선거 권역의 관내 사전투표에 대한 대수의 법칙 검증
11. 전국 선거구의 관외 사전투표에 대한 대수의 법칙 검증
Part V. 조작표수 계산방정식
12. 조작표수 계산방정식 유도
13. 선거 결과가 뒤바뀐 50개 선거구에 대한 조작표수 산출
14. 전국 254개 선거구의 관내 사전투표에 대한 조작표수 산출
컴퓨터과학적 해부(도경구)
Part VI. 부정선거 방법론
15. 선거조작 방법의 이해
정치적. 법적 해부(민경욱·권오용·홍승기)
Part VII: 정치적 관점에서 조망한 부정선거
16. 윤석열 대통령, 계엄으로 부정선거 투쟁에 불을 지폈다(민경욱)
Part VIII. 법적 관점에서 조망한 부정선거
17. 대법원과 선거 부정(권오용)
18. 선거소송 유감(홍승기)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