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소설
일리아스를 읽는 밤 이미지

일리아스를 읽는 밤
작가 | 부모님 | 2025.12.30
  • 정가
  • 12,000원
  • 판매가
  • 10,800원 (10% 할인)
  • S포인트
  • 600P (5% 적립)
  • 상세정보
  • 12.6x20 | 0.198Kg | 152p
  • ISBN
  • 9791194366737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손수남 시인의 새 시집 『일리아스를 읽는 밤』은 여성성과 가족의 서사를 중심으로 한 시적 성찰을 담았다. 경남 밀양 출신으로 『니는 엄마가 죽어도 모르제』 이후 9년 만에 펴낸 두 번째 시집이다. 총 4부, 65편의 시를 통해 시인은 개인의 체험을 보편적 정서로 확장하며 ‘액체 근대’ 속에서 어머니·아내·딸로서의 존재가 겪는 사랑과 상처의 리얼리티를 그려낸다. 이상옥 시인은 “이 시집은 여성의 생애를 관통하는 내밀한 기록이자, 돌봄과 양가적 정서가 교차하는 가족시학의 성취”라고 평한다.

「봄비」에서 어머니의 봇도랑과 미나리꽝은 공동체적 삶의 상징으로, 고체 근대의 질서와 모성의 원형을 복원한다. 그러나 시인은 이미 그것이 파괴된 시대를 살며, 여전히 그 전통의식 속에서 사랑하고 아파하는 여성의 자의식을 보여준다. 「배경을 살다」에서는 초등학교 입학사진을 통해 고체 근대의 질서를 회상하며, “사는 것이 늘 누군가의 배경이다”라는 고백으로 자신의 존재 방식을 성찰한다.

표제작 「일리아스를 읽는 밤」은 생의 덧없음과 통증을 ‘영웅의 전쟁사’로 비유하며, 인간의 유한성을 직시하는 동시에 연민과 화해의 서정으로 나아간다. 『일리아스를 읽는 밤』은 고체 근대의 가치와 액체 근대의 불안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사랑과 상처를 끌어안는 가족시학의 새로운 지평을 제시한다.

  출판사 리뷰

액체 근대의 사랑과 상처의 가족시학
- 손수남 시집 『일리아스를 읽는 밤』


손수남 시인이 새 시집 『일리아스를 읽는 밤』을 작가 시인선으로 출간하였다.
저자 손수남 시인은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창신대 문예창작과와 방송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2012년 거제선상문학제 백일장에서 장원을 수상하였고 같은 해 《호서문학》 우수작품상으로 등단했다. 고성문인협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 경남문인협회 이사 및 고성재능시낭송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시집으로 2016년 『니는 엄마가 죽어도 모르제』가 있다.

4부로 나뉘어져 총 65편의 신작시를 수록한 이번 시집 『일리아스를 읽는 밤』에서 손수남 시인은 여성성을 바탕으로 하는 가족시학의 리얼리티를 개인사적 체험으로 기술하되 그것을 보편성으로 끌어올리는 의미심장한 한 시적 성취를 이뤘다.
이상옥 시인(창신대 명예교수)은 “가족 테마의 이 시집은 한 여성의 생애를 관통하는 내밀한 기록이자, 동시에 동시대 여성들이 공명할 수 있는 집단적 서사를 생산해 낸다. 그는 어머니·할머니로서의 여성성을 액체 근대에서 어떻게 부딪치며 치열하게 살아내고 있는지를 아프게 보여주고 있다. 이 시집 속에서 여성성은 두 가지 방향으로 드러난다. 하나는 자녀와 손자를 향한 끝없는 돌봄과 사랑의 힘이고, 다른 하나는 부모와 시댁에 대한 또 다른 정서의 양가성이다. 이 가족시학은 전통적으로 효, 가부장, 제도적 혈연으로 이해되어온 가족의 의미를 되물으면서 액체 근대에서의 여성의 몸과 감정을 통해 겪는 생생한 사랑과 상처의 리얼리티를 드러낸다”고 평한다.

