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이 시대 사는 게 버거운 중년, 가정을 위해 살아온 그들이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막막할 때, 이시형 박사가 건네는 인생의 용기와 지혜가 담긴 책이다. ‘국민 의사’로 이 시대 모두에게 존경받는 이시형 박사가 나이 90세를 넘기고 ‘100세 인생’을 바라보며, ‘국민 아버지’로서 불안한 시대를 위태롭게 살고 있는 이름 없는 중년을 위해 펜을 들었다. 그동안 대중에게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정신과 의사이자 뇌 과학자로서 삶의 의미를 찾는 중요한 메시지를 많이 전했지만, 이 책에서는 자식뻘인 ‘중년’을 위해 특별히 그맘때 필요한 마음과 용기, 건강, 도전과 위로를 90년 인생 경험을 통해 터득한 지혜로 전했다. 마음의 병을 겪은 중년 환자들과의 상담, 수십 년간의 심리학적 통찰을 바탕으로 100세 시대를 살아가는 그들에게 삶을 새롭게 바라보도록 했다. 지금의 사회에선 40대~70대까지 중년이라고 일컫는다. 중년의 나이 폭이 넓어졌다. 살다 보면 누구나 맞이하는 중년이 되고 보니 우리는 인생에서 미처 생각지도 못한 크고 작은 문제들을 만난다. 당황스럽게 찾아오는 노안과 희끗 보이는 흰머리를 시작으로 이제 열정적으로 일했던 일터를 떠나 정년 퇴임을 해야 하는 시간도 많이 남지 않은 것이다. 직장과 가정에서 내가 지켰던 자리가 모두 흔들리기 시작한다. 그런데 우리는 나이가 든다는 것과 함께 불안하게 스며드는 이 상황과 감정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배운 적이 없다. 국민 정신과 의사 이시형 박사는 이미 오래전에 이 시기를 보내고, 이제는 당신 자녀들이 그 터널을 지나고 있다. 아버지의 마음으로 그간 잘한 것, 후회되는 것, 배운 것, 지금도 공부하고 있는 것을 총망라하여 회복과 자존의 심리 인생 수업을 책에 담았다.
출판사 리뷰
이 시대의 어른, 이시형 박사가
나이 드는 것이 두렵고 불안한 중년에게 보내는 인생의 지혜!
“진짜 공부는 이제부터 시작이네.
나이 들수록 더 중요한 건 살아가는 자세라네!”
- 인생은 생각보다 길다. 겁먹지 말고 이렇게만 살아라!
대한민국 국민 정신과 의사 이시형이
불안한 시대의 중년들에게 건네는 회복과 자존의 인생 공부!
이 시대 사는 게 버거운 중년, 가정을 위해 살아온 그들이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막막할 때, 이시형 박사가 건네는 인생의 용기와 지혜가 담긴 책 『아버지,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나요?』 이 출간되었다.
‘국민 의사’로 이 시대 모두에게 존경받는 이시형 박사가 나이 90세를 넘기고 ‘100세 인생’을 바라보며, ‘국민 아버지’로서 불안한 시대를 위태롭게 살고 있는 이름 없는 중년을 위해 펜을 들었다. 그동안 대중에게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정신과 의사이자 뇌 과학자로서 삶의 의미를 찾는 중요한 메시지를 많이 전했지만, 이 책에서는 자식뻘인 ‘중년’을 위해 특별히 그맘때 필요한 마음과 용기, 건강, 도전과 위로를 90년 인생 경험을 통해 터득한 지혜로 전했다. 마음의 병을 겪은 중년 환자들과의 상담, 수십 년간의 심리학적 통찰을 바탕으로 100세 시대를 살아가는 그들에게 삶을 새롭게 바라보도록 했다.
