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정영희
고려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강원대학교 ∙ 한림대학교 ∙ 수원대학교에서 매스미디어, 대중문화, 문화콘텐츠 분야를 강의하고 있다. 석사학위 이후 리서치 회사에서 마케팅 및 여론조사를 담당했다. 박사학위 논문 「한국사회의 변화와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연구」에서는 사회 변동이 텔레비전 드라마 소재와 주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관심사는 드라마 소재의 변화와 그 역사-사회적 의미, 수용(자) 분석이며, 한국 언론의 젠더 ∙ 세대 ∙ 계층 담론도 연구하고 있다. SBS와 YTN 시청자평가원으로 옴부즈맨 프로그램에 출연하였으며, 최근 논문으로는 한국 언론의 '세 모녀' 사건 보도 프레임과 담론적 의미(2024), 학교폭력 경험과 드라마적 재현에 관한 수용자 인식 연구(2024)가 있다.
지은이 : 한희정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부교수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과(학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석사),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박사)에서 수학했다. 서울시 교통방송에서 라디오 PD로,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사무관으로 일했다. 책으로는 『미디어 허스토리 3.0』(2023, 공저), 『들뢰즈 이후 페미니즘』(2023, 공역), 『차별과 혐오를 넘어서』(2022, 공저), 논문으로 "픽션사극 <밤에 피는 꽃>(MBC)의 서사 분석: 헤테로토피아와 헤테로크로니아 개념을 중심으로"(2025) 등이 있다. 미디어와 젠더, 소수자 재현문제가 주요 연구 주제이다.
지은이 : 최이숙
동아대 젠더 어펙트 연구소 특별연구원이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ㆍ박사 학위를 받았고, 동아대 사회학과 강의전담교수로 재직했었다. 주로 여성주의 관점에서 언론의 역사, 저널리즘 현상, 디지털 공간에서의 여성들의 운동(movement)과 일상을 다룬 연구를 수행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산업화 시기 젠더화된 뉴스 생산노동과 여성언론인의 정체성 관리」(2009, 박사학위 논문), "'미투 운동(#MeToo)' 이후 젠더이슈 보도의 성과와 한계"(2020), "팬데믹 시기, 한국사회는 아이들을 잘 돌봐왔는가?: 초등 돌봄 제도와 원격교육을 중심으로"(2022), "연결된 엄마들, 확장된 목소리, 새로운 정치 주체의 탄생"(2023) 등이 있다.
지은이 : 원숙경
독립 연구가로, 현재 동의대학교와 경남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저서로는 『'좋아요'와 '싫어요'를 넘어』(2025, 공저), 『조선 후기 대항공론장』(2015), 『삶의 기회』(2006, 공저)가 있으며, 역서로는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 가이드』(2022, 공역)가 있다. 최근 주요 논문으로는 "미디어 약자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현황과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2024), "AI 시대 시민교양교육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제와 방향성 탐색"(2023, 공저), "Analyzing The New York Times Editorials on Social Distancing During COVID-19 Pandemic"(2023, 공저) 등이 있다.
지은이 : 신정아
백석예술대학교 공연예술학부 극작과 초빙교수다. 대학에서 철학과 영문학을 전공했고, TV 교양다큐멘터리 작가로 약 400여 편의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제작했다. 디지털 시대 TV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정체성과 담론 연구를 진행하여 문화콘텐츠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콘텐츠 기획과 제작, 비평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병행하고 있다. 콘텐츠를 통한 사회적 실천과 연대에 관심이 많아서 '콘텐츠 액티비즘'이라는 담론을 개발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 KBS 시청자평가원,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이사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뉴미디어와 스토리두잉』(2019), 『AI와 더불어 살기』(2021, 공저), 『디지털 소양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2024, 공저), 『영화란 무엇인가』(2022, 공저), 『한중일 영화 속 근대 조선의 풍경』(2021, 공저), 『미디어 격차』(2021, 공저), 『문화콘텐츠와 트랜스미디어』(2016, 공저) 등이 있다.
지은이 : 조재희
서강대학교 지식융합미디어대학 교수다. 정보통신 기술의 수용과 전략적 활용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왔으며, 특히 미디어 취약계층의 mHealth 수용과 이용을 중심 주제로 삼고 있다("Relationships between Smartphone Use Motives and Social Capital among Elderly People"(2024), "노년층의 스마트폰 사용 동기와 사회자본 간의 관계 분석"(2025) 등). 모바일 헬스 앱 사용이 개인의 심리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들은 다수의 SSCI급 저널에 게재됐다(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등). 현재 NRF SSK 과제 <실감미디어 환경 기반 정신건강관리 플랫폼 고도화 및 교육 확산 연구>의 책임자로서 여러 프로젝트를 총괄 중이다.
지은이 : 김미경
청운대학교 미디어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다. 2000년 중앙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 석 ∙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2년 University of North Texas의 Dept. of RTVF에서 리서치 펠로를 마무리하였다. 충남미디어발전위원, 지역방송발전위원, 충청언론학회장과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장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미디어 격차』(2018, 공저), 『인공지능과 창의성』(2025) 등 다수이다.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수용인식 연구: 가치기반수용모델을 중심으로"(2025), "Impact of Information Quality Perception of Generative AI on Critical Thinking: The Mediating Roles of Recommendation Behavior and Self-Efficacy"(2025) 등 다수의 논문을 출간하였다.