따스한 봄볕 업고 도랑물 흐르겠다
도랑가 미나리꽝 화들짝 깨나겠다
어머니 봇도랑에 앉아 미나리꽝 여미겠다

도랑가 미나리꽝 나날이 푸르겠다
향 짙은 봄미나리 한소끔 데치겠다
식구들 두레상에 앉아 봄비보다 푸근겠다
「봄비」 전문

이 시는 봄비 내리는 봄날의 풍경과 어머니와 식구들의 정다운 모습이 투영돼 있다. 이 시가 단순히 계절의 풍경을 묘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전통사회 가족의 생활세계와 그 이상을 원형성으로 드러내는 데 주목해야 한다. 시 속의 봄비와 도랑, 미나리, 두레상은 단순한 자연이나 사물의 묘사가 아니라, 공동체와 가족이 함께 누리는 고체 근대 삶의 상징적 기호들이다.
어머니로 표상되는 전통사회의 원형성은 봄비에 젖은 미나리가 도랑가에 싱싱하게 돋아나는 모습으로 생명의 회복과 풍요의 약속을 담고 있으며, 그것은 곧 가족 공동체가 유지되는 삶의 바탕을 의미한다. 또한 "어머니 봇도랑에 앉아 미나리꽝 여미겠다"는 전통사회의 가족 질서를 집약한다. 봇도랑에 앉아 미나리를 다듬는 어머니의 모습은 단순한 노동 장면이 아니라, 가정을 지탱하는 근원적 존재로서 어머니가 가족의 밥상을 준비하는 상징적 행위이다. 여기에는 어머니를 중심으로 한 가족 공동체의 조화와 돌봄의 가치가 원형적으로 투영된다. 이 시는 봄이라는 계절적 배경 속에서 전통사회 가족의 원형적 이상을 되살린다. 봄비는 생명의 기원이자 공동체의 근원적 활력을, 어머니의 손길은 가족을 지탱하는 모성의 상징을, 두레상은 공동체적 삶의 합일을 드러낸다. 시인이 그려낸 봄날의 풍경은 전통적 가족의 원형성과 그 이상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서정적 기록이라 할 수 있다.
문제는 이런 전통사회의 원형성이 액체 근대의 등장과 함께 파괴됐고 파괴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손수남 시인은 여전히 이 시 속에 등장하는 어머니의 자의식을 지니고 있다. 전통사회의 원형성을 세계관으로 지닌 시인은 오늘의 공동체적 가정의 균열을 드러내는 해체적 현대사회 속에서 그것을 복원하고자 하나 이미 시대 조류가 바뀐 새로운 패러다임의 현실 속에서 사랑하며 아파하고 고통하는 모성으로서의 여성성을 드러낸다.

시 「배경을 살다」에서는 고향동네 친구들 단톡에 올려진 초등학교 입학기념, 흑백사진 한 장을 에피소드로 과거를 회상하며 시인은 현재의 나를 본다. 반백 년이 더 지난 초등학교 입학기념 사진은 고체 근대의 한 상징이라고 해도 좋다. 가슴에 손수건 단 아이들이 교문계단에 횡렬로 서 있고 그들의 언니 오빠가 제 동생들을 감싸고 뒷줄, 보호자로 서 있는 모습은 바로 고체 근대의 질서를 잘 보여준다. 유동성과 불확실성이 일상화된 오늘날과 달리, 고체 근대에서 가족은 인간 실존의 최초이자 최후의 방패였다.
손수남의 서정적 자아는 아직도 고체 근대의 포즈를 견지하고 있다. 그것은 초등학교 입학사진에서 그 원형성을 본다. 시인은 어린 시절부터 “나는 저 조막만할 때부터 큰언니 큰누나라서 일찍부터 저 뒤에 있다”라고 고백한다. 어린 시절부터 친구들의 배경이 돼주고자 했듯이, 지금도 그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현재의 시인 목소리로 “사는 것이 늘 누군가의 배경이다 그래,”라고 인정하고 있다.

바람이 불어 꽃이 피지만 바람이 불어 꽃이 진다
모든 생의 통증은 밤을 더욱 요란하게 흔드는 고요
밭은 숨소리 속 다시 영웅의 전쟁사가 시작된다
「일리아스를 읽는 밤」 부분

이번 시집에서는 고체 근대적 세계관을 지닌 손수남 시인이 액체 근대를 살아내며 빚어내는 사랑과 상처의 가족서사가 개인적 체험을 넘어 보편성을 확보하며 하나의 표상을 만들어내는 의의를 지닌다. 「일리아스를 읽는 밤」에서 손수남은 바람이 불어 꽃이 피지만 바람이 불어 꽃이 진다는 생의 역설을 환기하며 모든 생의 통증은 밤을 더욱 요란하게 흔드는 고요라며, 밭은 숨소리 속 다시 영웅의 전쟁사가 시작된다고 노래한다. 손수남은 「일리아스」를 읽으며 인간 존재의 유한성과 존재의 의미를 근본적으로 성찰한다. 그것을 그의 이번 시집 속에서 여성성으로 가족시학을 그려낸 것이다. 가족서사에서 중점적으로 드러나는 것은 「일리아스」의 영웅들이 전장에서 피를 흘리며 쓰러지듯 생의 전장에서 인간 존재는 본질적으로 덧없음이 사라지는 존재라는 점이다. 그런 가운데서도 고체 근대로서의 세계관은 그 유한성 속에서 명예와 가치 있는 행위를 추구해야 하는 존재로서 분투를 보이는 동인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이번 시집에는 전반적으로 고체 근대의 세계관이 실존적 공간에서 성취되지 못하는 고뇌와 좌절과 탄식의 정서가 파다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민과 화해의 포즈를 보이는 것은 「일리아스」의 영웅 서사와 같은 맥락이다.
「불면」과 「질겨진다는 것에 대해」에서 드러나는 손수남의 절망과 아픔은 「어머님 영전에」에서 사랑의 복원으로 극복되고 있다는 데에 주목해야 한다. 「아, 아버지-사망진단서」에서도 그렇다.