지금의 사회에선 40대~70대까지 중년이라고 일컫는다. 중년의 나이 폭이 넓어졌다. 살다 보면 누구나 맞이하는 중년이 되고 보니 우리는 인생에서 미처 생각지도 못한 크고 작은 문제들을 만난다. 당황스럽게 찾아오는 노안과 희끗 보이는 흰머리를 시작으로 이제 열정적으로 일했던 일터를 떠나 정년 퇴임을 해야 하는 시간도 많이 남지 않은 것이다. 직장과 가정에서 내가 지켰던 자리가 모두 흔들리기 시작한다. 그런데 우리는 나이가 든다는 것과 함께 불안하게 스며드는 이 상황과 감정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배운 적이 없다. 국민 정신과 의사 이시형 박사는 이미 오래전에 이 시기를 보내고, 이제는 당신 자녀들이 그 터널을 지나고 있다. 아버지의 마음으로 그간 잘한 것, 후회되는 것, 배운 것, 지금도 공부하고 있는 것을 총망라하여 회복과 자존의 심리 인생 수업을 책에 담았다.
“이 책은 중년 세대를 위한 아버지의 고언이라고 생각하면 좋겠네. 급변하는 이 시대를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90년을 산 나의 경험을 바탕으로, 내 자녀들에게 꼭 알려주고 싶은 구체적인 실천 방법을 소상히 담았다네. 이 책을 읽는 것만으로도 인생 설계와 건강에 도움이 되길 바라는 욕심에서. 나 역시 이 시기를 지나며 ‘그때 이렇게 했더라면 좋았을걸’ 하고 후회한 적이 많아. 주변에서도 노년을 위한 준비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네.”
인생 후반전이 있다는 것이 얼마나 감사한가!
중년에는 진짜 자기 철학과 전략, 인생 지도가 필요하다
이시형 박사는 오늘날 대한민국의 눈부신 경제 발전을 이루어낸 영광스러운 세대, 지금의 중년에게 존중을 표한다. 수고한 그들의 어깨가 여전히 무겁고 힘들면 안 된다고, 사회와 가정에서도 알아주지 않는 그들의 노고와 고충을 애정 어린 시선으로 헤아리고, 정신과 의사로서 전문적이고 지혜로운 처방전을 써내려갔다. 이 책의 부제인 ‘대한민국 자녀가 묻고, 90세 아버지가 답하다’가 관통되는 글들이다.
인생의 전환점을 맞이한 중년, 이제는 누군가의 부모, 배우자 이전에 ‘나’로 살아갈 시간이다. 내 마음을 관리하고, 나에게 맞는 삶의 목표를 다시 세우고, 그에 맞는 공부를 시작하고, 나를 위해 시간 관리를 하고 인관관계를 재정립해야 한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나에게 이러한 전환점이 주어진 것, 가정경제를 책임지느라 일했던 그간의 연륜을 바탕으로 이제 내가 정말 하고 싶었던 일에 다시 도전할 수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으니 얼마나 감사할 일인가를 알아차리는 것이다. 중년 이후에야 진짜 자기만의 삶의 철학과 전략이 필요하다. 차근차근 준비한다면 제2의 화양연화를 맞이할 수 있음을 이시형 박사가 90년 인생을 통해 알려준다.
이 책은 크게 2부로 구성되었다. 제1부는 3장으로 나뉘어 아버지 이시형에게 인생을 묻고 답한다. 제2부에서는 이시형 박사의 90년 인생 동안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중년의 인생 공부를 공개했다. 그리고 책 말미에 아버지 이시형과 아들, 딸, 그리고 오랫동안 이시형 박사를 모신 비서가 서로에게 진솔한 편지를 썼다. 아버지와 자녀의 편지는 살면서 처음으로 주고받은 것으로 다소 쑥스럽고 어색한 부분마저도 정겹고 애틋하다. 꾸밈없고 담백한 속내는 치유의 감동으로 스며든다. 부모와 자녀로 살아오며 가졌던 오해, 생각을 알게 되고, ‘고맙다’ ‘미안하다’ ‘존경합니다’ 이 한마디로 모든 것이 해소된다. 대한민국 여느 가정에서도 서로에게 꼭 한번 편지 쓰기를 추천한다.
