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소설
내 이름은 설목이란다 이미지

내 이름은 설목이란다
우리詩움 | 부모님 | 2025.11.20
  • 정가
  • 12,000원
  • 판매가
  • 10,800원 (10% 할인)
  • S포인트
  • 600P (5% 적립)
  • 상세정보
  • 13x21 | 0.179Kg | 138p
  • ISBN
  • 9791199494725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박태근 시인의 두 번째 시집 『내 이름은 설목이란다』는 그의 첫 시집 『내 이름은 단풍이린다』(2022)에 이어, 자연과 인간의 경계를 아우르는 독특한 시적 세계를 심화·발전시킨 작품집이다. 제목에서 드러나듯, ‘설목雪木’이라는 자연의 이미지를 통해 생명의 순환과 세대의 이음을 은유적으로 탐구하는 것이 이 시집의 중심 축을 이룬다.

『내 이름은 설목이란다』는 전체 4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에 28편, 2부에 28편, 3부에 25편, 4부에 27편 등 총 108편이 실려있다. 시인은 고집스럽게 굳이 108편을 다 싣겠다고 했다. 그의 제1시집인 『내 이름은 단풍이란다』에서도 108편의 시를 선보인 바가 있다. 108편이라는 시는 꼭 불교적 의미와 연결해서 생각할 필요는 없는 것 같다. 그리고 시인은 1시집의 제목처럼 '내 이름은 •••란다'의 형식도 꼭 지키고 싶어 했다.

