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612의 샘
창비교육 / 고비읍, 안세화, 이꽃님, 이종산, 조규미, 조우리, 허진희 (지은이) / 2022.06.10
14,500
창비교육청소년 문학고비읍, 안세화, 이꽃님, 이종산, 조규미, 조우리, 허진희 (지은이)
‘창비교육 성장소설’ 시리즈의 세 번째 책 <B612의 샘>에는 고비읍, 안세화, 이꽃님, 이종산, 조규미, 조우리, 허진희 작가가 참여했다. 믿고 읽는 일곱 명의 작가들은 미래 학교라는 테마 속에서 ‘사람’에 집중했다. 인공 지능, 로봇, 메타버스 같은 신기술이 불러올 미래에도 다름 아닌 ‘학교’이기 때문에 ‘청소년’을 살펴야 함을 저마다의 독특한 서사로 말한다.
<B612의 샘>은 실제 공간으로 남을지 가상 공간으로 바뀔지 알 수 없는 ‘미래 학교’에서 버텨야 하는 청소년들의 생존기를 기발한, 엉뚱한, 따뜻한 상상으로 그려 냈다. 표제작인 「B612의 샘」는 사람이 사람을 직접 대면하지 않는 것에서 오는 결핍이 어떤 문제로 나타날지를 생각하게 한다. 인공 지능을 가진 로봇은 미래 학교에서 어떤 역할을 담당할까?
「다시 만나는 날」에서 친구를 사귀지 못하는 청소년을 돕는 임무를 맡는다. 하지만 「나에게 물어봐」에서는 로봇이 주인을 감시하고 개인 정보를 수집하는 데에 쓰이기도 한다. 인공 지능이 사람을 평가할 수 있을 정도로 발달한 미래를 그린 「에이저」에서는 원래 임무 대신 평가 대상인 주인공을 돕기도 한다.
「메타버스 학교에 간 스파이」와 「너에게 맞는 속도」, 「A가 오는 중」은 양심, 인간의 존엄, 감정과 관계처럼 우리가 인간이기 때문에 소중히 여기는 것들이 미래에도 귀하게 여겨지고 생각되기를 바라며 이야기를 풀어 냈다.다시 만나는 날_안세화
B612의 샘_이종산
나에게 물어봐_고비읍
메타버스 학교에 간 스파이_조우리
에이저_이꽃님
너에게 맞는 속도_허진희
A가 오는 중_조규미“메타버스 학교에서 실제 얼굴을 볼 수 있는 비밀 시스템이 생겼다!”
미래의 ‘학교’가 어떤 모습이든, 그곳에서 버텨야 하는 청소년들의 생존기
“학교가 어떤 모습으로 달라지든 학생들을 위한 곳이면 좋겠습니다.”
이꽃님, 허진희 등이 참여한 미래 학교 테마 단편 소설집
‘창비교육 성장소설’ 시리즈의 세 번째 책은 미래 학교를 테마로 하는 앤솔러지 『B612의 샘』이다. 창비교육 성장소설 시리즈의 론칭을 기념하여 기획된 다섯 권의 테마 앤솔러지에는 청소년문학을 비롯하여 한국문학계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작가들이 대거 참여했다. 그중에서 『B612의 샘』에는 고비읍, 안세화, 이꽃님, 이종산, 조규미, 조우리, 허진희 작가가 참여했다.
교육계 이슈에서 ‘미래’라는 말은 주로 학교나 교육, 인재와 합쳐서 사용한다. 예를 들면, 교육부의 2022년 주요 업무 계획 중 한 축이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시스템 대전환’이고 미래 교육을 전담하는 부서도 있다. 그런데 미래 학교나 미래 교육이 뉴스거리로 등장할 때마다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놓치는 것이 있다. 바로 그 속에 놓인 사람, 청소년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미래 학교라는 테마를 제안 받은 작가들은 모두 ‘사람’에 집중했다. 인공 지능, 로봇, 메타버스 같은 신기술이 불러올 미래에도 성장의 기능을 담당해야 하는 ‘학교’이기 때문에 ‘청소년’을 살펴야 함을 저마다의 독특한 서사로 말한다.
“메타버스 학교에서 실제 얼굴을 볼 수 있는 비밀 시스템이 생겼다!”
미래의 ‘학교’가 어떤 모습이든, 여전히 우리가 주인공인 이야기들
『B612의 샘』은 실제 공간으로 남을지 가상 공간으로 바뀔지 알 수 없는 ‘미래 학교’에서 버텨야 하는 청소년들의 생존기를 기발한, 엉뚱한, 따뜻한 상상으로 그려 냈다. 표제작인 「B612의 샘」에서 주인공인 수지는 많은 것들이 가상 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겪을 수 있는 범죄에 노출된다. 그리고 자신을 도와준 가장 친한 친구가 인공 지능이었다는 것에 한 번 더 놀란다. 수지의 이야기는 사람이 사람을 직접 대면하지 않는 것에서 오는 결핍이 어떤 문제로 나타날지를 생각하게 한다.
인공 지능을 가진 로봇은 미래 학교에서 어떤 역할을 담당할까? 「다시 만나는 날」에서 친구를 사귀지 못하는 청소년을 돕는 임무를 맡는다. 하지만 「나에게 물어봐」에서는 로봇이 주인을 감시하고 개인 정보를 수집하는 데에 쓰이기도 한다. 인공 지능이 사람을 평가할 수 있을 정도로 발달한 미래를 그린 「에이저」에서는 원래 임무 대신 평가 대상인 주인공을 돕기도 한다. 「메타버스 학교에 간 스파이」와 「너에게 맞는 속도」, 「A가 오는 중」은 양심, 인간의 존엄, 감정과 관계처럼 우리가 인간이기 때문에 소중히 여기는 것들이 미래에도 귀하게 여겨지고 생각되기를 바라며 이야기를 풀어 냈다.
▶ 〈다시 만나는 날〉개혁 이후 학교는 완벽하지 않았다. 인간이 만드는 것치고 완벽한 것은 없었다. 단지 나아지려 노력할 뿐.
“이제는 엄마하고 관계도 좋아졌고, 너희들도 옆에 있으니까 그 애들을 무리하게 찾을 필요가 없지만, 그래도 어디선가 우연히 만난다면 꼭 말해 주고 싶어.”한나가 고개를 바로 하고 남은 말을 이었다.“고마웠다고.”