이처럼 손수남은 새 시집 『일리아스를 읽는 밤』에서 고체 근대적 세계관을 지니고 액체 근대를 살며 자신의 가치를 명예로 여기고 액체 근대에 저항하며 사랑과 상처의 가족서사를 그려내었다. 그런 가운데서도 인간은 누구도 죽음을 피할 수 없는 존재로서 명예롭고 의미 있는 삶을 살아야 하지만, 액체 근대의 새로운 질서 속에 편입되어 전전긍긍하는 타인의 고통에 대해서도 공감하며 이해하고 연민을 가져야 함을 잘 보여준다.
액체 근대의 사랑과 상처의 가족시학을 연민의 메타포로 승화한 손수남 시인의 서늘한 시의 행간을 거닐어보자.

고향동네 친구들 단톡에
초등학교 입학기념, 흑백사진 한 장이 까톡 올라왔다
가슴에 손수건 단 친구들, 교문계단에 횡렬로 서 있고
그들의 언니 오빠가 제 동생들을 감싸고 뒷줄, 보호자다
열 살도 더 차이 나는 큰언니 큰오빠들이다
조막만한 친구들 얼굴은 알아볼 수 없고
뒷줄의 언니 오빠랑 맞춰봐야 제대로 알아볼 만큼
반백년이 훨씬 지난 사진이다
영미, 갑수, 원, 순조, 호태,
야, 나는 와 없노 묻기가 무섭게
뒤에 서 있네, 와르르 답이 온다
언니 오빠들도 뒤, 두 계단 더
배경처럼 뚝 떨어져 포청천 같은
저 아이, 내 아니다
니랑 똑 같다, 뭐 또 와르르 질책이 쏟아진다
그럼, 나는 왜 저 뒤에다 혼자 세웠는데, 따져 물었다
넌 맏이잖아 홀로서기 잘하잖아ㅋㅋ, 하고 답이 왔다
저들, 언니 오빠를 대신해 위로를 핑계로 변명을 해 온 거다
사진으로 유전자 검사를 할 수도 없어 그땐 그렇게 내가졌다

위로는 스스로 하는 것이다
나는 저 조막만할 때부터 큰언니 큰누나라서 일찍부터 저 뒤에 있다
꽃피는 봄이 가고 녹엽도 가고
어느새 낙엽 지고 으스스 바람이 분다 문득,
나도 내가 그립다
내가 인정하지 않으려 했던 그 사진을 꺼내 찬찬히 들여다본다
사는 것이 늘 누군가의 배경이다 그래,

— 「배경을 살다」 전문」

실비같이 가는 분홍발가락을 오므리고 참새 한 마리
벽·벽·벽 교실유리벽을 깨다
할딱할딱 숨을 고른다, 어쩌다 여길 들어와

나는 참,,,,,, 새

아이들은 내가 참•새라는 걸 몰라, 보여줘야 해

눈 한번 질끈 감고 유리벽 째잭 깨봐
훤하게 보이는 바깥세상 째재잭 나가봐, 창 밖
그건 아니야 자주달개비꽃 우야꼬우야꼬 목을 빼고, 창 안
여긴 아니야 참새 한 마리 파닥파닥 목을 꺾는 후회

비는 그치고, 아이들 걱정만하다 우르르 몰려나간 점심시간

자꾸만 도돌이표를 찍는 생각, 암만해도 나는 참•새
— 「참·새」 전문

  작가 소개

지은이 : 손수남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창신대 문예창작과와 방송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2012년 거제선상문학제 백일장에서 장원을 수상하였고 같은 해 《호서문학》 우수작품상으로 등단했다. 고성문인협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 경남문인협회 이사 및 고성재능시낭송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시집으로 2016년 『니는 엄마가 죽어도 모르제』가 있다.

  목차

시인의 말

1부
개오지의 열정15
장구애비가 돌아오는 저녁16
가로등 아래18
배경을 살다20
참·새22
겨울가로수23
일리아스를 읽는 밤24
불면26
눈부시게 환한 봄날28
이사30
촉32
질겨진다는 것에 대하여34
꽃자리36
아버지의 슬리퍼38
오래된 가을40
뒤태 환하다42
내가 읽어야 할 세상44

2부
말·벌47
2019년49
봄 전어50
이뿐인가 인생이여52
장어탕 한 그릇의 생각54
꽃 다 지겠다56
목어58
유혹60
당신을 듣다61
사월62
더울 때 번진다64
가이아의 가설66
속죄67
가을태풍 콩레이68
격리된 미륵산70
불치병72
오동나무에 들다74

3부
가을장마79
짝80
물의 길82
할머니라는 이름84
서울로 간 나비86
역사88
핸들이 서쪽으로 꺾이다90
참 낯설다92
역귀성94
삼대96
부탁한다98
생략된 이야기100
어머님 영전에102
거미 가족 이야기104
사량圖106
봄비108

4부
욱여넣은 말111
이명에 들다112
내 그림자의 배후를 아십니까114
통제영의 봄116
머위 쌈118
미운 다섯 살120
이바지 음식121
발가락이 닮았다122
고모124
섭리126
11월의 서정128
속눈썹이 긴 현이130
고비를 넘다132
아, 아버지134
어느 장군의 무덤136

해설 / 액체 근대의 사랑과 상처의 가족시학_이상옥138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