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먹거리를 둘러싼 윤리적 물음은 생각보다 많다. 굶주림과 자원의 불평등, 육식의 정당성, 가축의 복지, 농약과 유전자 변형 작물 등 우리가 매일 마주하는 음식에는 복잡한 도덕적 문제가 얽혀 있다.
『음식 윤리』는 이러한 먹거리 관련 쟁점을 다루는 응용윤리학의 주요 논의들을 폭넓게 소개한다. 동물권, 인구와 소비, 오염, 음식 윤리의 네 가지 범주로 나누어 주요 논문과 글을 선별하고, 각 주제마다 상반된 주장을 함께 실어 다양한 시각에서 사유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 책은 무엇이 옳고 그른가를 단정하지 않고, 우리가 어떤 논리와 관점으로 세계를 이해하고 있는지를 되묻게 한다. 풍요 속에서 잊기 쉬운 ‘먹는 일의 윤리’를 다시 생각하게 만드는 철학적 안내서다.
출판사 리뷰
음식 윤리란?
음식 윤리. 생소한 말이다. 누군가는 음식과 관련된 에티켓 또는 매너와 관련된 것을 다루는 게 아닐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아니다. 그렇다면 음식 윤리란 무엇인가. 인간이 살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 중에 하나가 먹거리인데, 이 먹거리와 관련해 제기되는 윤리적 문제들을 다루는 응용 윤리학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겠다. 우리는 경제성장과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어느 시대보다도 풍요로운 시대를 살고 있다. 그래서 돈만 있다면 언제나 쉽게 먹거리를 사 먹을 수 있다. 그러다 보니 이 먹거리와 관련해 무슨 윤리적 문제들이 그렇게 많을까 싶지만, 생각보다 관련되는 문제들이 많다.
먹거리와 관련된 문제들
먼저 우리는 어느 정도 풍요롭게 먹거리를 얻을 수 있지만, 세상의 많은 나라 사람들이 굶주림에 허덕이고 있다. 이 기아 문제도 음식과 관련된 윤리적 물음을 제기한다. 그리고 기아는 인구 증가와 관련된 문제이기도 하고, 이것은 자원 문제와 함께 지구의 한계에 대한 문제까지 제기한다. 그러니 이 또한 먹거리와 관련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세계에서 생산되는 곡물은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이 굶주림에 허덕이지 않아도 될 만큼 충분히 생산되고 있다. 그런데 이 먹거리의 많은 부분이 인간이 먹는 고기를 생산하기 위해 사육되는 동물의 사료로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기아 문제뿐만 아니라 육식의 정당성에 대해 윤리적 물음을 제기할 수 있다. 그리고 인간의 육식이 증가하면서 그 수요를 맞추기 위해 가축들은 비참한 환경에서 사육되고 있다. 그리고 산업적 축산으로 인한 축산 폐기물들은 환경 문제를 일으키는데, 기후변화를 초래하는 온실가스의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이러한 문제들 또한 윤리적 물음을 제기한다.
그리고 현시대는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도 많은 곡물 생산량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녹색혁명 덕분이기도 하다. 한데 녹색혁명은 논밭에 무수히 뿌려지는 살충제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 이것의 문제점은 레이철 카슨이 『침묵의 봄』을 통해 제기한 이래로 꾸준히 개선되어 왔다고 하지만, 이와 관련된 문제는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게다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유전자 변형 작물까지 도입되면서 이와 관련된 윤리적 문제까지 제기되고 있다.
다양한 시각으로 음식 윤리를 보다
이처럼 우리가 관심을 갖지 않았을 수도 있는 먹거리 관련 윤리적 물음들은 생각 외로 많다. 『음식 윤리』는 이런 윤리적 문제들에 대해 다룬다. 책은 크게 동물권, 인구와 소비, 오염, 음식 윤리라는 범주로 구분하여 그와 관련 있는 중요한 글과 논문, 기사 등을 선정해 엮었다.
이 책은 단순히 일관된 하나의 논리를 전개하지 않는다. 각 주제에 대해 상반된 다양한 주장의 글들을 제시해 각각의 논리를 살펴볼 수 있게 했다. 단순히 무엇이 맞다, 틀리다의 문제가 아니라 어떤 현상을 어떤 관점에서 보고 어떤 근거로 그 주장을 전개하는지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
목차
감사의 말
들어가는 글: 음식윤리 _ 데이비드 캐플런
1부 동물권
1장 이성적 존재만이 도덕적 가치를 갖는다 _ 임마누엘 칸트
2장 환경친화적인 칸트: 칸트의 동물에 대한 처우 _ 홀리 L. 윌슨
3장 동물 해방의 공리주의적 변호 _ 피터 싱어
4장 레건의 동물 권리론에 대한 비판 _ 메리 앤 워렌
2부 인구와 소비
5장 역사의 특별한 순간: 인구과잉과 과소비의 도전 _ 빌 매키번
6장 공유물에 대한 재검토: 지역적 교훈들, 전 지구적 과제들 _ 엘리노어 오스트롬 외
7장 부당한 인구 전쟁 _ 재클린 카선
8장 구명보트 윤리 _ 개릿 하딘
3부 오염
9장 우리는 모두 보팔에 살고 있다 _ 데이비드 왓슨
10장 『침묵의 봄』은 끝난 것인가? _ 데이비드 피멘텔
4부 음식 윤리
11장 기아, 의무 그리고 생태학: 우리는 굶주리고 있는 인류에게 어떤 의무를 지고 있는가 _ 마일런 엥겔
12장 세계 식량 공급: 축산으로 인한 피해 _ 트리스트램 코핀
13장 채식주의와 지구를 가볍게 밟기 _ 마이클 앨런 폭스
14장 유전자 변형 식품이 과연 지구를 구할 수 있을까? _ 조너선 로치
보론 탐 레건의 동물 권리 옹호론 _ 류지한, 김일수
옮긴이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