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타로 마스터이자 어디선가 본 것 같지만 그 어디에도 없는 풍경을 그리는 한국화가 전수민이 타로 에세이 『타로의 위로, 그림의 대답』을 펴냈다. 이 산문집은 시중에 흔한 타로 가이드(설명서), 타로 입문서가 아니다. 오히려 타로를 통한 “자신의 내면 들여다보기”, “자신의 삶 이해하기”, “자신의 상처 치유하기”에 관한 세상에서 유일한 ‘타로 에세이’라고 할 수 있다. 십수 년 동안 타로 심리 상담을 해온 저자는 타로가 어떻게 심리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이론이 아닌 그동안의 상담 사례를 중심으로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이야기를 풀어낸다.
<1부. 내 마음이 나도 낯설 때>는 성장기 아이들이 겪는 여러 가지 마음의 상처를 다루고, <2부.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에서>는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가족의 구성원들이 그 관계 속에서 겪어야 하는 갈등과 마음의 상처를 다루고, <3부. 사랑이라는 질문 앞에서>는 연애와 결혼 안에서 겪게 되는 갈등과 마음의 상처를 다루고, <4부.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는 이별과 상실에서 오는 마음의 상처를 다루고, <5부. 세상 속에서 길을 잃었을 때>는 사회 속에서 개인이 겪어야 하는 마음의 상처와 갈등을 다룬다. 그리고 <6부. 타로 카드 의미 읽기>는 부록의 성격으로 타로 카드에 관한 입문서라고 할 수 있다.
출판사 리뷰
자신을 들여다보고 삶을 이해하고 상처를 치유하다
― 전수민 타로에세이 『타로의 위로, 그림의 대답』
타로 마스터이자 어디선가 본 것 같지만 그 어디에도 없는 풍경을 그리는 한국화가 전수민이 타로 에세이 『타로의 위로, 그림의 대답』(달아실 刊)을 펴냈다.
이 산문집은 시중에 흔한 타로 가이드(설명서), 타로 입문서가 아니다.
이 산문집은 오히려 타로를 통한 “자신의 내면 들여다보기”, “자신의 삶 이해하기”, “자신의 상처 치유하기”에 관한 세상에서 유일한 ‘타로 에세이’라고 할 수 있다.
십수 년 동안 타로 심리 상담을 해온 저자는 타로가 어떻게 심리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이론이 아닌 그동안의 상담 사례를 중심으로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이야기를 풀어낸다.
<1부. 내 마음이 나도 낯설 때>는 성장기 아이들이 겪는 여러 가지 마음의 상처를 다루고, <2부.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에서>는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가족의 구성원들이 그 관계 속에서 겪어야 하는 갈등과 마음의 상처를 다루고, <3부. 사랑이라는 질문 앞에서>는 연애와 결혼 안에서 겪게 되는 갈등과 마음의 상처를 다루고, <4부.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는 이별과 상실에서 오는 마음의 상처를 다루고, <5부. 세상 속에서 길을 잃었을 때>는 사회 속에서 개인이 겪어야 하는 마음의 상처와 갈등을 다룬다. 그리고 <6부. 타로 카드 의미 읽기>는 부록의 성격으로 타로 카드에 관한 입문서라고 할 수 있다.
저자 전수민은 이 책을 이렇게 설명한다.
“이 책은 타로를 예언의 도구로 여기지 않는다. 그보다는 자신을 들여다보고, 삶을 이해하며 치유해가는 하나의 그림 언어로 삼고자 했다. 미술치료의 시선으로 타로를 바라보고, 한국화가의 손끝으로 그 감정을 풀어내며, 삶을 다른 결로 어루만져보고 싶었다.”
“인생에 정답은 없다. 다만 삶이 흐릿하고 방향이 보이지 않을 때, 한 장의 카드, 하나의 그림이 당신의 마음을 가만히 쉬어가게 해주기를 바란다. 수십 번의 숨결을 실어 그린 붓질처럼, 카드 한 장에도 셀 수 없이 많은 삶의 조각들이 담겨 있다.”
“이 책이, 여러분이 스스로의 마음을 조용히 마주하고 자신의 삶을 좀 더 다정히 들여다보는 데 작은 불빛이 되어주기를, 삶의 어느 모퉁이에선가 잠시 멈춰 선 당신에게 조용히 등을 토닥이는 손길이 되기를 바란다.”
이번 에세이를 읽은 최돈선 시인은 이렇게 소감을 밝혔다.
“나는 전수민의 그림을 좋아한다. 전수민의 그림엔 꿈의 소년이 살고 있기 때문이다. 나는 전수민의 글을 그리워한다. 전수민의 글엔 어둠 한가운데서도 신비의 문이 열리기 때문이다. 나는 전수민의 삶을 사랑한다. 어떠한 절망도 빛으로 바꾸는 힘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오늘도 나는 전수민을 보고, 전수민을 읽고, 전수민의 아름다운 별을 쳐다본다.”
타로에 입문하려면 시중에 많은 타로 입문서 중 하나를 읽으면 된다. 타로에 관한 기술적인 설명은 수많은 입문서가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타로가 결코 미래를 예언하거나 점을 보는 도구가 아니고, 오히려 “내 안의 나를 볼 수 있게 하고, 내 삶을 이해하게 해주고, 내 안의 상처를 치유해주는, 그림 언어”라는 타로의 본질, 인문학으로서의 타로를 이해하고 싶다면, 당신은 반드시 이 책을 읽어야 한다.