*** 아버지 이시형과 중년이 된 아들, 딸, 비서가 인생 처음 쓴 편지 수록!***
딸아,
아버지는 여전히 서툴고 무뚝뚝하지만 이렇게라도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네 엄마가 떠난 세상은 너무나 낯설고 허전하다. 네가 있어 내가 잘 버틴다.
_아버지, 이시형
요즘도 국민의사(?)의 책무를 다 하시느라 고생 많으신 아버지, 언행일치 모습을 매일 보여주심에 감사합니다. 이시형 박사의 아들로 사는 부담을 전혀 주지 않은 아버지, 또한 감사드리고 존경합니다.
_아들, 이재학
아버지란 존재가 얼마나 크고 위대한지, 나이가 들어갈수록 더 깊이 느끼게 됩니다. 아버지의 버텨내는 힘, 비껴가는 여유로운 지혜를 배워가면서 겸허한 태도로 인생의 후반기를 더 잘 살아보겠습니다.
_딸, 이재정
이번 책 『아버지, 100년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나요?』 중년을 살아가는 분들에게 보내는 인생 선배로서의 조언이었지만, 30대인 저에게도 깊은 울림이 있었습니다. 내가 사는 삶을 돌아보고, 앞으로 살아갈 방향을 다시 고민하게 했습니다. 박사님의 삶 전체가 인생 교과서 같습니다.
_비서, 신동윤

후반전이 있다는 것이 얼마나 다행인가. 전반전 스코어가 형편없이 나왔다면 이를 잘 분석, 평가하여 후반전 준비를 잘해 만회할 기회가 있다는 것이 얼마나 고맙고 다행한 일인가. 성공적인 인생은 단판에 모든 것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네. 잊지 말게. 100년 인생에 후반전이 있다는 것을! 모든 운동 시합에도 최후의 승자가 승자야. 전반전이 아무리 화려했어도 후반전이 시원찮으면 인생 실격이야. 인생은 직선적이거나 단선적인 행로가 아니야. 누구나 오르막 내리막을 반복한다네.
많은 사람이 치매에 대한 공포를 갖고 있지. 어쩌다 깜빡하는 일이 생기면 ‘이게 혹시?’ 덜컥 겁이 나지. 하지만 누구나 경험하는 고령의 신호일 뿐일세. 치매라고 다 심각한 문제도 아니 고. 경증인 경우는 의사, 변호사 등 전문직도 수행할 수 있다네. 그러나 대부분 치매라면 인생이 끝난 것처럼 겁을 먹지. 그래서 의학계에선 요즘 ‘인지증’이라고 부른다네. 치매 진단을 받으려면 상당히 중증으로 진행되어 의사의 진단이 아니더라도 누가 봐도 알 수 있는 정도가 되어야 한다는 거야.
작가 소개
지은이 : 이시형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정신과 의사이자 뇌과학자, 그리고 한국자연의학종합연구원 원장이자 한국의미치료학회 회장. 경북대 의대를 졸업하고 미국 예일대에서 정신과 신경정신과학박사후과정(P.D.F)을 밟았으며, 이스턴주립병원 청소년과장, 경북의대·서울의대(외래)·성균관의대 교수, 강북삼성병원 원장, 사회정신건강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다. 실체가 없다고 여겨지던 ‘화병(Hwa-Byung)’을 세계 정신의학 용어로 만든 정신의학계의 권위자로 대한민국에 뇌과학의 대중화를 이끈 선구자이다. 2007년 75세의 나이에 자연치유센터 힐리언스 선마을을, 2009년에는 세로토닌문화원을 건립하고 국민들의 건강한 생활습관과 행복한 삶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다. 수십 년간 연구, 저술, 강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열정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 『이시형의 인생 수업』 『신인류가 몰려온다』 『행복도 배워야 합니다』 『내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공저)』 『어른답게 삽시다』 『농부가 된 의사 이야기』 『세로토닌하라!』 『배짱으로 삽시다』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죽음의 수용소에서』 『삶의 의미를 찾아서』 등이 있다.
