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박정인
현재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한국연구재단 지원)로서 재직 중이며, 한국폴리텍대학교 정수캠퍼스 클라우드 컴퓨팅학과 강사로 정보보안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또한 공공기관, 협회, 의원실의 수많은 입법 연구를 해 왔던 용역 노하우를 전달하고자 청년입법학교, 시도의원과 공공기관 종사자를 위한 입법학특강, 시민입법학교 등을 열어 해인입법정책연구소에서 공익활동을 하고 있다.법학과 학사, 석사, 박사 졸업 후 공공기관에 근무하였으며, 이후 로펌의 전문위원, 숙명여대, 가천대, 건국대, 중앙대 등 출강 후 2019년부터 2024년까지 단국대 대학원 IT법학협동과정, 2024년부터 2025년까지 단국대 대학원 과학기술정책융합학과 연구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단국대 법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국가 활동으로는 대통령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본위원회 위원, 문체부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상임위원, 문체부 저작권보호심의위원회 심의위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저작권 검수위원, 문체부 콘텐츠식별체계 운영위원회 운영위원, 서울시 프리랜서 분쟁상담위원회 상담위원, 인터넷주소분과위원회 주소분과 위원, 국립중앙도서관 웹콘텐츠활성화 자문위원, 국제문화교류진흥원 국제분쟁자문위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디지털콘텐츠공정거래 자문위원, 클라우드 법제도 자문위원, 강동구 공직자윤리위원회 심의위원, 서울시 장애인지원주택 내안에안식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학술 활동으로는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엔터테인먼트이사(2013~2023) 재무이사(2023~2025) 연구이사(2025~현재) 지식재산연구원 지식재산연구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교육 활동으로는 경기북부경찰청, 울산지방경찰청, 경북경찰청 IT 범죄 강사, 한국저작권위원회 저작권 강사, 예술인복지재단 예술인계약 강사, 서울시교육청 과학기술분야 독서토론강사, 양성평등교육진흥원 저작권 강사, 한국표준협회 디지털리터러시 교육 강사, 한국인터넷진흥원 직원역량강화 입법교육 강사, 서울시민대학 디지털리터러시 교육 강사 등을 한 바 있다.좋은 법이 좋은 생각을 담고 있고 좋은 세상을 만든다는 확신을 가지고 국내 법제가 세계적 추세에 맞는 법제가 될 수 있고 우리 법제를 배우기 위해 전 세계 법학자들이 한국을 찾기를 희망한다.dkuitlaw@naver.comhttp://haeinlawpolicy.org/
들어가면서
제1장 법령입안 기본
제1절 입법학과 입법주체
1. 입법학의 개념
2. 입법학 연구의 필요성
3. 법정책학 및 규제학과의 관계
4. 법령의 체계도
5. 정부입법과 의원입법 비교
제2절 법령입안 심사기준
1. 입법의 기본 구조와 심사의 필요성
2. 법치주의의 내용
3. 법령입안의 개념과 단계
4. 법령심사의 심사기준
제3절 알기 쉬운 법령 만들기
1. 들어가며
2. 입법정책결정론
3. 입법논증론
제2장 법령입안 심화
제1절 「헌법」 기본원리와 법제 실무
1. 국민주권주의
2. 법치주의
3. 권력분립주의
4. 기본권보장주의
5. 복지국가원리
6. 민주주의의 실질화
제2절 법제 실무에서의 헌법원리 적용 포인트
1. 위임입법 한계 준수
2. 위임입법의 한계
3. 정책 기획 및 규제 설계
제3장 정책 법제도 전략 수립 및 관리방안
제1절 AI 기반 행정을 위한 정책과 법제
1. AI 기반 행정의 개념과 배경
2. AI 기반 행정의 국내 정책 동향
3. AI 행정의 활용 사례
4. AI 행정의 법적 쟁점과 입법과제
5. AI 행정 관련 국내 법령 체계
6. 해외의 AI 행정 규제 및 정책 비교
7. AI 기반 행정의 향후 과제와 방향
8.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