지은이 : 차유리
서강대학교 미디어융합연구소 책임연구원이다. 주요 관심사는 디지털 미디어심리 기반 전략컴(헬스컴), 사회 소수와 책임, UI/UX다.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총 28편의 논문을 게재했고(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Public Relations Review 등), 서강언론학술상 외로 한국언론학회 신진학자 우수논문상(Top Paper Award)을 두 차례 받았다. 저서로는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2022, 공저), 『경기도 노인 스마트 기기 활용 교육 지원계획 수립 연구』(2023, 공저), 『AI가 바꾸는 광고와 PR』(2024, 공저) 등이 있다. 현재 NRF SSK 과제 <실감미디어 환경 기반 정신건강관리 플랫폼 고도화 및 교육 확산 연구>에 참여하며, 이론을 사회적 실천으로 잇는 역할도 확장 중이다.
지은이 : 문현영
육군사관학교 영어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20세기 미국 전쟁사와 젠더 연구를 주요 분야로 삼고 있다. 육군사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하고,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에서 미국학 석사, 윌리엄앤메리대학교에서 「Constructing the Modern Warrior: US Army and Gender」로 미국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무인화 ∙ 원격화 ∙ 자율화가 가속되는 미래 전장에서 '전사(warrior)'의 개념이 젠더 관점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탐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The Routledge Companion to Masculinity in American Culture and Literature』(2021, 공저)과 『Cinematic Women, From Objecthood to Heroism』(2019, 공저)이 있다.
지은이 : 어혜은
니혼대학교(日本大学) 예술학연구과에서 석사학위 작품으로 일본의 '대안학교'를 주제로 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였으며, 「일본의 드라마 콘텐츠의 해외전개에 관한 과제와 고찰: 한국과 일본의 비교를 통해」라는 논문으로 예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동아방송예술대학교와 청운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총무이사로 활동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디지털 환경에서의 미디어 플랫폼과 1인 미디어, 그리고 한류(K-콘텐츠)의 글로벌 확산이다. 특히 개인 크리에이터를 중심으로 한 콘텐츠 생산 구조와 플랫폼 생태계의 변화, 한류 콘텐츠가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해 확산되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서문
Part Ⅰ 재현
Chapter 01 한국 사회 노인의 삶과 문화적 재현 / 정영희 · 김미경
노인의 삶과 ‘재현’의 렌즈
고정관념과 전형의 역사
노인에 대한 문화적 재현
노인 재현의 계급화와 젠더화
미디어 재현을 넘어 실천으로
Chapter 02 OTT시대, K-드라마의 노인 재현 / 한희정
드라마 재현, 왜 중요한가
2000년 중반 이후 K-드라마 노인 재현, 전형을 깨기 시작하다
2021년 이후 K-드라마 노인 재현, 더 다양해졌다
K-드라마의 다면적 노인 재현, 경쟁력이다
Part Ⅱ 돌봄
Chapter 03 영화가 재현하는 노년의 삶과 돌봄 윤리 / 신정아
영화 속 노인 돌봄 재현의 유형과 양면성
돌봄 공백과 소외된 죽음들
친족이 아니라도 괜찮은 돌봄
노인의 자기 결정권과 존엄한 죽음
돌봄의 새로운 상상과 실천
존엄한 삶을 위한 돌봄 정의 실현을 기대하며
Chapter 04 나이 듦을 넘나들기?: 팬데믹 시기 노년 여성들의 디지털 미디어 실천과 의미 / 최이숙
팬데믹 시기 노년 여성들의 디지털 미디어 실천과 의미
나이 듦: 노년 여성과 디지털 미디어 실천의 키워드
팬데믹: 강요된 디지털화와 각자도생의 정동
디지털 공간 속 챌린지에 뛰어든 ‘노년 여성들’
나이 듦을 넘나들기: 자기 계발의 정동과 ‘돌봄’의 문화
나이 듦을 넘나든 새로운 미래를 질문한다
Part Ⅲ 실천
Chapter 05 AI 챗봇과의 자기 돌봄: 액티브 시니어의 외로움 완화와 주체성 회복을 돕는 새로운 동반자 / 차유리 · 조재희
서 언
국내 액티브 시니어의 외로움 완화용 AI 챗봇 개발이 왜 필요할까?
기존 연구를 넘어, 다른 가능성을 묻다
소결: 동반자로서의 AI를 둘러싼 조건들
Chapter 06 디지털 노년의 수행들 / 문현영 · 어혜은
‘노인을 연기하는 젊은이들’과 ‘자기를 말하는 노년들’의 문화정치
연기된 노인: 노인 부캐의 젠더와 계급 코드
말하는 노인: 시니어 크리에이터의 자기 수행
경계의 문화정치, ‘연기된 노인’과 ‘실제 노인’의 접점
Chapter 07 시니어 디지털 포용 사회를 향하여: 고령층과 미래 공존의 조건 / 원숙경
고령층과 미래 공존의 조건
디지털 격차를 넘어서는 새로운 패러다임
고령층의 디지털 주체성 회복을 위한 조건
디지털 포용과 사회적 상호 돌봄
포용의 사회를 향한 실천적 전환
참고문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