  출판사 리뷰

박태근 시인의 두 번째 시집 『내 이름은 설목이란다』는 그의 첫 시집 『내 이름은 단풍이린다』(2022)에 이어, 자연과 인간의 경계를 아우르는 독특한 시적 세계를 심화·발전시킨 작품집이다. 제목에서 드러나듯, ‘설목雪木’이라는 자연의 이미지를 통해 생명의 순환과 세대의 이음을 은유적으로 탐구하는 것이 이 시집의 중심 축을 이룬다.
『내 이름은 설목이란다』는 전체 4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에 28편, 2부에 28편, 3부에 25편, 4부에 27편 등 총 108편이 실려있다. 시인은 고집스럽게 굳이 108편을 다 싣겠다고 했다. 그의 제1시집인 『내 이름은 단풍이란다』에서도 108편의 시를 선보인 바가 있다. 108편이라는 시는 꼭 불교적 의미와 연결해서 생각할 필요는 없는 것 같다. 그리고 시인은 1시집의 제목처럼 '내 이름은 •••란다'의 형식도 꼭 지키고 싶어 했다.
시인은 공사 현장에서 생각날 때마다 시를 썼다. 그렇게 모인 시가 2권을 내고도 50여 펀이 더 있을 정도이다. 평소 부지런하고 열정적인 시쓰기를 하는 그의 성품은 시 작품에도 그대로 반영이 된다.
시집 『내 이름은 설목이란다』의 특징은 토속적 정서와 현대적 감수성의 교차로 역할을 한다는 점, 구체적 일상성과 서정적 승화를 이루고 있다는 점, 토속적 언어와 방언을 활용한다는 점, 해학과 위트를 통한 삶의 긍정을 표현하고 있다는 점, 자연과 인간의 유기적 관계를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 역사적 트라우마와 집단적 기억의 표현 등에서 단연 으뜸이라는 점 등을 들어 그 우수성을 논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토속적 표현과 해학적 장면은 그의 시가 순수하고 사람 사는 냄새가 난다는 평가를 받기에 충분하다.
박태근 시인은 전통적인 토속 언어를 현대시의 감수성으로 재해석한다. 「광천 오일장」의 “싼거리”, “쇠전거리”, “철퍼덕” 같은 방언들은 단순한 향수가 아니라 한국적 정체성의 근원을 탐색하는 도구로 기능한다.
이 시집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자연물과 인간을 분리하지 않는 세계관이다. 「내 이름은 설목雪木이란다」에서는 나무의 생장 과정을 인간의 출산과 양육에 빗대어 “연두색 잎새 아기씨 되어/ 젖 내음으로 바람을 꼬드겨 쌓더만/ 연분홍 꽃 담요에 애를 낳았다”라고 표현한다. 이는 단순한 비유를 넘어 자연과 인간이 본질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박태근의 시는 한국 현대시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의 시는 도시화와 산업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시대 속에서도 한국인의 토속적인 삶의 방식을 생생하게 포착하고 있다. 토속적 표현과 해학적 장면이 실감나게 제시되어 있다.
박태근의 시는 구체적인 일상의 단면을 시적 소재로 삼는다. 「바람아 불어라」에서는 “도회지 언저리에 세간살이 차렸었지/ 그래도 새끼들은/ 억척스러운 땀방울 받아먹고 잘도 영글더라”와 같은 표현에서 도시 변두리에서의 삶의 애환을 담아낸다. 이처럼 그의 시는 추상적인 개념보다는 구체적인 생활 현장을 통해 서정을 형성한다.
「광천 오일장」에서는 “3과 8로 끝나는 날은 광천 장날이다”로 시작하여 장날의 구체적인 풍경을 생생하게 재현한다. “쇠전거리 열려/ 흥정하며 소 엉덩이 때리는 철퍼덕 소리”와 같은 표현은 오일장의 생생한 현장감을 전달하며, 일상의 평범한 순간을 시적으로 승화시키는 그의 특기를 보여준다.
박태근 시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토속적 언어와 방언의 풍부한 활용이다. 「바람아 불어라」에서 “팍팍했더냐”, “세간살이”, “터줏대감” 등의 표현은 한국 고유의 토속 언어를 보존하고 있다. 「타령가」에서는 “좀 쑤셔 병날 사내”, “조잘조잘”과 같은 의태어와 방언이 사용되어 한국어의 생생한 구어적 특질을 구현한다.
「광천 오일장」에서는 “싼거리”, “쇠전거리”, “지새울 밤” 등의 지역적 언어가 등장하여 특정 지역의 문화와 생활상을 생생하게 재현한다. 이러한 언어 선택은 표준어 중심의 시적 관습에서 벗어나 지역적 정체성을 강조하는 문학적 전략으로 작용한다.
박태근의 시에는 고된 삶 속에서도 유머를 잃지 않는 해학적 세계관이 드러난다. 「굳은살」에서는 “두툼하고 야무진 녀석/ 만난 분들과 인사하려 치면/ 손안에 박혀 먼저 나선다”라는 표현으로 굳은살을 의인화하며, 노동의 흔적을 부끄러워하기보다는 자랑스러운 증거로 재해석한다.
