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고종 즉위 후 10년간 고종의 역량 성장과 주요 활동에 대해 천착한 것이다. 한국 사회에서 고종에 대한 평가는 크게 바뀌어 왔다. 대한제국이 소멸된 1910년 이후 1980년대까지는 나라를 잃고 만 무능하고 무기력한 군주라는 이미지가 오래 유지되고 있었다. 그러나 20세기 말 이후로는 고종이 변화하는 국내외 정세를 이해하고 나름의 방식으로 대처하려 하였다는 관점이 제시되었고, 그에 입각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경향은 이 책에서 나타나고 있다. 고종이 선택한 왕권강화의 방법은 경연의 활성화와 형식화된 왕실행사의 복원이었다. 1장은 勢道政治期 국왕권의 약화와 형식화된 왕실행사를 2장에서 4장은 고종의 즉위와 경연 활성화, 그리고 능행 등 왕실행사의 시행을 통한 국왕권 즉 고종의 위상 강화, 5장은 親政체제 구축을 통한 정책 변화를 설명하고 있다.			
						
				
  출판사 리뷰
				이 책은 고종 즉위 후 10년간 고종의 역량 성장과 주요 활동에 대해 천착한 것이다.
한국 사회에서 고종에 대한 평가는 크게 바뀌어 왔다. 대한제국이 소멸된 1910년 이후 1980년대까지는 나라를 잃고 만 무능하고 무기력한 군주라는 이미지가 오래 유지되고 있었다. 그러나 20세기 말 이후로는 고종이 변화하는 국내외 정세를 이해하고 나름의 방식으로 대처하려 하였다는 관점이 제시되었고, 그에 입각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경향은 이 책에서 나타나고 있다. 고종이 선택한 왕권강화의 방법은 경연의 활성화와 형식화된 왕실행사의 복원이었다. 
1장은 勢道政治期 국왕권의 약화와 형식화된 왕실행사를 2장에서 4장은 고종의 즉위와 경연 활성화, 그리고 능행 등 왕실행사의 시행을 통한 국왕권 즉 고종의 위상 강화, 5장은 親政체제 구축을 통한 정책 변화를 설명하고 있다.
어린 나이에 즉위한 고종은 신정왕후의 수렴청정과 대원군의 섭정이라는 비정상적인 정국 하에서 경연과 능행 및 여러 왕실행사를 통해 국왕으로서의 위상을 회복해 나갔다. 
고종의 국왕권 강화 노력은 經筵에서 시작되었다. 고종 3년 國婚을 계기로 進講이 실시되면서 국왕의 역할과 君臣과의 대화가 강조되었고 경연의 정치적 기능도 점차 회복되어 나갔다. 
왕실행사도 경연처럼 국왕권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능행은 매년 대규모로 거행되는 대표적인 왕실행사였다. 세도정치기 간소화되고 依例的으로 설행되던 왕실행사가 고종초기에는 영정조대의 규례에 의거하여 재정비되었으며, 이는 국왕권의 강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이처럼 고종은 경연과 왕실행사를 자신의 통치술과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로 삼으려 했다. 경연과 능행 및 여러 왕실행사를 통해 고종은 국왕으로서의 위상을 회복해 나갔던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세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육군사관학교 교수부 사학과 강사로 대학 강의를 시작하여, 서울 시립대학교, 서울 과학기술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 등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아울러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면서 국가 의례를 주제로 조선 후기 국왕과 정치사에 대해 연구하였고, 관련 사전 편찬 업무 등을 담당하였다.
			 
						
				  목차
				서론 1
제1장 勢道政治期 국왕권의 약화와 왕실행사의 형식화  15
1. 君臣 會合制度의 형식화  17
2. 經筵의 기능 축소  25
3. 국왕 주도 중요 행사의 약화 39
제2장 高宗의 즉위와 經筵의 활성화 59
1. 경연 기능의 회복 61
2. 강학과목의 議定과 의미 81
3. 고종의 史書 선호 88
4. 經筵의 君臣 會合기능 강화 95
제3장 고종 즉위 후 陵幸의 의미 변화 113
1. 능행의 기능 회복 115
2. 원거리 능행과 국왕활동의 확대 136
제4장 왕실행사의 시행과 고종의 위상강화 159
1. 대원군의 왕실행사 참여 161
2. 親耕儀禮의 부활 172
3. 고종 주도의 어진제작 187
4. 尊號加上 의식의 거행 199
제5장 親政체제의 구축과 정책의 변화 207
1. 친정체제의 확립 209
2. 고종의 국정운영과 정책의 변화 224
결 론 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