독자가 이 책을 왜 읽어야 하냐고 묻자, 전수민 작가는 이렇게 답한다.
“위기는 단지 고통이 아니다. 위기는 나를 다시 태어나게 하는 문이다. 그 문 앞에서 우리는 스스로에게 묻게 된다. ‘나는 이 문 앞에서 주저앉을 것인가, 아니면 이 문을 열고 새로운 나를 마주할 것인가.’ 그리고 그 질문 앞에서 용기를 낸 사람만이, 그 위기를 인생의 전환점으로 바꾸게 된다.”
이 말 속에 어쩌면 이 책을 읽어야 하는 답이 있는지 모르겠다. 정답은 물론 독자인 당신의 몫이겠지만.
작가 소개
지은이 : 전수민
어디선가 본 것 같지만 그 어디에도 없는 풍경을 그리는 한국 화가이다. 지난 20년간 작품 활동과 동시에 미술치료와 타로 상담을 해왔다.전통 한지와 우리 재료를 이용해 우리 정서와 미지의 세계를 표현한다. 한국은 물론 미국 워싱턴 D.C. 한국 문화원, 프랑스 아리랑 갤러리, 이탈리아 베네치아 레지던스, 중국 LOTI X HUMMI 디자인 박물관 등의 해외 초대전을 비롯한 20회의 개인전 그리고 일본 나가사키현 미술관, 프랑스 숄레 등의 단체전 150여 회, 각종 해외 아트 페어 참여 등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해오고 있다.2010년부터 시각장애 아동들을 위해 봉사활동을 시작했는데,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미술치료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소년원과 군부대 힐링캠프에서 미술치료를 하면서 타로치료도 병행하게 되었다.2016년 그림 수필집 『이토록 환해서 그리운』, 2017년 여행수필집 『오래 들여다보는 사람』을 출간했고 2018년부터 2019년까지 매주 경향신문에 칼럼을 기고했다.현재 소도마을 예술인마을에 살면서 공예미술학교 신농학당 교장으로 근무하며 타로 아카데미를 운영 중이다.
목차
프롤로그 : 삶의 모퉁이에서 만난 타로 상담 그림 치유 이야기
1부. 내 마음이 나도 낯설 때_ 성장기 감정의 미로 속에서 타로가 건넨 첫 질문
벌레를 먹는 아이: SNS 중독과 관심 욕구
무너지지 않으려고 공격하는 아이: 청소년 폭력
쓰러진 1학년: 완벽주의에 짓눌린 내면
소년원에서 만난 눈빛: 분노 이면의 사랑
너는 이미 빛을 품고 있어: 청소년 따돌림
게임 속에선 내가 누군지 확실해요: 게임중독 아동
2부.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에서_ 상처와 사랑이 동시에 존재하는 관계의 타로 상담
엄마처럼 살기 싫어요: 엄마를 닮은 딸의 성장 타로
세 채의 집, 그리고 한 장의 칼
아빠는 왜 이제야 친구하자고 해요?: 유년 시절 방임
따뜻한 불륜과 차가운 가정폭력: 선택 이전의 내면
방에서 안 나오는 아이: 말문을 닫은 아이
3부. 사랑이라는 질문 앞에서_ 연애, 성, 자존감이 얽힌 감정의 실타래
28세 모태솔로 여성의 물음: ‘나, 사랑할 수 있을까요?’
왜 나만 힘든 거죠?: 상간 피해자의 자존감 회복
끝났다는 말이 아니라, 그만하겠다는 말: 권태기 연애의 타로 리딩
그녀는 결혼을 믿지 않았다: 비혼주의
나, 이대로 괜찮을까요?: 성 정체성에 혼란이 온 청소년
4부.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_ 애도, 상실, 무기력 속에서 타로가 건넨 빛
생후 2개월 아이를 떠나보낸 아버지: 정죄 아닌 애도의 상담
마지막 문 앞에서: 한 청년의 자살 시도
치매 노모를 떠나보낸 외동딸
반려동물의 죽음 이후, 말을 잃은 아이
영정사진을 준비하며: 죽음을 준비하는 80대 여성의 리딩
5부. 세상 속에서 길을 잃었을 때_ 사회와 개인 사이에서 갈등하는 사람들을 위한 타로 상담
조용한 무기: 타로와 그림으로 군대 속 청년을 구하다
진짜 하고 싶은 게 뭘까요?: 청년의 진로 방황
정리해고 후, 나는 쓸모없어졌나요?: 중년 남성의 자존감 회복
여기까지가 내 한계인가요?: 번아웃에 빠진 작가
신내림을 고민하는 여인: 타로로 만난 삶의 진짜 질문
나는 왜 항상 피해자일까요?: 반복되는 인간관계 패턴 해석
6부. 타로 카드 의미 읽기_ 그림 연상법으로 보고 그리면서 상담하는 비결
유니버셜 웨이트 타로 카드
‘나만의 타로 카드’로 길들이는 법
메이저 아르카나
마이너 아르카나
타로 카드 배열(스프레드)
상담자가 갖춰야 할 네 가지 덕목
타로와 그림치료의 접목 그림연상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