「타령가」에서는 “하루라도 일 못 하면 좀 쑤셔 병날 사내”라는 표현으로 한국 남성의 작업 중독적 성향을 유쾌하게 풍자한다. 이러한 해학은 고통스러운 현실을 외면하지 않으면서도 그것을 유머러스하게 극복하는 삶의 지혜를 보여준다.
박태근의 시에서는 자연과 인간이 대립적이지 않고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아 불어라」에서는 민들레를 “이 사람 저 사람 발길에 밟혀도/ 질긴 생명력 하나 믿고/ 곱게 꽃을 피웠구나”라고 표현하며, 도시 환경에서도 끈질기게 생존하는 민들레와 이민자들의 삶을 병치한다.
「내 이름은 설목雪木이란다」에서는 나무의 생명주기를 통해 인간의 삶과 세대 교체를 은유한다. “연두색 잎새 아기씨 되어/ 젖 내음으로 바람을 꼬드겨 쌓더만/ 연분홍 꽃 담요에 애를 낳았다”라는 표현은 자연의 순환을 인간의 생명과 연결하는 유기적 세계관을 드러낸다.
박태근의 시는 개인의 일상적 경험을 넘어 한국 현대사의 집단적 기억을 다루기도 한다. 「비린내 난 허리띠」에서는 “피비린내 난 호랑이 허리띠만 살펴보신다”라는 표현으로 분단의 비극과 전쟁의 상처를 은유한다.
「합방 흔적」에서는 “합방 치른 흔적/ 낙화 되어 나뒹굴어도”라는 표현으로 식민지 역사의 상처를 다루면서도, “거룩한 흔적/ 해 달 별 바람이 보듬어 갑디다”라고 하여 역사적 아픔을 초월하는 화해의 지점을 모색한다.
「바람아 불어라」에서 “팍팍했더냐”, “세간살이”, “억척스러운 땀방울”, “터줏대감” 둥, 「굳은살」에서 “굳은살 집”, “두툼하고 야무진 녀석” 등, 「타령가」에서 “좀 쑤셔 병날 사내”, “조잘조잘”, “옆구리 찌를 처妻” 라는 표현, 「광천 오일장」에서 “싼거리”, “쇠전거리”, “철퍼덕”, “지새울 밤”, “갈지자 길”, “남새밭”, “풋고추”, “잼핏잎” 등의 토속적인 언어들은 그의 시가 타인의 시에 물들지 않고 순수하게 자신만의 시어를 구현하고 있다는 점을 알게 한다.
「굳은살」에서 손바닥의 굳은살이 “명함 노릇”을 한다는 유머러스한 비유를 한 점, 「타령가」에서 “일 못 하면 좀 쑤셔 병날 사내”라는 한국 남성의 작업 중독적 성향에 대한 유쾌한 지적을 한 점,「광천 오일장」에서 아버지의 음주로 “생선은 배가 곯아 터지고”라는 과장된 표현, 「가을을 밟았다」에서 “가을을 밟았다/ 가을이 바스락 바삭바삭”이라는 의성어를 통한 유쾌한 표현 등은 그의 시의 가장 큰 특징이다.
박태근의 시에는 인공적이지 않고 순수한 인간 삶의 향기가 배어나는 장면들이 많다. 「광천 오일장」의 끝부분에는 “어머니께서 남새밭 풋고추 몇 개 잼핏잎 몇 장/ 숭덩숭덩 썰어 넣은 생선 전골/ 펄펄 끓어서 저녁 밥상에 올라온다”라는 표현이 나온다. 이 장면은 비록 아버지의 음주로 인해 생선이 상했을지라도, 어머니의 손길을 통해 가족의 밥상으로 재탄생되는 가정의 따뜻함을 보여준다.
「타령가」에서는 “모르는 소리 고개만 돌려도 새끼들이/ 별처럼 소주잔 옆에서 조잘조잘/ 지새울 밤 옆구리 찌를 처妻가 있어/ 이것이 산 재미요”라는 구절에서 가족의 소소한 행복을 발견하는 삶의 지혜가 드러난다. 이는 화려하지 않지만, 진정한 삶의 기쁨이 어디에 있는지를 보여준다.
박태근의 시는 한국 현대시에서 '지역성'과 '토속성'의 가치를 재발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의 시는 서울 중심의 문학 담론에서 소외되었던 지역의 목소리를 대변하며, 한국문학의 다양성을 풍부하게 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그의 시는 고도성장기의 한국 사회에서 사라져가는 전통적 생활방식과 가치관을 문학적으로 보존했다는 점에서 민속학적 가치도 지닌다. 「광천 오일장」과 같은 시는 단순한 서정시를 넘어 20세기 후반 한국의 지역 시장 문화를 생생하게 기록한 민속적 문서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박태근의 가장 큰 성과는 고된 현실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면서도 그것을 해학과 위트로 승화시키는 독특한 미학을 구축했다는 점이다. 그의 시는 삶의 어두운 면을 외면하지 않으면서도, 그것을 유머와 자조로 극복하는 한국 민중의 생활 철학을 예술적으로 형상화했다.
박태근의 시는 한국 현대시에서 지역성과 토속성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구체적인 일상의 언어로 서정을 형성한 독특한 성과를 남겼다. 그의 시에 나타난 토속적 표현과 해학적 장면들은 고된 현실 속에서도 유머를 잃지 않는 한국 민중의 생활 지혜를 보여준다. 또한 가족의 소소한 일상에서 발견되는 순수한 인간적 따뜻함은 물질문명이 팽배한 현대 사회에 대한 중요한 대안적 가치를 제시한다.