목차
서문 _ 이름 없는 중년 세대에게 보내는 아버지의 편지
제1부____ 아버지에게 묻다
1장. 중년이 불안한 너에게
중년의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인생 반을 살고 보니, 더 올라가야 할지, 내려가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50대가 되고 보니 무거운 고민이 너무 많아 잠이 안 옵니다
60세가 되면 안정될 줄 알았는데… 여전히 방황하고 있습니다
경제적으로 풍족하지 못해, 가족에게 미안합니다
대학 졸업한 자녀들이 독립을 안 합니다
후반전 인생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합니다
90세까지 현역으로 사시는 모습이 부럽습니다. 비결이 뭔가요?
70대를 대비해선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요?
80대 부모님을 보면서 저의 미래도 걱정됩니다
죽을 때가 다 되었다며… 무기력한 80대 부모님을 지켜보는 게 마음 아파요
나이 들수록 우물 안 개구리가 되어갑니다
진정한 행복이란 무엇인가요?
싱글인 사람들은 노후를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2장. 늙는 것이 두려운 너에게
늙는 게 너무 두려워요
치매가 찾아올까 두려워요
경도인지장애(MCI) 판정을 받고 하늘이 무너집니다
부모님이 두 분 다 치매를… 제게도 치매 유전자가 있나요?
노화가 너무 빨리 진행돼서, 자신감이 바닥이에요
장수하고 싶지만, 너무 오래 살까 봐 두렵기도 해요
품격 있는 노인이 되려면 어떻게 살아야 하나요?
무기력하고 의욕이 없어요
나이 들어도 젊은 지능을 유지할 수 있나요?
노화와 죽음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싶어요
3장. 멋지게 나이 들기
서서히 찾아오는 백발을 즐기는 법을 알려주세요
75세 아버지께서 일도 취미생활도 없이 집에만 계시니 답답해요
나이 들면 도움을 청하는 용기도 필요할 거 같아요
건강하게 나이 들려면 어떤 습관을 익혀야 하나요
아이들이 독립을 시작하니 빈 둥지 증후군에 시달려요
나이 들수록 불면증이 너무 심해집니다
정신과 의사로서, 마음을 움직이는 힘은 무엇이라 생각하세요?
제2부____ 진짜 공부는 이제부터 시작이네
불행을 만드는 것은 상황이 아니라 마음가짐이야
중년, 변화 속에서도 행복을 찾는 법
‘멈춤의 기술’도 배워야 하네
80세가 되면 당신은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을까?
나이 들어 하는 공부가 더 잘되는 이유
뇌를 움직이는 마음의 힘
지금 당신의 체온은 몇 도인가?
내 마음과 영혼의 힐링, 명상
우리가 미처 몰랐던 우뇌의 힘
의식적으로 ‘긍정 연습’을 하게나
내 마음의 탄력도는 얼마인가?
한 박자 더디 가도 늦지 않네
“하하호호” 15초 웃음이 건강을 지킨다네
웃을 일을 찾는 연습하기
많이 감탄하고, 많이 감동받는 휴가
휴가에서 복귀한 당신, 제대로 돌아오는 것도 중요하네
담담한 맛, 본질의 매력을 즐기기
삶 속에서 배운 것을 응용하게나
나에게 쓰는 편지, 치유의 시작
영혼의 채움을 위한 디지털 디톡스
짜증을 다스리는 방법, 36계 줄행랑
가족의 아름다운 응원
작심삼일, 뭐 어떻습니까? 또 하면 되죠
대한민국의 가장 뛰어난 가치, 공감력
사랑하는 나의 딸에게
나의 아들에게
아버지께 _ 아들 이재학
사랑하는 아버지께 _ 딸 이재정
박사님께 _ 비서 신동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