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강종헌은 일본에서 태어나 한국에서 유학하였다. 서울의대 본과 2학년 재학 중 1975년 재일동포 조작간첩단 사건으로 구속되어 사형선고를 받는다. 13년 수형 기간 중 5년을 사형수로 수갑을 차고 지냈다. 석방 후 1989년 일본으로 돌아가 통일운동에 기여한다. 재심을 청구하여 2015년 대법원에서 최종 무죄 확정 판결을 받았다. 이후에도 조국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활동해왔다.
이 책은 인권의학연구소와 고문트라우마연구회가 주최한 ‘2025 유엔 고문피해자 지원의 날’ 기념 초청 강연 <나의 삶, 나의 길>의 내용을 기록하여 정리한 것이다. 이날 강연에서 자신의 성장 과정에서 겪은 정체성 혼란, 한국으로 유학을 오게 된 동기, 고문과 구속 이어지는 사형선고, 사형수로서의 구금 생활 등에 대해서도 담담히 밝힌다.
출판사 리뷰
이 책은 의대생으로 사형수 생활을 지낸 강종헌에 대한 이야기다. 강종헌은 일본에서 태어나 한국에서 유학하였다. 서울의대 본과 2학년 재학 중 1975년 재일동포 조작간첩단 사건으로 구속되어 사형선고를 받는다. 13년 수형 기간 중 5년을 사형수로 수갑을 차고 지냈다. 석방 후 1989년 일본으로 돌아가 통일운동에 기여한다. 재심을 청구하여 2015년 대법원에서 최종 무죄 확정 판결을 받았다. 이후에도 조국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활동해왔다.
이 책은 인권의학연구소와 고문트라우마연구회가 주최한 ‘2025 유엔 고문피해자 지원의 날’ 기념 초청 강연 <나의 삶, 나의 길>의 내용을 기록하여 정리한 것이다. 이날 강연에서 자신의 성장 과정에서 겪은 정체성 혼란, 한국으로 유학을 오게 된 동기, 고문과 구속 이어지는 사형선고, 사형수로서의 구금 생활 등에 대해서도 담담히 밝힌다.
그의 삶은 우리 시대 어두운 과거의 한 단면이다. 생명을 살리고자 의사의 길을 걷던 한 청년은 불의한 국가폭력에 의해 죽음의 문턱에 다다른다. 긴 시간이 흘러 삶을 회상하는 자리에서 인간의 존엄을 얘기한다.
목차
추천사 “우리는 하나입니다” _함세웅 … 7
강연을 시작하며, 인간의 존엄에 대해 … 12
성장 과정 … 20
모국 유학의 길 … 32
고문과 사형수 생활 … 38
어디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존재 … 54
민주주의와 통일을 염원하며 … 62
법률적 무죄와 사회적 무죄 … 74
인간의 존엄을 지키기 위해 … 84
묻고 답하다 … 98
상고이유서 … 106
보론
재심 법정의 구도자 _이화영 … 108
국가폭력에 의한 진실의 왜곡 _류영준 …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