박태근의 문학적 성취는 지역적 특수성을 보편적 예술성으로 승화시킨 사례로서, 한국문학의 다원화와 깊이를 더하는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다. 그의 시는 한국적 정서의 근원을 탐구하려는 후대 시인들에게 지속적인 영감을 제공할 것이다.




시골살이가 그리 팍팍했더냐
도회지 보도블록에 살림 꾸리게

우리네도 무작정
도회지 언저리에 세간살이 차렸었지
그래도 새끼들은
억척스러운 땀방울 받아먹고 잘도 영글더라

민들레 너희도
이 사람 저 사람 발길에 밟혀도
질긴 생명력 하나 믿고
곱게 꽃을 피웠구나

이왕지사 왔으니
새끼들 명당 터 찾아가게
줄기 높이 세워 바람이 회오리칠 때
홀씨 의지해 보시게
- 「바람아 불어라」 전문

빈둥거리다
일터에서 주인을 잘 만나
제집 지으려 손바닥에 터를 잡았다
짓다 보니 거칠고 단단해진 굳은살 집

쓸모없이 자꾸 높아진 가옥
깎아 보기도 하고 허물어 보아도
터를 제대로 잡아 터줏대감이 되었다

두툼하고 야무진 녀석
만난 분들과 인사하려 치면
손안에 박혀 먼저 나선다
근성이라 그냥 두었더니
첫인사로 명함 노릇 잘도 한다
- 「굳은살」f 전문

  작가 소개

지은이 : 박태근
2023년 《지구문학》, 《현대시선》으로 등단시집 『내 이름은 단풍이란다』가 있음.

  목차

시인의 말 5

제1부 땀방울이 헤 웃는다
특석에 앉은 냉이 13
바람아 불어라 14
석양 15
멀건 물이 뺨을 적신다 16
바쁘단다 17
건장한 살 오르시게 18
빈 대접에 땀방울 통 19
장편掌編 소설 20
존일에 가지 22
굳은살 23
가을 아침 출근길 24
조잘거리고 싶다 25
노동가 26
건축물 27
내 이름은 설목雪木이란다 28
살아 있다 29
붙잡혀 내려앉은 금맥 30
까분다 31
또 부름세 32
땀방울이 웃는다 33
눈물 닦으세요 34
삼복에 핀 꽃들 36
허허 웃는다 38
곳간 문을 열었다 39
비바람이 미리 보여 준 가을 40
제금 나간 자식 41
현관 보초병 42
꼬락서니 43

제2부 일부러 나왔담서
상사화 47
순애純愛 48
귀가 49
들새 50
맴 속에서만 살다 51
몸 좀 아끼시오 52
연꽃 53
연緣 54
제 눈이 안경 55
비린내 난 허리띠 56
동짓날 57
한민족 58
눈님 친구들 59
홑사랑 60
일부러 나왔담서 61
봄 아씨들 62
연분홍 꽃 가락지 63
막연한 미련 64
하얀 면사포 65
장미를 껴안을까 싶다 66
신바람 67
별놈의 생각 68
입술 맛 69
한량 70
가을 잎새 71
불이다 불 72
구름 낀 가을날 73
눈 구경이나 하시게 74

제3부 창 끝에 찔렸다
봄비 77
덤으로 준 하루 78
기우 79
빨간 머리핀 80
묵상默想 81
빨간 잎새 한 장 82
홍시 맛 83
찬 날 가로수 84
창 끝에 찔렸다 85
능소화 86
하얀 투망질 87
흰 백 천지 88
겨울비 89
매화꽃 90
함께 울어 보세 91
합방 흔적 92
시집가셨나 93
태풍 94
밤꽃 96
햇빛 예찬 97
초행길에 첫 대면 98
가을을 밟았다 99
땅거미 푸념 100
술잔 대작 101
게으름 피운 날 102

제4부 이름표는 달아 줘야지요
땅따먹기 105
땅 허물고 길 허물어 106
타령가 108
어르신 뒷심 109
이게 꿈이다 110
사진 한 장 111
가을 탄 사내 112
이름표는 달아 줘야지요 113
광천 오일장 114
시상詩想 116
빈 휠체어 끄집고 집에 왔습니다 117
상尙 향饗 120
조숙한 진달래꽃 121
개망초 122
정월에 온 봄 전령 123
정월 초사흗날 울 엄마 124
고향을 먹었다 125
아지랑이 날갯짓 126
담양 관방제림 127
모내기 128
생강나무 꽃 129
보릿고개 130
이럴 때도 있어야지요 131
까마귀 울음소리 132
뭉게구름 134
가을 배 한 척 135
시작은 있어도 끝이 없다 136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